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해당 포스트는 유투브 혁펜하임을 참조해서 작성하였습니다.

미분식 dx(t)/dt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하기

미분식 dx(t)/dt를 푸리에 변환 수식으로 전개해서 푸는 방법 보다는 역푸리에변환(Inverse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해서 쉽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1)

수식(1)은 역푸리에 변환 수식입니다. 푸리에 변환은 1대1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역푸리에 변환값을 구하면 변환 전 값을 알 수 있습니다.

수식(1)을 t에 대해 미분하겠습니다. 수식(1)의 우변은 오메가(ω)로 적분 되기 때문에 오일러 지수의 t 부분만 미분을 하면 됩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2)

수식(2)에서 빨간색 부분이 미분식에 1대1 매칭이므로 미분식에 대한 푸리에 변환 값은 jwX(w)가 됩니다.

미분식 dx(t)/dt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하기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미분방정식(LCCDE)에 대해 왜 사용하는지와 언제 사용하는지에 대해 앞서 알아보았습니다(https://scribblinganything.tistory.com/618).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3)

위와 같은 수식(3)의 미분 방정식이 있을 경우 입력을 x 출력을 y로 생각했을 때 해당 시스템이 LTI 시스템을 통과할 경우 전달 함수(H) 또는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 H)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풀이 해보겠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4)

수식(3)을 수식(2)를 사용해서 푸리에 변환하면 수식(4)와 같이 나옵니다. 

전달함수(임펄스 응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5)

수식(5)는 주파수에서의 전달함수 값입니다. 수식(5)의 값을 다시 역푸리에변환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6)

역변환은 푸리에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적분식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하기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7)

수식(7)과 같은 적분식을 푸리에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8)

수식(7)은 수식(8)과 같이 Step Function(스텝 함수) u(t)를 위와 같이 적분한 형태와 동일 합니다. 그리고 이는 컨볼루션(Convolution)의 적분식과 동일한 형태입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9)

컨볼루션 값을 푸리에 변환하면 간단하게 주파수(Frequency)에서 곱의 형태로 표현 될 수 있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수식(10)

스텝함수(Step Function, u(t))의 푸리에 변환을 변환 테이블에서 찾으면 수식(10)과 같습니다. 이를 수식(9)에 대입하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푸리에 변환 풀이 - pulie byeonhwan pul-i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미분 방정식의 풀이

📂푸리에해석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미분 방정식의 풀이

how to solve heat equation using fourier analysis

설명

푸리에 급수와 푸리에 변환은 열 방정식을 풀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물론 열 방정식 뿐만 아니라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른 미분 방정식을 풀 때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푸리에 급수는 양자 물리학에서 입자의 에너지를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서 계산할 때 사용된다. 많은 물리학과 학생들은 그것이 푸리에 급수라는 것인지는 모르고 사용하긴 하지만 말해주면 뭔지는 안다.주어진 미분 방정식의 조건에 따라서 푸리에 변환과 푸리에 급수 둘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해야하는지가 정해진다. 문제에서 주어진 범위가 유한할 때는 푸리에 급수를, 문제에서 주어진 범위가 무한할 때는 푸리에 변환을 사용한다.

풀이

다음과 같은 열 방정식이 주어졌다고 하자

$$ u_{t}=k u_{xx} (-\infty < x< \infty) $$

$$ u(x,0)=f(x) ( -\infty < x< \infty)
$$

양수인 시간 $t$에 대해서 경계조건이 없다. $u$와 $f$가 급격히 감소하여 $x \rightarrow \pm \infty$일 때 $0$으로 수렴한다고, 즉 $L^1$ 함수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푸리에 변환이 존재한다. $x$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주어진 미분 방정식에 적용하면

