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경력 2년 - sin-ib gyeonglyeog 2nyeon

이번에 이직하려고 하는데 같은 직군인데
신입/경력(5년이하) 이 카테고리로 공고를 냈더라고

근데 신입 급여가 내 전직장보다 훨씬 높아서
신입으로 넣을지 경력으로 넣을지 고민돼

경력은 희망연봉이랑 전직장 연봉적어야하는데
전직장 연봉이 너무 작아서 연봉깎일까봐 무섭거든
근데 신입으로 넣으면 왜 경력있는데 신입으로 넣었냐
할것 같기도 하고,,, 😭😭

중고신입으로 넣는게 좋을까?
아님 그냥 경력으로 넣는게 나을까?

ㅠㅠㅠ 진짜 너무너무 고민되서 답변 부탁해 🥺

요즘 채용 시장에서 흔히 나오는 말 중, '어중간한 경력자 보다, 신입이 훨씬 낫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경력은 있으나, 그만큼의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력자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신입들은 열정 하나 만큼은 어느 경력자보다 월등하기 때문에 그들의 열정과 역량이 갖추어져 있다면, 경력자 보다 신입이 낫다는 이야기 이다.
한 취업포털 사이트에서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채용 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대한 결과가 아래와 같이 나왔다.



신입 경력 2년 - sin-ib gyeonglyeog 2nyeon



경력자 보다 나은, 경력자 같은 신입이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목표 없이 스펙 쌓기가 아닌,
자신이 입사지원을 희망하는 기업과 직무에 대해 연구하고 경험을 쌓으며 실무역량(핵심직무자격)을 갖춘 구직자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아직도 취업이 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에 뚜렷한 목표 없이 스펙만 쌓는 데에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지 않은지 객관적으로 점검해 보자. 이는 상투적인 이야기 같지만, 그만큼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이다.



취업목표를 확실히 정하고 전략적으로 기업이 요구하는 바를 갖추어 취업 준비를 하기 위해 진로와 취업에 대한 고민을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하려고 하기 보다는 교수님이나 전문가의 조언 또는 직업심리검사 등을 받아보는 것을 권하고 싶다. 요즘은 인터넷에 간편한 적성검사도 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시도해 보기 바란다.



신입? 경력이 없는 게 당연한 거 아니야?



채용 공고 상에 ‘신입’이라고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실제로 사회적인 경력이 없는 사람을 채용한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당신은 진짜 ‘사회 쌩초자’이다. 



"경력이 없네."



한 지원자가 토익 930점, 한자능력검정시험 2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 해외어학연수까지 1년 반 동안 꾸준히 취업준비를 하며 스펙을 만들었지만, 실제 면접장에서는 채용 담당자에게 들은 말을 겨우 한 마디 ‘경력이 없네’였다. 그 이유는 지원자의 이력서 상의 경력란이 비어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지원자는 다른 면접자들이 자신의 경력을 어필하는 모습만을 바라보고 돌아왔으며, 결과도 당연히 불합격의 소식으로 마무리 했다.



경력 없으면 면접장에서 '투명인간'



이전에는 스펙을 완벽하게 준비(흔히 말하는 고스펙)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되었다면, 이제는 실질적인 현장 경험을 챙겨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 채용담당자들은 신입직원 채용 시 1~2년 경력이 있는 지원자를 가장 선호한다.
다시 말하면 ‘경력 같은 신입’이 채용 시장에서는 인기다.



취업 준비를 위해 많은 학생들이 졸업을 미루는 졸업 유예기간을 갖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 또는 직종과 관련된 경력을 쌓는다면 크게 무리가 없다.



