쾨펜 기후 구분 표 - koepen gihu gubun pyo

In the study, Ko¨ppen system i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limate classification of S. Korea for 70 years from 1931 to 2000. On the basis of mean temperature and mean rainfall represented in the Korea climatic table issu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ppen system is applied to...

In the study, Ko¨ppen system i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limate classification of S. Korea for 70 years from 1931 to 2000. On the basis of mean temperature and mean rainfall represented in the Korea climatic table issu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ppen system is applied to four groups: from 1931 to 1960, from 1951 to 1980, from 1961 to 1990 and from 1971 to 2000. In case of the group from 1931 to 1950, mean values of their establishment are used when observatories had so short a history that they didn't accumulated enough data. And data which couldn't be measured properly during Korean war is used with some values missed. In case of the group from 1951 to 1980, data is based on the climatic data acquired by 23 observatories. But the period of Korean war when observation couldn't be executed is totally excluded in some areas. And the date of which observation period was less than 30 years is included while less than 5 years is not. In case of the group from 1961 to 1990, data is based on the climatic data acquired by 52 observatories. In case of the group from 1971 to 2000, data is based on the climatic data acquired by 63 observing stations. Ulleungdo and Jejudo are not included in the observing stations. In case of the group from 1931 to 1950, though there was only 11 observing stations, Seoul, Incheon, and Yeosu were classified as Cwa climate region and Gangneung, Chupungnyeong, Jeonju, Gwangju, Mokpo, Pohang, Ulsan and Busan were classified as Cfa climate region. This means that Seoul, Incheon, and Yeosu had a dry winter and long and hot summer and other areas had a very humid weather all the year round and had a warm winter and long and hot summer. In case of the group from 1951 to 1980, Seoul, Incheon, Suwon, Daegu and Yeosu were classified as Cwa climate region, Chuncheon as Dwa climate region, Sokcho as Cfb climate region, and other areas in the southern part as Cfa climate region. Compared with the climate classification from 1931 to 1960, the climate classification from 1951 to 1980 show no difference but becomes more detail thanks to more observing stations. From the climate classification from 1951 to 1980 it can be known that inland area of Gangwondo was Daw climate area and had a colder winter than coast area like Seoul and Gyeonggi area which are located at the same latitude. From 1961 to 1990, Cwa climate region in Gyeonggi area expanded as Ganghwa, Suwon, Icheon, Chungju, Geochang and Sancheong were classified as Cwa climate region. In the southern part there appeared a band shaped Cwa climate region which connected Daegu, Geochang, Sancheong and Yeosu as Geochang and Sancheong were additionally classified as Cwa climate region other than Daegu and Yeosu. Inje area was classified as Dwb and Daegwnaryeong as Dfb. In other words Inje area has dry winter and long and cool summer, and Daegwanryeong has a humid weather all the year round and cold winter and long and cool summer. From 1971 to 2000, Cwa climatr region in Gyeonggido area expanded while Dwa climate region decreased as even Chncheon, Wonju, and Youngju were classified as Cwa climate regio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warmer winter caused by the warmer temperature which comes from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out 1970s and 1980s. In addition, Daegwanryeong changed into Cfb climate region. As Taebaek area started observing, Taebaek was classified as Dfb climate region. And Chunyang area also started observing and was classified as Cwb. Chunyang proved to have dry winter and long and cool summer, whi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limate classification of neighboring areas. Daegu, Geochang, Sancheong and Yeosu which used to be classified as Cwa changed into Cfa, so the weather of these areas had no more dry winter but because humid all the year round. As a result of applying Ko¨ppen system to the four groups which were divided by the 30 year of period, in northern part of S. Korea and Gyeonggi area were classified as Cwa, island part of Gangwondo as Dwa and coast area of Gangwondo as Cfa or Cfb. Though southern part kept on being classified as Cfa in general. some areas like Daegu, Yeosu, Geochang and Sancheong which used to be Cwa changed into Cfa from 1971 to 200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limate classification of South Korea didn't change as a whole though there were a little minor changes in some areas. But the expansion of Cwa climate region in middle part is thought to be because of urbanization. And the fall of summer temperature in the east coast of Gnagwondo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a cold oceanic air mass.

우리나라는 중위도 온대기후 지역에 속해 4계절이 뚜렷하고 사람이 살기 좋은 위치에 있어요. 하지만 하루하루마다 날씨는 또 달라요. 그래서 우리는 아침에 TV나 스마트 폰을 통해 일기 예보를 보고 집을 나서죠. ‘비가 오는지? 날씨가 더운지, 추운지?’를 확인하고 날씨에 맞는 옷을 입고 우산이나 선글라스를 챙겨요. 일기 예보로 하루를 시작하는 것은 이제 일상생활이 되었어요. 그런데 여러분, 날씨와 비슷하게 쓰이는 단어가 있답니다. 바로 기후와 기상, 일기라는 말이에요. 이 단어는 다른 의미일까요?