$$ \mathcal{F} [u_{t}] (\xi,\ t) = k \mathcal{F}[u_{xx}] (\xi,\ t) $$

푸리에 변환의 성질 $\hat{[f^{\prime}]}=i\xi \hat{f}$을 우변에 적용하면

$$ \mathcal{F} [u_{t}] (\xi,\ t) = -k\xi^{2} \hat{u}(\xi,\ t) $$

이때 좌변을 풀어서 적으면 $\int u_{t}e^{-i\xi x}dx$인데 조건이 좋아서 적분과 미분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고 가정하자. 보통의 경우 마음대로 미분과 적분 순서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이런 유형의 문제를 풀 때는 거의 다 성립하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괜찮다. 그러면 $u$의 미분의 푸리에 변환이 $u$의 푸리에 변환의 미분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미분 방정식은 아래와 같은 간단한 상미분 방정식이 된다.

$$ \dfrac{\partial \hat{u}}{\partial t}(\xi,\ t) = -k\xi^{2} \hat{u}(\xi,\ t) $$

고정된 $\xi$에 대해서 위의 미분 방정식을 풀면

$$ \hat{u}(\xi,\ t) = \hat{f} (\xi) e^{-k\xi^{2}t} $$

양변에 푸리에 역변환 을 취하면

$$ \begin{equation} u(x,\ t) =\dfrac{1}{2\pi}\int \hat{f}(\xi) e^{-k\xi^{2} t}e^{i\xi x} d\xi \label{eq1} \end{equation} $$

이를 $u$에 대한 푸리에 적분 공식Fourier integral formula이라 부른다. 위 식을 푸리에 변환과 합성곱의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나타낼 것이다. 푸리에 변환의 성질 $(d)$ $\mathcal{F} [f \ast g]=\hat{f}\hat{g}$의 양변에 역변환을 취해주면

$$ f \ast g=\mathcal{F}^{-1}[\hat{f} \hat{g}] $$

$\eqref{eq1}$의 $e^{-k\xi ^{2}t}$를 어떤 함수의 푸리에 변환이라고 두면 위의 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athcal{F}[K_{t}] (\xi)=e^{-k\xi^{2} t}$라고 하자. 그러면 식 $\eqref{eq1}$은

$$ \begin{align*} u(x,\ t) &= \dfrac{1}{2\pi} \int \hat{f}(\xi) \hat{K_{t}}(\xi) e^{i\xi x} d\xi \\ &= \mathcal{F}^{-1}[\hat{f}\hat{K_{t}}] (x) \\ &= f \ast K_{t}(x) \end{align*} $$

이제 $K_{t}$를 구할 차례이다. 처음 정의했던 식의 양 변에 역변환을 취하면

$$ \begin{align*} K_{t}(x)= \mathcal{F}^{-1} \mathcal{F}[K_{t}] (x) &= \mathcal{F}^{-1} \left[ e^{-k\xi ^{2} t} \right] \\ &= \dfrac{1}{2\pi} \int e^{-k\xi^{2} t}e^{i\xi x} d\xi \\ &= \dfrac{1}{2\pi} \int e^{-k\xi^{2} t}e^{-i\xi (-x)}d\xi \\ &= \dfrac{1}{2\pi} \mathcal{F} \left[e^{-k\xi^{2}t} \right] (-x) \\ &= \dfrac{1}{\sqrt{4\pi kt}}e^{-x^{2}/4kt}dx \end{align*} $$

마지막 수식은 가우스 함수의 푸리에 변환 공식 으로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u$에 대입하면

$$ \begin{align*} u(x,\ t) &= f \ast K_{t}(x) \\ &= \int f(y) K_{t}(x-y) dy \\ &= \dfrac{1}{\sqrt{4 \pi kt}} \int f(y) e^{-(x-y)^{2}/4kt}dy \end{align*} $$

처음 주어진 미분 방정식의 조건에 $u(x,\ 0)=f(x)$가 있었으므로 $\lim \limits_{ t\rightarrow 0} u(x,\ t)=\lim \limits_{ t\rightarrow 0} f \ast K_{t}(x)=f(x)$라면 $f$가 적절하고 위 문제에 잘 들어맞는 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실제로 성립하고 증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