하지만 우리는 단순히 스펙을 쌓기 위해 학원을 다닌다거나 혼자 공부를 한다거나, 본인이 취업을 희망하는 직종과는 연관성 없는 파트 타임직을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그저 죽은 시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본인의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졸업유예를 하지 않고, 졸업을 바로 하였더라도 공백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같다. 오히려 이러한 경우에는 면접에서 공백기간에 대한 질문이 반드시 나오며, 이때 관련경험에 대한 답변이 없는 경우 투명인간 취급을 받다가 나오게 되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경험을 하게 된다. 이 이야기는 이미 많이 접하여서 익숙할 것이다. 취업 준비생들은 심적으로는 일해야 하는 시간에 더 자신에게 투자하고 공부하면서 준비에만 집중하고 싶겠지만, 현실적인 채용시장은 그런 사람은 인기가 없는데 어쩌면 좋은가?



언론계 취업시장에서는 이미 1년 전부터 경력 같은 신입을 원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언론계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데에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소가 ‘경력사항’이라는 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다. 



[신입사원 서류 전형 시 합격 요소]



신입 경력 2년 - sin-ib gyeonglyeog 2nyeon

*출처: 잡코리아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포트폴리오 SNS 웰던투>는 채용담당자 59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7.8%가 서류전형에서 '경력사항'을 가장 중요시한다고 말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면접에서 가장 높이 평가하는 요소로 '실무능력 경험'이라고 답한 채용담당자가 48.3%로 가장 많았다.



취업 준비생들은 이러한 경향이 취업 시장에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낳는다고 하소연하겠지만, 직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연구 그리고 인성이 갖추어져 있다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점을 찾기 쉬워지니 더 이상 앉아서 한풀이만을 반복하지는 않기로 하자. 



희망하는 곳에 입사를 하고 싶다면 되도록 관련 분야에서 경험을 쌓으려는 노력으로 시간을 많이 가지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직업, 진로 선택을 하는 것이다.
자신의 직업, 진로 선택을 위한 자세한 내용은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다.

우선, 중고신입이란?

이전에 언급한 특정 기업의 ‘신입사원 지원 가이드’와 같은 글 외에도, 직장인 커뮤니티나 취업 사이트 등에서 “다시 신입으로 지원한다면 경력이 몇년 미만이어야 하나요?” 같은 질문을 찾아보면 보통은 많아야 3년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왜 3년일까?

직장 생활을 실제로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긴 한데, 많은 사람들은 보통 3년 차가 이직하기 좋다는 이야기를 한다. 1년 차는 회사에 적응하기 바쁘고, 만 1년을 다 채웠다 하여도 그 분야에서 뭔가 스스로 업무를 처리할 만큼의 경험은 쌓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제 좀 회사에 적응이 끝나서, 주어진 일을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실무자’ 레벨에서 가장 열정이 넘치고 실행력 좋은 시기는 2~3년 차다.

3년 차 정도가 지나면, 보통 회사에 따라 한번 정도 진급을 하곤 한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사원에서 주임 혹은 대리라는 타이틀을 쓰거나, 요즘은 타이틀 없이 모두 ‘매니저 / 님’으로 호칭하고는 하지만, 옛날에 3년 차에게 주임 또는 대리 직급을 주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단어의 뜻을 살펴보자. 모두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이다.  

  • 사원: 회사에서 근무하는 사람.   
  • 주임: 직장, 단체 따위에서 어떤 일을 주로 담당함. 또는 그런 사람.
  • 대리: 은행이나 회사 따위의 집단에서 부장, 지점장, 과장 등의 직무를 대신하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자, ‘사원’은 말 그대로 회사에 취업은 시켜줬는데 직급을 주긴 애매한, ‘아기’ 단계다. 여기서 일을 좀 한다 싶어서, “그래도 누군가의 관리 감독 (부장/과장 등) 하에 일을 맡겨 볼 만하다.”라는 의미의 단어가 ‘대리’이다. “이제 그래도 담당하는 일 하나는 있습니다.” 의 뉘앙스는 주임이다. 그래서 회사에서는 주니어들에게 주임 또는 대리라는 직급을 부여한다.

즉, 정리하면 이 정도 연차 (2~3년 차)가 바로, 보통 ‘일을 좀 안다.’ 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경력이 쌓이는 시기라고 보는 거다. 누가? 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그렇다는 의미다.

