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의약품 보관기간

약은 언제까지 보관할 수 있나요? 약사님께서 답변해드립니다.

더파머시 약사님 TIP 💡

“개봉하여 1~2번 마신 생수의 보관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라는 질문에 일률적인 답변을 할 수 없듯이, 의약품의 보관기간도 일률적으로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개봉한 생수도 마시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생수병 안으로 들어갔는지, 마개를 닫지 않아 이물질이 들어갔는지, 직사광선이나 고온에 얼마나 오래 노출이 되었는지에 따라 그 기간이 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약품도 정상적인 보관 조건을 벗어났는지 여부나 개봉 후 습기나 직사광선에 얼마나 노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보관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 보관기간은 보관조건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를 중심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더파머시 대표약사님

원칙

  • 개봉되지 않은 완제품 형태의 미개봉 의약품의 경우에는 용기에 표기된 ‘의약품 유효기간’까지 보관이 가능합니다. 약국에서 구매하는 일반의약품이나, 처방전에 따라 조제받은 의약품 중 개봉되지 않은 상태로 조제받은 미개봉 의약품 모두, 용기에 표기된 유효기간까지 복용·사용 가능합니다.
  • 처방전에 따라 소분되거나 개봉혼합포장된 의약품의 경우 보관기간은 처방기간(처방전에 기재된 총 투약일수)입니다. 예를 들어, 5일분 처방을 받으신 경우, 해당 의약품은 처방일로부터 5일간 전부 복용하는 약이므로, 복용기간인 5일이 의약품의 보관기간이 됩니다.

약효 유지 기간

일반적으로 약효가 유지되는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래의 알약 통을 그대로 받은 경우 : 개봉시점부터 1년 이내 –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and National Formulary (currently USP 24-NF 19)에 나와 있다.
  • 원통을 다른 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Repackaging) 알약의 경우 : (예> 혈압약 1달치) 6개월 이내 – USP에 근거한 미국약사회 실무지침.
  •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터 낱개 포장인 알약의 경우 : 포장지의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일부 특수 약품은 제외).
  • 원래의 시럽제(물약)를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 개봉 후 28일 이내 – 미국의 대부분 시럽제 제품 설명서에 이렇게 표기되어 있음.
  • 한 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에 맞추어 덜어서 조제해준 경우 : 14~28일 이내 – USP에는 14일 이라고 나왔는데 우리나라와는 상황이 좀 다름. USP는 시럽에 무엇인가 혼합되는 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 투약병에 두 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 14일 이내 – USP795의 non-sterile compounded products 규정을 따름.
  • 건조시럽제(가루형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 경우 : 14일 이내(제품설명서를 우선적으로 따른다. 예> 오구멘틴 시럽 냉장보관으로 7일 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 상온에서 15일 까지)
  •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 준 경우 : 60일 이내 – USP29 CUSTOMIZED PATIENT MEDICATION PACKAGES 규정을 따름. 미국에서는 patient med pak으로 불리며 약포지 포장방식은 Strip/Pouch Packaging이라고 표현한다. patient med pak이란 고체상태의 약품 두 가지 이상을 한 번에 포장하여 시리즈 포장지로 제공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장점은 투약오류를 줄이고 알약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운반의 편리성 증가 등이 있다.
  •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은 경우 : 개봉 후 6개월 이내 (항상 뚜껑을 잘 닫아야함)
  •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 30일 이내 – USP795규정
  •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 30일 이내 (가루약의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있음)
  •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의 경우 : 개봉 후 28일 이내 – 보존제를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되며 USP 797 sterile compounded products 규정을 따른다.
  • 1회용 사용 안약 등은 사용 후 즉시 폐기한다.
  • IV나 주사제 bag은 개봉 후 1시간 내에 투여를 해야 한다.

References: 대한약사회 약바로쓰기운동본부

  • 약보관기간
  • 약보관
  • 약 유통기한
  • 약유효기간
  • 의약품 보관
  • 의약품 유효기간
  • 의약품유통기한
  • 의약품보관방법
  • 가루약보관
  • 안약보관
  • 안약유통기한
  • 안약유효기간
  • 가루약 유통기한
  • 시럽약 유통기한
  • 물약 유효기간
  • 물약 유통기한
  • 개봉한 약 보관
  • 개봉한 약
  • 개봉한의약품
  • 개봉한 의약품

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 ������ ��(�) ������� ����

���س� �コ���� ����

  • �� -
  • �� +

2019/11/25 17:50

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 ���� �������� �к��� ���·� �������� ȿ���� �����Ǵ����� �ǹ��Ѵ�./����=Ŭ����Ʈ�ڸ���

�࿡�� ��������� �־� ���ǰ� �ʿ��ϴ�. ���� '��ȿ�Ⱓ' �Ǵ� '������'���� ǥ���Ѵ�.

