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 두통 어지러움 - mogdiseukeu dutong eojileoum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목디스크로 진료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건강국민보험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목디스크 환자 수는 약 959,000명이며, 특히 50~60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목디스크 두통 어지러움 - mogdiseukeu dutong eojileoum
두통 호소하는 여성

목디스크, 왜 생길까?

목디스크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도 부르며, 경추 뼈와 뼈 사이의 추간판(디스크)이 탈출하거나 파열돼 경추 신경이 자극이나 압박을 받아 목이나 어깨, 등, 팔 등에 통증 및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경추는 운동성이 큰 부위로, 대부분의 목 디스크는 심각한 퇴행성 변화 이후에 일어나지만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해 급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주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는 20세 이후에 생기기 시작하며, 디스크 내의 수분 감소로 인해 탄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가벼운 외상이나 오랜 시간 좋지 않은 자세를 유지하면 디스크가 후방으로 돌출해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목디스크는 생활 습관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평소 컴퓨터와 스마트폰, 독서 등을 오래 하면서 일자목으로 변형된 경우, 물건을 한쪽으로만 들어서 몸의 균형이 깨진 경우, 목에 힘이 과하게 들어가는 운동을 하는 경우, 잘못된 수면 자세로 밤새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되는 경우 목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

목디스크 의심 증상은?

목디스크의 대표 증상으로는 목과 어깨, 팔 전체에 통증이 생기는가 하면, 수액이 빠져나가 척수가 눌리면서 팔이 마비되고 반신이 저리기도 한다. 이 밖에도 두통이나 현기증이 심하고 이명이 생길 때에도 목 디스크를 의심해야 한다.

목의 C 커브가 상실되고 일자목이 된 경우 목이 펴지면서 혈관을 누르는데, 이때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뇌 쪽으로 혈액 공급이 어려워진다. 혈액순환이 잘 안 되면 산소 공급 역시 원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두통, 현기증, 이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디스크의 수핵이 중앙에서 탈출해 목을 지나는 신경인 경신경을 살짝 누르기만 해도 두통이나 현기증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목뒤가 가끔 찌릿하고 승모근과 날개뼈 안쪽 근육이 매일 뭉쳐(통증)있어요.

제일 큰 문제점은 목을 숙이거나 올리면 어지러움을 느낍니다.

직장에서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많은데 앉아 있을때도 어지러움증을 느낍니다.

스트레스나 신경 쓸 일이 있을 경우 더욱 심해집니다.

어지러움을 느낄 때 증상은 혈관이 뛰는 느낌이 많이 들며 목과 머리 뒷쪽에서 울립니다.

눈이 늘 건조하며 가끔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귀밑에 턱 근육들이 항상 뭉쳐있습니다.

잘때 이를 꽉 깨물고 자는 습관도 있습니다.

여러방면으로 검진하고 어지럼증 약도 처방받아 먹었으나 약을 먹을때 더욱 어지럼증이 심하여 먹지않았습니다.

저와같은 증상을 가진 분도 있는지 궁금하며, 이런경우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모커리한방병원 부천점 최창민 원장입니다.

목 관련 어지러음 증상으로 인해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목 뒷부분이 찌릿하고, 승모근과 날개뼈 안쪽 근육이 뭉쳐 있어 통증과 어지러움이 나타난다고 하셨는데요. 보통 다른 기저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이 아닌 원발성 두통은 크게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두통(군집성 두통)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환자분은 목 뒤쪽의 통증, 어지러움, 목 주변 근육 뭉침 말씀하신 증상으로 봤을 때 긴장성 두통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긴장성 두통은 일반적으로 두피와 두개골 밖에 있는 근육들이 과도하게 긴장되면서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머리, 특히 뒷머리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머리나 어깨를 죄는 듯한 통증,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한쪽보다는 양쪽 동시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혈관이 뛰는 듯한 느낌의 어지러움 증상도 있다고 하셨는데요. 긴장성 두통은 뒷머리 통증 뿐 아니라 어지러움이나 불면증, 메스꺼움 등의 증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보통 심장이 뛰는 듯한 느낌의 박동성을 동반하지 않은 통증이 나타나지만 간혹 통증이 아주 심한 일부 환자분들은 주기적인 박동성을 지니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의 주 원인은 스트레스, 수면부족, 과로, 교통사고 등이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수험생, 회사원 등의 사람들에게 긴장성 두통이 많이 나타납니다. 혹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목 주변의 근육이 뭉치면서 긴장성 두통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특히, 목이 앞으로 나가 있는 거북목 자세를 유지하면 목의 뒤쪽 근육 및 인대가 앞으로 나간 머리를 계속해서 붙잡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목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뭉치면서 긴장성 두통을 유발하는 것이죠.

