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모음 차이 - ja-eum mo-eum chai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과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학습자가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음성언어에 대한 이해와 기본적으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자음은 조음 기관을 통과할 때, 완전 또는 불완전한 장애를 받는 소리이다. 그러나 모음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 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는 소리를 말한다. 예로는 자음, ‘ㄱ, ㄴ,ㄷ,ㄹ,……ㅍ,ㅎ,ㄲ, ㄸ,…’, 모음, ‘ㅏ,ㅑ,ㅓ,ㅕ,ㅜ,ㅠ ,ㅡ,ㅣ……’등을 들 수 있다.

2. 한국어의 음성분류 방식

1) 자음의 분류 방식

대표적인 한국어 자음 분류 방식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그리고 유기음과 경음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먼저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는 기류의 방해가 일어나는 위치, 즉 그 발음의 특성을 만들어 주는 위치가 발음기관의 어디인가에 따른 분류이다. 대표적인 분류의 방식으로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방식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방식에 따른 분류하는 것으로, 이러한 분류에는 기류를 일시에 막았다가 터뜨리는 방법, 기류의 통로를 작게 하고 그 사이로 기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표적인 분류 방식으로,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위의 분류 방식에 따른 소리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양순음 : 두 입술이 맞닿아서 나는 음이다. 윗입술은 고정부, 아랫입술은 능동부라고 한다. 한국어의 /ㅁ/, /ㅂ/, /ㅃ/, /ㅍ/이 여기에 속한다.

치조음 : 혀의 날 부분이 윗, 앞니 뒷면과 맞닿아 있는 잇몸 부위인 치조와 맞닿거나 좁혀져 나는 소리이다. 혓날과 잇몸이 맞닿을 경우에는 /ㄷ/, /ㄸ/, /ㅌ/, /ㄴ/, /ㄹ/이 발음되고, 그 사이가 좁혀진 경우에는 /ㅅ/, /ㅆ/이 발음된다.

경구개음 : 한글의 자음을 소리 나는 위치에 따라 나눌 때 센입천장에서 나는 소리이다. /ㅈ/, /ㅉ/, /ㅊ/ 등이 있다.

연구개음 : 혀의 뒷부분(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ㄱ/, /ㄲ/, /ㅋ/, /ㅇ/이 여기에 속한다.

후음 : 성문(후두부에 있는 발성장치)에서 두 성대에 의해 만들어지는 장음을 말한다. 'ㅎ'이 여기에 해당한다.

※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파열음 : 폐에서 나오는 날숨을 지속적으로 폐쇄하는 조음기관을 갑자기 개방하여 내는 파열적 음성. /ㅂ/, /ㅍ/, /ㅃ/이 여기에 속한다.

마찰음 : 두 조음기관의 간격을 아주 좁히고 그 사이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스쳐나가게 발음하는 음성. [ㅅ, ㅆ]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의 기류가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이며, [ㅎ]은 두 성대가 좁혀져서 그 사이를 나오는 기류가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다.

파찰음 : 파열음 직후에 파열음과 조음점이 같은, 마찰음이 이어져 나는 자음. [ㅈ, ㅊ, ㅉ] 등이 여기에 속한다.

비음 : 조음에 있어서 구강의 어느 한 부분을 폐쇄하고 연구개를 내려 코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나는 소리. [ㅁ, ㄴ, ㅇ]이 여기에 속한다.

유음 :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날숨을 양옆으로 흘려 보내면서 내는 소리. [ㄹ]이 여기에 속한다.

※ 유기음과 경음

유기음 : 파열음은 파열 직후 곧 그 뒤에 오는 모음의 성대 진동이 시작되는 게 일반적인데 이런 음을 무기음이라고 한다. 그러나 파열 부 약간 늦게 성대 진동이 시작되면 파열 뒤의 기(氣)에 의하여 계속적 조음이 들리게 되는데 이것을 기(氣)라 하고 기를 수반한 음을 유기음이라 한다.

경음 : 구강 안의 기압 및 조음 기관의 긴장도가 높아 강하게 파열되는 음성이며, 국어의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이 이에 속한다.