그래서 3년이 Max다. 3년 차를 꽉 채우고, 4년 차가 되는 순간부터는 경력직이다. 요즘은 워낙에 수평적인 회사들도 많고, 나이로 채용에 제한 등을 두지 않으려는 움직임 등이 채용시장에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서 나이가 많으면 신입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말은 예전보다는 덜하다. 하지만 직장생활 3년은 위와 같은 의미도 가지고 있다.

무슨 의미인가 하면, 총경력이 3년이 넘어가는 사람이 다시 신입으로 지원하려고 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경력 3년이 시장에서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준이라는 것을 지원자 스스로 이야기하는 형국이라는 뜻이다. 즉, 중고신입으로 어딘가에 지원하려고 한다면, 3년 미만의 경력이 가장 좋다.

지원하려는 직무 혹은 업계 연관성이 있는 경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위의 3년 경력은 지원하려는 직무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거나, 혹은 최소한 같은 업계에 관련된 경력이어야 한다.

예를들어, 네이버에 ‘서비스기획’이라는 직무로 지원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 내가 가지고 있으면 좋은 경력은 당연히 해당 직무로 다른 기업에서 일해본 경험이라면 가장 좋다. 모든 채용공고에는 담당 ‘직무’가 쓰여있기 마련이고, 해당 직무는 그 회사에서 어떤 일을 요구받는지가 직무소개, 혹은 Job Description에 모두 설명되어 있다. 즉, 내가 가진 경력 또는 내가 갖춰야 할 경력이, 내가 지원하려는 직무와 일치한다면 가장 좋다.

만약 해당 직무로 일을 해본 경험이 없지만, 해당 직무로 업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우리는 신입으로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도 가능하다.)라면 다른 지원자들보다 어떤 무기가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좋다. 동종업계에서 다른 일을 해본 경험 (예로, 카카오에서 서비스 운영 관련 일을 해보았다거나, 혹은 카카오에서는 마케팅을 했다거나)도 신입으로 지원하게 될 때는 도움이 된다. 어찌 되었던 유사한 ‘회사’에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가, ‘업계의 연관성’이다.

공대생들의 경우 이러한 부분을 챙기기가 훨씬 수월하다. 기본적으로 어떤 분야로 지원할 때 필요한 기술이나 경험이 매우 구체적이다. 대표적으로 개발 직군의 예를 들어보자면, 회사가 주력으로 하는 사업에 따라 어떤 경험이 필요한지를 구체적으로 명기해 두는 것이 보통이다. 워낙 뚜렷하게, 필요한 기술 이름까지 구체적으로 채용공고에 명기하는 편이라 해당 분야를 준비하는 사람은 한번에 알아볼 수 있다.

지원하려는 회사의 직무, 또는 업계와 연관성이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을지는 사실 취업준비생들의 눈으로는 잘 알기 어려울 수 도 있다. 그래서 ‘실무자’의 눈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 부분도 사실 여러가지 팁이 있다. 다만 내용이 제법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이후 소개할 ‘첫 회사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다룰 때 자세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여기서는 중고신입은 ‘직무/업계 연관성’이 있는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사람 정도로 정리를 하고 넘어가기로 하자.

그럼 왜 굳이, ‘경력직’이 이직이 아니라 중고신입을 선택하는 걸까?

첫 직장은 평생 커리어에 영향을 준다.



연봉은 '곱연산'이다. 처음 초봉을 기준으로 몇 %를 올리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첫 숫자가 중요하다. 초봉이 낮으면 상승률이 높아도 불리하다. 직장인 연봉, 아무리 올라봐도 전문직 아닌 평사원이면 1억이 최대라는 말도 있다지만, 중요한 것은 한해 한해 쌓이는 격차다.

연봉 외에도, 나쁜 회사에서는 경험을 쌓을 일이 현저히 부족하다. 나쁜 회사일 수록, 보상이 좋지 않은 만큼 열심히 일하려는 사람들이 없다. 즉, 일을 배울만한 사람도 없을 확률이 높고, 일 다운 일 자체도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직장인이 일을 배운다는 것은 결국 현업을 통해 많은 경험을 축적하는 것인데, 일 다운 일이 적으니 계속 안좋은 경험만 쌓일 수 밖에 없다. 그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짬만 찬다." 혹은 "나이를 X구멍으로 먹는다." 는 상황이다. 안타까운 시간만 간다 이 뜻이다.