또한, 턱 근육이 항상 뭉쳐 있고, 눈이 건조해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귀에서 지지직, 삐 등의 소리가 난다고 하셨는데요. 이는 턱관절장애(TMJ)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입을 꽉 깨물고 자는 습관이 있다고 하셨는데요. 이런 습관은 턱 근육을 비롯한 얼굴, 목 근육의 뭉침과 긴장을 유발해 목 통증,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턱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 이명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요.

저희 병원을 방문하시면 침, 약침, 추나 치료 등 한방치료를 통해 굳고 긴장된 목과 턱 주변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도와 통증을 줄이는 긴장성 두통 치료와 턱관절장애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꽉 깨무는 습관을 고치기 힘드시다면 마우스피스 등의 치과 치료를 통해 마우스피스 등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원하시면 환자분의 정확한 상태를 보고 좀 더 자세한 상담을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환자분의 완쾌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상담글은 건강상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식 진료가 아니며 제한된 정보에 기반한 의사의 의견과 조언으로써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가능하면 병원에서 전문의료진의 정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목뒤가 가끔 찌릿하고 승모근과 날개뼈 안쪽 근육이 매일 뭉쳐(통증)있어요.

제일 큰 문제점은 목을 숙이거나 올리면 어지러움을 느낍니다.

직장에서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많은데 앉아 있을때도 어지러움증을 느낍니다.

스트레스나 신경 쓸 일이 있을 경우 더욱 심해집니다.

어지러움을 느낄 때 증상은 혈관이 뛰는 느낌이 많이 들며 목과 머리 뒷쪽에서 울립니다.

눈이 늘 건조하며 가끔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귀밑에 턱 근육들이 항상 뭉쳐있습니다.

잘때 이를 꽉 깨물고 자는 습관도 있습니다.

여러방면으로 검진하고 어지럼증 약도 처방받아 먹었으나 약을 먹을때 더욱 어지럼증이 심하여 먹지않았습니다.

저와같은 증상을 가진 분도 있는지 궁금하며, 이런경우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모커리한방병원 부천점 최창민 원장입니다.

목 관련 어지러음 증상으로 인해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목 뒷부분이 찌릿하고, 승모근과 날개뼈 안쪽 근육이 뭉쳐 있어 통증과 어지러움이 나타난다고 하셨는데요. 보통 다른 기저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이 아닌 원발성 두통은 크게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두통(군집성 두통)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환자분은 목 뒤쪽의 통증, 어지러움, 목 주변 근육 뭉침 말씀하신 증상으로 봤을 때 긴장성 두통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긴장성 두통은 일반적으로 두피와 두개골 밖에 있는 근육들이 과도하게 긴장되면서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머리, 특히 뒷머리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머리나 어깨를 죄는 듯한 통증,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한쪽보다는 양쪽 동시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혈관이 뛰는 듯한 느낌의 어지러움 증상도 있다고 하셨는데요. 긴장성 두통은 뒷머리 통증 뿐 아니라 어지러움이나 불면증, 메스꺼움 등의 증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보통 심장이 뛰는 듯한 느낌의 박동성을 동반하지 않은 통증이 나타나지만 간혹 통증이 아주 심한 일부 환자분들은 주기적인 박동성을 지니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의 주 원인은 스트레스, 수면부족, 과로, 교통사고 등이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수험생, 회사원 등의 사람들에게 긴장성 두통이 많이 나타납니다. 혹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목 주변의 근육이 뭉치면서 긴장성 두통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특히, 목이 앞으로 나가 있는 거북목 자세를 유지하면 목의 뒤쪽 근육 및 인대가 앞으로 나간 머리를 계속해서 붙잡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목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뭉치면서 긴장성 두통을 유발하는 것이죠.

또한, 턱 근육이 항상 뭉쳐 있고, 눈이 건조해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귀에서 지지직, 삐 등의 소리가 난다고 하셨는데요. 이는 턱관절장애(TMJ)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입을 꽉 깨물고 자는 습관이 있다고 하셨는데요. 이런 습관은 턱 근육을 비롯한 얼굴, 목 근육의 뭉침과 긴장을 유발해 목 통증,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턱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 이명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요.

저희 병원을 방문하시면 침, 약침, 추나 치료 등 한방치료를 통해 굳고 긴장된 목과 턱 주변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도와 통증을 줄이는 긴장성 두통 치료와 턱관절장애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꽉 깨무는 습관을 고치기 힘드시다면 마우스피스 등의 치과 치료를 통해 마우스피스 등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원하시면 환자분의 정확한 상태를 보고 좀 더 자세한 상담을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환자분의 완쾌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상담글은 건강상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식 진료가 아니며 제한된 정보에 기반한 의사의 의견과 조언으로써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가능하면 병원에서 전문의료진의 정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