2) 모음의 분류 방식

모음은 자음과 반대로 다름 음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으며 모음을 분류하는 기준은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ㅣ, ㅜ], 중모음[ㅓ, ㅗ], 저모음[ㅐ, ㅏ]으로 나누고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ㅣ, ㅔ], 중설모음, 후설모음[ㅡ, ㅓ]으로, 입술의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ㅗ, ㅜ], 평순모음[ㅣ, ㅡ]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

한국어의 단모음은 모든 나라의 모음 발음과 비슷하고, 자음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발음이 실현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설명한다. 단모음의 학습이 완료되면 기본자음 그리고 응용 단계인 이중모음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에만 특수하게 존재하며 발음하기 어려운 평음 격음 경음 순으로 학습을 진행하며 배운 자음과 모음의 결합방법 및 발음의 연습을 함께 하도록 한다. 위의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지도 순서는 발음이 쉬운 순서로부터 어려운 순으로 학습하여 학습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자음과 모음의 결합 관계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널리 통용되고 있다.

*  작성한 레포트를 무료로 공개해보았습니다. 혹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포스팅 안에 광고들 살짝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 교원 레포트 자료의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데 큰 격려가 됩니다!! :-)  

모음(母音, 영어: Vowel) 또는 홀소리는 음성학에서 자음과 차별되는 음운으로, /a/, /e/, /i/,/o/, /u/와 같이 성문(glottis) 위의 어떤 특정 지점에서 공기 압력이 형성될 때 열린 성도를 통해 특별한 장애를 받지 않고 발음되는 구어의 소리이다.

어원[편집]

모음은 자음과 달리, 홀로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순우리말로 '홀소리'라고 정의되었고,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데 반드시 모음을 필요로하므로, 모음은 한 음절을 발음하고 기록하는데 있어서 뿌리와 같은 존재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한자어에서는 어미 '모'(母)자를 따서 '모음'으로 정의되었다.

조음[편집]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비원순,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학적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모음 소리를 구분하는 조음의 특징은 모음의 '질(quality)'에 의해 결정된다. 대니얼 존스는 〈높이〉(height), 〈전후〉(backness), 〈원순화〉(roundedness)와 같은 공통 요소의 용어로 모음을 설명하기 위해 기본 모음 체계를 개발했다. 이 세가지 인자는 오른쪽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식적인 IPA 모음 다이아그램을 가리키고 있다. 모음의 음질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것 뿐만이 아니라 〈연구개의 위치〉(비음), 〈목청의 떨림〉(발성), 〈혀뿌리의 위치〉도 있다.

조음 음성학에서는 모음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우선 자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 음소의 목록과 각 모음 음소의 변이음 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각 모음 음소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기본 사항을 관찰하여 파악한다.

  • 혀의 위치는 어디인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 혀의 최고점이 입천장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고모음, 중고모음, 중저모음, 저모음
  • 입술 둥글임이 있는가? 원순 모음, 비원순 모음
  • 좁힘점이 어디에 형성되는가? 경구개음, 연구개음, 인두음

높이[편집]

모음의 높이는 입천장 또는 턱 아래와 관련된 혀의 수직적인 위치를 따서 이름을 붙였다. [i]와 [u]와 같은 고모음(高母音, high vowel)에서는 혀가 입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며, [a]와 같은 저모음(低母音, low vowel)에서는 입의 낮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IPA는 각각 폐모음(close vowel)과 개모음(open vowel)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며, 턱이 상대적으로 더 열렸는가 또는 닫혔는가를 설명해 준다. 그러나 모음의 높이는 〈조음의 질〉보다는 소리의 특질을 가지며, 오늘날에는 혀의 높이나 턱의 열림정도 보다는 최초의 포먼트(formant)에 의한 상대적인 빈도(F1)에 따라 정의된다. F1 값이 더 높을 수록 모음이 더 작아지며, 높이는 F1에 반비례한다.

혀의 최고점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국제음성기호(IPA)는 다음과 같이 분류를 했다.

