소중 이 낭종 - sojung i nangjong

소중 이 낭종 - sojung i nangjong

�������� �����Ǻο� ���Ƴ��� ��ü �� Ȥ���� ���� ���忡���� ������ ö���� ������ ��Ȥ���� �����Ѵ�. ����Ȱ�� �ϰ� �ִ� �������� ������ �ƴ��� ����������, ��ŵ��� Ȥ�� ���̶� ���� ���� �ƴ��� �����ϰ� �ȴ�. ���� ���� �˱� ��ư�, ��� ������ ���� ������ �𸣰ڰ�, �����ֱ�� ���� �ɲ�����. �׷��ٺ��� Ȥ�� �� �⾿ Ű��ų� ���� ġ�ᰡ �ʿ��� ��ȯ�� ��ġ�Ͽ� ���� ���� ������ �귯�� �����ϱ⵵ �Ѵ�.

�����񴢱������ ���� ���� ���� ������ Ȥ�� ���� ���� �� �缺�����̴�. ���� ���� �������̳� �������� ‘���Ϻ��Գ���’�ε�, ���׶� Ȥ�� ���� ���� �������ٰ� �������⵵ �ϰ�, ���� �ٹ߼����� ���� �����ǰų� ������ �����Ѵ�. �� �Ա�, ������ �Ĺ濡 �ܴ��ϰ� ���뼺���� �������ٰ� ���� �߿��� �ɾ� �ٴ� �� �������� �߱��ϴ� ‘�ټָ� ����’�� ���� ���ϴ�. ‘�ټָ� ���’�� �Ǹ� �װ� ������ ����鼭 ���Թ��� �׻��� ġ�ᰡ �ʿ��ϰ� ���� ����� ������ ġ�Ḧ ���Ѵ�.

STD(����)�� ����� Ȥ�� ���̷����� ����縶��(�ܵ��θ�)�� ���� ���ѵ�, ���λ󺸴� �ݸ��ö�� ���°� ����� ���� ���� ġ���ϰ� ���������� �ؾ� �Ѵ�. �˾���� ���뼺 ����� Ȥ�� �ŵ��� ‘�漺�ϰ�’��, ���� �ִ� ������ �˾������� ‘��������’�� �ǽ��� �� �ִ�. �Ҿƿ� ���� ���� ���� Ȥ�� ‘������������’�� ���ο����� �������̰� ���̳� ����, ��Ÿ���Ͽ��� ���ݵDZ� ����. ‘���ߴ�’ ���� �� ������ �����ٴ� ��η� �������� ������ ���� ���⸦ ���� �� �ִ�.

�幰����, 38�� �̻��� ������ ������ �����ϴ� ������ Ȥ�� ‘�����ϰ�’�� �ǽ��ϰ� �Ѵ�. ‘����������������’, ‘������������’ ���� ������ ������������ ���� �� �ִ� Ȥ���̴�. �� �� ‘�Ǽ�’�̳� ‘�����Ǻο�’ ���� �Ǻ���ȯ�� �����ο� ��ȭ�������� Ȥ�� ����⵵ �Ѵ�. ���� ���Ŀ� �߾ӱ˾�θ� �����ϸ鼭 �ֺ��� �������� ���⼺�� Ȥ�� ‘����������’, ���������˾��� ������ Ȥ�� ‘������Ǽ�����’, �ұ�Ģ�� ����·���ٺ��� ���� �ִ�, ���ڱ� �����ϴ� Ȥ�� ‘�Ǽ������’�� �����ؾ� �Ѵ�.

�����ο� Ȥ�� ������ �� �׳� û�ῡ �Ű� ���鼭 �¿常 �ؼ� ������ ������, ������ ġ�Ḧ ���ϴ���, �� �������� �־� �������� ���ǰ� �ʿ�����, �����˻簡 �ʿ��� �������� ��� �߿��� �������׵��� �ִ�. �����ִ� �񴢱�� �������� ���������� �������� �߿��ϴ�.

<�ۡ������ ����� �����񴢱�� ��ǥ����>

여자 생식기 종기는 질 주변부의 모공이나 유선이 막히면서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피부 트러블이 생긴 것처럼 성가신 느낌이 드는 것으로 시작되다가 박테리아에 감염된 후 차츰 돌출되면서 통증이 느껴집니다. 이후 희거나 노란 고름이 그 안에 쌓이면서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종기가 생기는 부위가 생식기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신경이 쓰입니다. 

소중 이 낭종 - sojung i nangjong
성가신 생식기 종기

종기라고 확인이 되면 사실 크게 걱정할 문제는 아닙니다. 드물게 심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1~2주 내에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손으로 긁거나 자주 만지거나 억지로 짤 경우 추가 감염이 일어나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여자 생식기 종기가 생기는 원인, 여자 생식기 종기를 집에서 없애는 방법, 의사를 찾아야 하는 경우, 여자 생식기 종기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자 생식기 종기 원인

여자 생식기 종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을 때 더 쉽게 발생합니다.

- 감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가 존재할 때: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트라코마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 등이 여자 생식기 종기를 발생시키는 주요 박테리아입니다.

소중 이 낭종 - sojung i nangjong
종기

- 모공에 화농균이 침입하여 농포를 만드는 모포염(folliculitis)이 있으면 종기 발생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또 여자 생식기 종기는 음모를 제거하기 위해 면도기를 이용하거나 왁싱을 한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는 작은 뾰루지처럼 생기다가 점점 자라면서 종기로 발전합니다. 