우선, 이 이야기를 하기 앞서 ‘나쁜 회사’의 특징에 대해 다시 한번 짚어 보자.  

  •     초봉이 낮다. 즉, 오래 다녀도 연봉이 잘 오르지 않는다.  
  •     스스로 성장하기 위한 일을 찾기 어렵다.
  •     좋은 사수를 만나기 어렵다.
  •     기업문화가 나쁘다. (워라밸이 없거나, 휴가를 쓰기 어렵거나.)  

위의 이야기를 그대로 반대로 뒤집으면, 좋은 회사가 된다. 즉, 초봉이 높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일을 만나기 쉬우며,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훌륭하고 기업문화가 좋은 회사다. 이런 회사에서 ‘신입’으로 커리어를 시작하면 어떤 좋은 점이 있을까? 왜 굳이 경력을 버리고 새롭게 시작을 하려고 하는걸까?

이는, 첫 회사가 가지는 의미가 생각보다 커리어에 있어 미치는 영향이, 생각외로 매우 크기 때문이다.

초봉이 낮으면 계속해서 불리하다.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일한다. 경제적으로 걱정이 없으면, 회사일 말고 내가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다. 평범한 직장인에게는, 급여가 직장생활을 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다.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경력직으로 연봉이 오르는 것 보다, 대기업 초봉이 높을 수 있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100대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회사 중 100위를 차지한 회사는 ‘고려아연’이다. 코스피에도 상장되어 있는 이 회사는 유가증권 시장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상위 200개 종목 안에 포함될 정도로 튼실한 회사다. 회사소개에는 ‘연, 아연 제련,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이라고 되어 있다. 사람인에 공개된 기업정보에 따르면 1000대 대기업 내에 속하고, 4년재 대졸 사원의 평균 연봉은 4,051 만원이다. 이는 성과급을 제외한 수준으로, 실적에 따라 다르지만 성과급을 포함하면 보통 연 4,400만원을 받는다고 한다.

인쿠르트에서 831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신입사원 초봉 평균은 2800만원이었다.

통상적으로, 이직을 하는 경우에 연봉을 ‘잘’ 올리면, 10~20% 정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특히 20% 정도 혹은 그 이상을 올리는 경우에는 이직 시에 협상이 잘 되고, 이전 성과를 잘 인정받아 ‘승진’을 함께 하며 이직하는 경우가 많다.

신입사원 초봉이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매년 3% 올랐다고 가정해보자. 만 2년을 채운 3년차가 되었다고 가정하면, 두번의 연봉 상승이 있다. 3%씩 2번 상승을 하게 되면, 연봉은 2,970만원이다.

여기에, 이직 시에 정말 잘 협상이 되어 20%를 올렸다고 생각해보자. 여기에 1.2배를 곱하면, 3,564만원이 나온다.

중소기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여 이직과 함께 20%를 올렸다고 한들, 국내 대기업 순위 100위에 있는 회사의 신입 초봉이 이보다 더 높다. 연봉이 높기로 소문난,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과 같은 회사는 초봉만 4천 초반에 인센티브는 천만원 단위가 나오기도 한다. 즉, 도무지 따라갈 수가 없는 수치에서 ‘초봉’이 시작하기 때문에 과감히 중소기업에서의 경력을 버리는 것이다.

내가 10년간 회사생활을 하면서 배운 점 한 가지는, 결국 사람들이 그런 선택을 많이 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가치판단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좋다. 나의 견해가 달라도 관계없다. 그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추론해보고, 나도 같은 선택을 할 때 나에게 득이 될지를 고민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그런 맥락에서, 왜 취업시장에 중고신입이 늘어나는지를 좀 더 이야기해보자.



이 글의 내용은 브런치에서 연재중인 "취준생을 위한 중고신입 전략"의 일부를 발췌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