�ݵ�� �˾Ƶ־� �� ���� �� �������̶� ���� '����� �������� ���' '���� �������� �ʾ��� ���'���� �ش��Ѵٴ� ���̴�. ���� 70% �̸��� �µ� 15�� �̸�, ���籤���� ���� �ʴ� ��ο� ���� �����ϴ� ���� ���� ����� �����ϴ� �������� ����̴�. ���� �� �������� �к����·� �������� ȿ���� �����Ǵ����� �ǹ��ϱ� ������ �� ������ ��� ���빰�� ���� �߿� ����Ǹ� �������� ���Ҵ��� ��ȿ�� �������ų� �����Ǵ� ���� ���� ���ɼ��� ũ��. Ư�� �÷�, ����, ����, �Ⱦ��� ���� �� ���� ���ɼ��� �� Ŀ ���ǰ� �ʿ��ϴ�. ���� ����� �˾��� ������ �޸鿡 ������ ���õ� �������� ���Ѿ� �Ѵ�. ���뿡 �˾��� ���� �� ��� ��ǰ�� �����ϰ� ���� 1�� �̳��� �����ϴ� ���� ����. ���� ���� ��ǰ�� 6���� �̳�, ���ࡤ�÷��� 4�� �̳��� ����Ѵ�. �¾�� �Ϻ� �Ⱦ��� ���� ��� ����ϰ� ���� ���� ������. �������� ó����� ���� ó���ϼ���ŭ�� ����ϴ� ���� ��Ģ�̴�. ���� ���� ������ ������ ��Ÿ���� �� ���Ƿ� ����ϸ� ���ۿ� ������ Ŀ����.

����, �ν��� �ֻ糪 �׻��� �ֻ�� ���� �������� ����, �Ѿ��� �ֿ����� ���� ����, ����� ����, ���������ϰ� ������� ����ĸ���� ��� �������� �ʾҴٰ� �ؼ� ������ �Ƚ��ϸ� �� �ȴ�. ���� ������ ����� �µ� ��ȭ�� ����� ����̱� �����̴�. ������ ����� ���� ������ ���� �� �����ǰų� �����̰� �Ǵ� ��찡 �ִ�.

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유통기한’이 아닌 ‘유효기간’ 확인

많은 사람이 약의 ‘유통기한’이 언제냐고 묻곤 하는데, 올바른 표현은 ‘유효기간’이다. 우리가 실질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약효가 유지되는 기간’이기 때문. 약의 유효기간이란 약의 효과가 90% 정도 유지되는 기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2~3년 정도이긴 하나, 구체적인 기간은 약마다 다르기 때문에 약에 표기된 유효기간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은 약이 포장된 박스 겉면에 표기되어 있지만 연고제는 연고가 담긴 튜브에, 병으로 포장된 것은 해당 용기에, 알약은 블리스터(캡슐이 개별 포장된 것)에 표기되어 있다.

여기서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 점이 병이나 포장지에 표기된 ‘유효기간’까지 약을 먹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표기된 유효기간은 약을 ‘개봉하기 전’ 약효가 유지되는 기한을 의미하므로 약을 개봉한 경우에는 표기된 유효기간까지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 

약 보관은 ‘건냉암소’로

대부분의 약은 건조, 시원, 어두운 곳 보관해야 한다. 약은 '건냉암소'로 보관하지 않으면 약효 보존에 악영향을 끼친다. 특히 한국의 약 포장 방식(아침·점심·저녁 약을 한꺼번에 한 봉지에 넣어 찍어주는 것)은 복용에 편리할 수는 있으나 습기나 빛에 노출되기 쉬워 약효 보존에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해외의 경우 약을 해당 병에 넣어 개별적으로 조제해가는 반면, 국내 환자들의 경우 약효 보존을 위해 그렇게 받아 가길 권해도 한 봉지에 담아주길 원한다. 한여름 장마철 병에 들어 있는 약은 수십 일이 지나도 변질이 되지 않았지만 한 봉지에 넣어 조제해간 약은 상온에 둘 경우 약이 변질하고 부풀어 터졌다는 사례가 있다. 병에 넣은 경우에도 자주 열어도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렇듯 약은 보관 방법에 따라 약이 변질할 수 있고 약효가 감소해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일단 개봉한 약은 유효기간까지 효능을 보장할 수 없다.

미개봉 약 유통기한 - migaebong yag yutong-gihan

언제 개봉했느냐가 중요

약의 유효기간에서 결정적 포인트는 ‘언제로 표기되어 있느냐’보다 ‘언제 개봉했느냐’이다. 그렇다면 이미 개봉한 약은 언제까지 복용 가능할까? 한국병원약사회에서 마련한 ‘의료기관 내 개봉 의약품 관리지침’에 따르면 경구용 약의 경우 병에 많이 든 알약은 1년,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소분한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는 개봉 후 6개월까지 사용 가능하다.

약국에서 구입한 일반 약의 경우 진통제, 감기약 등 한 알씩 낱개로 포장된 약은 개봉 전이라 볼 수 있으므로 박스에 표기된 유효기간까지 복용 가능하고, 낱개 포장이 되지 않은 물약의 경우는 개봉 후 한 달간 복용 가능하다.

가끔 남은 약을 한 보따리 들고 약국에 와서 먹어도 되는지 물어보는 분들이 있는데, 이른바 ‘불용 재고’라 불리는 약들이어서 폐기해드리겠다고 해도 아까운 마음에 다시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차마 말리진 못하지만, 특히 항생제 같은 조제약의 경우는 해당 질병에만 복용하도록 처방 받은 약이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충분히 남았어도 재복용은 지양해야 한다.

기획 이인철  일러스트 조성흠

[이런 기사는 어때요?]

>>70대 유튜버 ‘액티브 유조’의 평생 현역으로 사는 법 

>>불안한 은퇴준비생들이 현직에서 준비해야 할 3가지

>>전통시장에서 찾은 직업, 참기름 소믈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