- 낭종(Cysts): 여성생식기 종기의 또 다른 원인은 바르톨린 샘 낭종(Bartholin gland cyst)입니다. 바르톨린 샘은 질구 아래 양쪽에 있는 두 개의 작은 선입니다. 바르톨린 샘이 막히면 낭종이 생기는 데 이 낭종에 감염이 일어나면 종기로 발전합니다.

- 성병이나 성기에 하는 피어싱도 종기 발생의 위험성을 높입니다. 지성피부를 가지고 있거나 음모가 두꺼운 여성은 다른 여성에 비해 종기를 가질 확률이 높습니다.

집에서 생식기 종기를 없애는 법

대부분의 여성 생식기 종기는 1~2주 후 자연적으로 낫습니다. 집에서 약간의 신경을 써주면 치유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것은 절대로 청결하지 않은 손으로 종기를 만지거나 긁거나 짜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종기를 만지기 전에 따뜻한 물과 항균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새로운 감염을 일으켜 종기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반대로 종기를 만진 후에도 손을 깨끗이 씻어야 다른 곳으로 박테리아가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1. 억지로 종기를 짜거나 집에 있는 바늘로 찌르면 안 됩니다. 종기의 상태가 악화될뿐더러 종기 속에 있는 박테리아가 주변으로 퍼집니다. 손이나 바늘에 있는 박테리아로 인해 새로운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2. 목욕할 때 사용하는 부드러운 타올에 따뜻한 물을 적신 다음 약하게 짠 후 종기가 난 부위에 살포시 얹어놓습니다. 그리고 약 10분 정도 기다립니다. 종기가 없어질 때까지 하루에 서너 번 따뜻한 물에 적신 수건을 덮어주는 것을 반복합니다. 이렇게 하면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백혈구가 박테리아와 맞서 싸우는 것을 도와 종기가 빨리 사라지게 됩니다.

3. 좌욕을 하면 따뜻한 물이 종기가 난 은밀한 부위를 데워 혈액순환을 돕고 치료를 촉진하게 됩니다. 요즘 인터넷 쇼핑몰에서 저렴한 좌욕기를 많이 팔고 있습니다. 종기가 없을 경우에도 좌욕이 가져다주는 혜택을 고려하여 하나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4. 종기를 자극하지 않는 헐렁한 옷을 입습니다. 꽉 달라붙는 옷을 입어 민감한 부위의 피부를 자극시키는 것은 종기를 불러오는 큰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종기가 사라질 때까지는 느슨한 옷을 입어야 종기를 자극해 박테리아가 다른 곳으로 번져 또 다른 종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5. 항상 생식기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항균비누를 사용하여 종기를 씻고 난 후 깨끗한 물로 비눗기를 완전히 씻어낸 후 부드럽게 말립니다. 이때 종기를 문지르지 않도록 합니다. 

6.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사다 먹습니다. 약국에 가서 일반의약품인 아세타미노펜(타이레놀/파라세타몰)이나 이부프로펜(아드빌/모트린)을 구입하여 표준 용량을 복용합니다. 

7. 만약 종기가 터진다면 바시트라신(bacitracin), 네오마이신(neomycin), 폴리믹신 B(polymyxin B) 등의 크림을 나을 때까지 바르면 좋습니다.ⓑ

의사를 찾아야 하는 경우

생식기에 난 종기는 보통 1~2주 정도 지나면 치료가 됩니다. 그러나 일부 종기의 경우 상태가 나빠져 집에서 낫기를 기다리기보다는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 종기의 상태가 나아지지 않고 상태가 악화될 때

- 열이 나고 오한이 들 때

- 종기가 자라는 속도가 아주 빠를 때

- 종기 크기가 아주 커질 때

- 감염 부위가 매우 아플 때

- 2주가 지났는데도 종기가 낫지 않고 상태가 좋지 않을 때

- 종기가 계속 재발하거나 여러 개 생길 때

병원을 찾아가면 의사는 종기를 절개한 후 안에 든 고름 등 내용물을 빼냅니다. 이때 병원에서는 살균된 장비를 사용합니다. 종기의 상태가 나쁜 경우 집에서 억지로 짜내려 하기보다는 병원을 찾는 것이 추가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안전한 방법입니다. 의사는 절개 치료 후 항생제를 처방하여 추가 감염을 예방합니다.

여성 생식기 종기 예방법

예방이 치료보다 더 좋은 방법이라는 말은 모든 병에 해당됩니다. 생식기 종기를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모 제거를 정기적으로 하시는 분이라면 음모 제거 면도기를 자주 교체해야 합니다. 잘 들지 않는 면도기는 피부를 자극하여 감염과 종기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음모제거 면도기를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항상 면도기는 잘 말린 후 깨끗하게 유지하고 다른 사람의 것과 구분하여 보관합니다.

- 음모제거 면도를 할 때는 면도 크림을 충분히 사용하고 면도하는 부위를 촉촉하게 만든 후 면도하여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합니다. 메마른 상태에서 면도를 하면 피부가 쉽게 자극됩니다. 

- 정기적으로 생식기 주변 피부의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 것이 종기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많은 종기는 털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피부 내부에서 자랄 때 발생합니다. 

- 처방받은 약은 끝까지 다 복용해야 확실하게 박테리아를 박멸할 수 있습니다. 약을 먹다가 효과가 난다고 해서 중단하면 오히려 박테리아의 약에 대한 내성만 키워 다음 치료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속옷은 자주 갈아입습니다. 특히 운동 후나 땀을 흘린 후 깨끗이 씻은 후 옷을 갈아입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피부를 자극시키는 비누나 세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피부가 자극되면 종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