쾨펜 기후 구분 표 - koepen gihu gubun pyo

일반적으로 날씨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일기'에요. 1주일 또는 하루 동안의 대기 현상을 종합하여 말할 때 사용하는데요. ‘오늘의 날씨, 주간 날씨 예보, 일기 예보’ 등으로 사용해요. 두 번째, 기상이라는 말은 대기 중에 나타나는 하나하나의 물리적 현상을 말해요. 예를 들어 ‘덥다, 춥다, 비가 온다.’ 등의 상태를 표현한답니다. 세 번째, 기후는 지구상의 특정 장소에서 매년 되풀이되는 가장 보편적인 대기의 종합 상태를 말해요. 짧은 기간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의 평균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하죠. ‘온대기후, 열대기후’ 등의 표현을 보면 이해가 되죠? 기상은 자연 현상만을 대상으로 설명하지만 기후는 대기의 종합적인 결과를 인간 생활과 관련하여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한답니다.

■기후(氣候, Climate)라는 말은 언제부터 사용된 것일까?

동양에서는 중국이 가장 먼저 기후라는 단어를 사용했어요. 기원전 2000년경 황제내경이라는 책의 소문편에서 계절을 구분하는 용어로 사용했는데요. 내용을 보면 ‘5일(日)을 후(候)라 하고, 3후(後)를 기(氣)라 하며, 6기(氣)는 시(時), 4시(時)는 세(歲)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어요. 즉, 1년을 24기(氣)와 72후(後)로 구분하면서 기후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이죠. 농경 사회였던 동양에서의 기후는 1년의 계절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답니다.

서양의 기후(climate)는 그리스 어 ‘clinein’에서 유래한 단어로 ‘기울어지다.’라는 의미인데요. 즉,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지면서 입사각의 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위도별로 기후의 차이를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생각했답니다. 서양의 기후는 기후의 발생 원인에 중점을 둔 의미로 동양의 의미와 차이가 있어요.

■쾨펜, 전 세계의 기후를 체계적으로 구분하다

전 세계의 기후를 처음으로 구분한 사람이 있는데요. 독일의 기후학자 쾨펜이에요. 1923년 쾨펜은 ‘Der klimate der Erde’라는 책에서 식생의 분포를 바탕으로 세계의 기후를 구분했어요. 하지만 식생의 분포로 기후 구분선을 긋는 것이 아니고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 요인인 기온과 강수량을 이용하여 기후를 구분했답니다.

쾨펜 기후 구분 표 - koepen gihu gubun pyo

▲쾨펜의 기후 구분 모습(출처 : 에듀넷) 

쾨펜은 기후를 1차적으로 열대기후, 건조기후, 온대기후, 냉대기후, 한대기후로 구분했어요. 적도에서부터 나타나는 기후를 ‘A, B, C, D, E’로 이름 붙였는데요. 즉, 열대기후를 A 기후라고 표시했어요. 쾨펜의 기후 구분을 보면 먼저 강수량과 기온의 관계에 따라 습윤기후와 건조기후를 구분해요. 단순히 강수량의 절대량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온과 강수량의 상호 관계에 따라 건조기후를 구분한 것이에요. 일반적으로 강수량 250mm 이하 지역을 건조기후(B)라고 구분하기도 한답니다.

습윤기후는 기온에 따라 다시 구분해요. 열대기후(A)는 최한월 평균 기온 18℃ 이상, 온대기후(C)는 최한월 평균 기온 -3℃~18℃일 때에요. 또 냉대기후(D)는 최한월 평균 기온 -3℃ 미만, 최난월 평균 기온 10℃ 이상, 한대기후(E)는 최난월 평균 기온 10℃ 미만일 때를 말해요. 최한월 평균 기온 18℃는 열대림의 생장 한계이고, 최한월 평균 기온 -3℃는 온대림의 생장 한계, 최난월 평균기온 10℃는 냉대림의 생장 한계를 의미한답니다.

쾨펜 기후 구분 표 - koepen gihu gubun pyo

▲쾨펜의 기후 구분 1차 구분(기온에 의한 구분) 모습(출처 : 에듀넷)

2차 구분은 강수량에 따라 한답니다. 비가 오지 않는 건기의 시기를 가지고 구분해요. 독일어로 ‘trocken’은 건기를 나타내며 ‘w’는 겨울이 건기인 지역이고, ‘s’는 여름이 건기인 지역이에요. 독일어로 ‘fehlen’은 ‘없다’라는 의미로 ‘f’는 건기가 없는 일 년 내내 비가 내리는 지역을 의미해요.

쾨펜 기후 구분 표 - koepen gihu gubun pyo

▲쾨펜의 기후 구분 2차 구분(강수량에 따른 구분) 모습(출처 : 에듀넷)

1차와 2차를 종합해 보면 Af는 열대기후인데 연중 비가 내리는 지역으로 우리는 ‘열대우림’이라고 부르는 지역이에요. Cs는 온대 기후 중 여름이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요. 이렇게 전 세계 기후를 구분하였으며 위도상 넓게 분포하는 온대와 냉대 기후는 3차 구분을 하기도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