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흉위 측정 - sinsaeng-a hyung-wi cheugjeong

아동간호학 간호중재

  • 상세정보
  • 자료후기 (0)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목차

1. 신생아확인
2. 신체계측
3.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4. 출생 후 간호

본문내용

1. 신생아확인

신생아가 분만실에서 나가기 전에 신생아의 팔, 다리에 아기의 어머니, 아버지의 이름과 출생기간, 성별 등을 기록한 확인용 이름표를 감아 준다. 또한 신생아 확인사항을 기록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양쪽 발바닥에 물감을 묻혀 발도장을 신생아 기록지에 남긴다.

2. 신체계측

검진방법
1) 출생체중, 2일째 체중 : 평균 신생아의 몸무게는 3,175g에서 3,400g 이다. 출생 후 즉시 측정하고 그 후에는 격일로 항상 같은 시간에 측정을 한다. 전날 것과 검토하여 증가와 감소를 관찰한다. 생후 3-4일까지 출생체중의 약 10%가 감소하는데 이는 세포외액의 지나친 소실, 태변배출, 음식섭취 제한으로 인한 생리적 체중감소이다.

2) 신장 : 영아는 정상적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누운키를 재기 위해서는 머리를 몸의 중앙선에 맞추고, 양 무릎을 조심스럽게 함께 잡고서, 양 다리가 완전히 펴져 검진대에 편평하게 닿도록 무릎을 누른다. 신장은 두정에서 발꿈치까지의 누운키이다.

3) 흉위 : 흉위는 30.5~33㎝이다. 머리 둘레가 가슴둘레보다 보통 2~3㎝정도 더 크다. 분만 중의 머리 주형 때문에 분만 초기에 머리둘레와 같을 수 있다. 가슴둘레는 젖꼭지선에서 측정한다.

4) 두위 : 만삭아의 평균 머리둘레는 33~33.5㎝이다. 출생 직후 머리둘레는 정상 질분만 동안 주형과정 때문에 약간 작아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생 2~3일이 되어야 두개골이 정상크기가 되고 윤곽을 잡는다. 두위는 눈썹 위에서 뒤통수의 가장 넓은 쪽으로 잰 머리둘레이다.

5) 복위 : 복부둘레는 배꼽 바로 위에서 측정된다. 신생아의 제대가 탈락되기 전이므로 배꼽 위로 측정하면 많은 차이가 난다. 배꼽 아래쪽에서 복부둘레를 측정하는 것은 방광상태에 따라 수치에 영향을 주므로 적절치 않다. 복부팽만의 경우는 복부둘레 측정치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반복 측정한다.

정상 결과
키 : 48-52㎝ 두위 : 33-35.5㎝ 흉위 : 30.5-33㎝(흉위는 두위보다 2-3㎝ 작음)
체중 : 2500g-4000g(평균 3400g)

태그

[신생아 (정상 신생아) 아동간호학/실습 과제] 발달/특성, 반사, 아프가점수, 산과표기법

  • 상세정보
  • 자료후기 (0)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목차

1. 신생아의 발달과 특성
2. 피부
3. 신생아 반사
4. 비타민 K주는 이유
5. 아프가 점수
6. Para(산과력 표기법)

본문내용

▶신생아의 발달과 특성
신체계측
신생아의 신체계측에는 체중, 신장, 두위와 흉위가 포함된다. 출생 시 체중은 인종, 임신 중 영양상태와 자궁 내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다르다. 출생 시 체중은 평균 3.2-3.4kg이다. 2.5kg이하일 경우 SGA(small gestational age), 4kg이상일 경우 LGA(large for gestational age)라고 한다. LGA의 경우는 보통 모성이 당뇨병의 합병증을 가지고 있을 때 나타난다. 두 번째 아기는 보통 첫아기보다 체중이 더 나간다. 신생아의 체중은 생리적으로 과다한 세포외액의 손실과 태변 배설 및 섭취의 제한으로 생후 3~4일 경까지 출생 시 체중의 약 5-10%까지 감소했다가 생후 10일경 회복한다. 6개월 동안 매달 900g 씩 체중이 증가한다. 신생아의 신장은 두정부에서 발뒤꿈치까지의 길이를 줄자로 측정하며 평균 49-51cm이다. 두위는 평균 34~35cm이다. 신생아 때 두위는 흉위보다 크다. 머리둘레가 가슴둘레보다 4cm이상 클 경우, 수두증을 의심할 수 있다. 신생아는 흉위는 두위보다 1~2cm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생후 1~2년에는 가슴과 머리의 둘레가 같아지며 아동이 2세가 될 무렵에는 흉위가 두위보다 커진다. 신생아기에는 열을 소실하기 쉽기 때문에 체온 조절이 미성숙하다. 신생아는 몸 크기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지방층이 얇고, 비전율성 열 생산 기전 등에 의해 열 소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출생 시 8시간동안 담요로 덮어줘야 한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밀폐항문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직장체온계를 사용할 수 있다.
활력징후
출생 시 체온은 약 37.2도 이다. 이러한 체온은 미성숙한 체온조절기전과 열손실로 인해 정상체온이하로 출생 직후 급속히 떨어지게 된다. 체온 측정은 주로 고막이나 액와로 하며 정상범위는 36~37도로 신생아의 활동상태에 따라 변동이 있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밀폐 항문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직장체온계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아동 건강 간호학 1 Adele Pillitteri 228-252p

태그

1) 신체계측 : 몸무게, 키, 머리둘레, 가슴둘레, 복부둘레

(1) 몸무게 weight (정상범위 : 2700-4000g, 평균 : 3400g)

- 출생 후 즉시 check하고 그 후에는 격일로 항상 같은 시간에 check 를 한다.

- 전날 것과 매일 비교 검토하여 증가와 감소를 관찰

- 성장 발달의 중요지표

- 세포외액의 지나친 소실, 태변배출, 음식섭취 제한으로 생리적 체중감소가 있다

  (생후 3-4일까지 출생체중의 약 10%감소)

(2) 키 height (정상범위 : 48-53cm)

- 앙와위에서 굴곡 된 신체부위를 가볍게 누르면서 재거나 옆으로 누인 채 굴곡부분을 따 라가면서 측정

- 두부 → 발뒤꿈치까지(신장계측기 이용)

- 두혈종이나 산류가 있는 경우 두정골 끝부분을 찾아서 측정

* 반드시 키와 체중의 함께 고려

(3) 머리둘레 (정상범위 : 33-35cm)

- 키의 약 1/4에 해당

- 뇌의 발달과 밀접한 영향

- 두위가 흉위보다 2-3cm큰 것은 정상 but 두위가 지나치게 클 때는? 뇌수종

- 눈썹위와 후두골의 가장 돌출된 부분을 지나도록 한다.

- 처음에는 두부변형이나 부종 때문에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48시간 이내 반복 측정

(4) 가슴둘레 (정상범위 : 30.5-35cm)

- 젖꼭지를 지나 척추에 직각이 되도록 줄자를 대어서 측정

(5) 복부둘레

- 목적 : 영아 성장과 발육상태를 사정하고 복수상태를 사정

- 적응증? : 신장질환, 말기암 환아, 간경화증 등 복수가 있을 경우, 수술 전.후 복부팽만의 경우,

                장 폐색 환아 복부팽만의 경우

- 방법 : 환아를 앙와위로 눕히고 복부를 노출시킨다.

           호흡을 내쉰 반듯한 자세에서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측정(배꼽기준)

@ 복수가 찬 경우는 매일 같은 곳을 측정하도록 배에 표시한다

2) 활력징후 (vital signs): 교차 감염의 방지를 위해 손 씻기!

(1) 체온

- 구강체온(37 ̇C) 7분 : 주로 성인측정, 의식 없는 환자는 금기

- 직장체온(37 ̇C +2) 4분 : 밀페항문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

가장 정확한 심부체온 측정부위, 의식 없는 환자, 측정시간이 짧아 신생아 체온부위로 흔히 사용됨

그러나, 천공의 위험이 있다. 항문질환, 설사하는 환자는 금기

- 액와체온(36 ̇C -2) 5분 : 직장이나 구강체온의 측정이 불가능한 대상자에게 측정, 측정 이 용이함.

                                      외부온도에 많은 영향, 측정시간이 길며 정확성이 떨어진다.    

                                     신생아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우선적인 부위이다

- 요즘은 전자 고막체온계가 흔히 사용되고 있음.

(2) 맥박 (정상범위 : 120-140회/분)

- 1분간 full로 측정

- 심첨 부위에서 청진 : 3-4늑간과 mid- clavicular line과 만나는 부위

청진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청진기를 가져가지 않고 신생아실에 있는 청진기를 이용함

(3) 호흡 (정상범위 : 40-60회/분)

- 1분과 full로 흡기수 측정 (복부의 움직임)

- 복식호흡 → 청진 or 촉진

- 호흡수와 호흡양상 함께 고려

- 신생아는 리듬과 심박동률이 불규칙

(4) 혈압 (65/41mmHg)

-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상적으로는 혈압을 측정하지 않는다.

- cuff의 크기가 정확해야 한다. 신생아 : 1.5-4cm정도 (전용혈압계이용)

              감겼을 때 내부 주머니가 환아의 팔둘레 보다 5/1이 더 길어야 함

- 1세 이하의 영아 : 사지와 하지의 혈압이 동일

- 1세 이상의 아동 : 수축기 혈압이 상지보다 하지가 10mmHg정도 높음

@아동의 정상 심박동 수@

맥박과 심박수

연 령

횟수/분

각 성 상 태

수 면 상 태

신 생 아

100 - 180

80 - 160

1주-3개월

100 - 220

80 - 200

3개월-2세

80 - 150

70 - 120

2세-10세

70 - 110

60 - 90

10세-성년

55 - 90

50 - 90

 @아동의 정상 호흡수와 체온@

호 흡 수

체 온

연 령

횟수/분

연 령

체 온( ̇C)

신생아

35

3개월

37.5

1-11개월

30

6개월

37.5

2세

25

1세

37.7

4세

23

3세

37.2

6세

21

5세

37

8세

20

7세

36.8

10세

19

9세

36.7

12세

19

11세

36.7

14세

18

13세

36.6

16세

17

18세

16-18

 

 @아동의 정상 혈압 수치@

혈 압

연 령

수 축 기

이 완 기

남 아

여 아

남 아

여 아

출 생 시

73

65

55

55

1개월

86

84

52

52

1세

90

91

56

54

2세

91

90

56

56

4세

93

92

56

56

6세

96

96

57

57

8세

99

99

60

59

10세

102

102

62

62

12세

107

107

64

64

14세

112

110

64

67

16세

117

112

67

67

18세

121

112

70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