  • 고모음 (close vowel)
  • 근고모음 (near-close vowel)
  • 중고모음 (close-mid vowel)
  • 중모음 (mid vowel)
  • 중저모음 (open-mid vowel)
  • 근저모음 (near-open vowel)
  • 저모음 (open vowel)

전후[편집]

자음 모음 차이 - ja-eum mo-eum chai

가장 높은 위치를 가진 전설 기본 모음의 혀의 위치, 가장 높은 고점은 모음의 높이나 전후를 결정하는데 사용

모음의 전후는 모음 소리를 낼 때 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이름지어졌다. [I]와 같은 전설모음은 입의 앞쪽에 위치하며, [u]와 같은 후설모음의 혀의 뒷쪽에 자리를 잡는다. 그러나 모음은 두 번째 포먼트의 빈도(F2)가 아니라 실제 조음운동에 따라 전후로 정의된다. F2 값이 높을수록, 전설모음이고, 전후는 F2와 반비례한다.

한 모음 음소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하기 위해서는 이 외에도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위의 네 가지 기준만으로 모음 음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국제음성기호는 모음의 전후에 따라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 전설 모음(front vowel)
  • 근전설 모음(near-front vowel)
  • 중설 모음 (central vowel)
  • 근후설 모음 (near-back vowel)
  • 후설 모음 (back vowel)

비록 영어가 전후의 정도에 의한 다섯 가지 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높이나 원순에 다른 차이없이 다섯 개 모든 것을 구분하는 언어는 없다.

원순(둥근 입술)[편집]

원순이라는 말은 입술이 둥글게 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말한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원순은 중, 고후설모음의 보강 특징이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보통 후설모음이 높을수록, 더 둥글어 진다. 그러나 독일어와 프랑스어, 그리고 대부분의 우랄어, 터키어, 베트남어, 한국어와 같이 원순과 전후를 따로 다룬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준으로 한국어의 여덟 개의 단순 모음 /ㅣ, ㅔ, ㅐ, ㅏ, ㅜ, ㅡ, ㅗ, ㅓ/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후〉혀의 최고점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 /ㅣ,ㅔ,ㅐ/는 전설 모음이다.
  • /ㅏ,ㅡ,ㅓ/는 중설 모음이다.
  • /ㅜ ,ㅗ/는 후설 모음이다.
  • 〈높이〉혀의 최고점과 입천장 사이의 거리에 따라
  • /ㅣ,ㅡ,ㅜ/는 고모음이다.
  • /ㅔ,ㅓ,ㅗ/는 중모음이다.
  • /ㅐ,ㅏ/는 저모음이다.
  • 〈원순화〉입술 둥글임에 따라
  • /ㅜ,ㅗ/는 원순 모음이다.
  • /ㅣ,ㅔ,ㅐ,ㅏ,ㅡ,ㅓ/는 비원순 모음이다.
  • 좁힘점의 위치에 따라
  • /ㅣ,ㅔ,ㅐ/는 경구개음이다.
  • /ㅡ, ㅜ/는 연구개음이다.
  • /ㅏ, ㅓ, ㅗ/는 인두음이다.

운율과 억양[편집]

모음 운율의 특징은 종종 모음 음질로 독립적으로 설명된다. 비유선형 음성학에서 평행층에 위치한다. 모음 운율의 특징은 보통 모음 그 자체에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간주되며, 음절에 적용된다.

억양(intonation)은 소리의 높낮이(pitch), 강도(intensity) 그리고 말의 속도(speed)이다.

모음의 길이나 음량은 모음의 추상화된 길이를 말한다. 이러한 특징은 운율이 아니라 모음의 음질로 설명된다. 일본어, 하와이어, 아랍어, 라틴어는 장모음과 단모음 사이에 두 음소 비교를 하며 더불어 우랄어족의 언어들은 세 단계로 나눈 길이를 쓴다.

단모음, 이중모음, 삼중모음[편집]

모음이 지속되는 동안 변화가 없는 모음의 소리를 단모음(單母音, monophthong, 홑홀소리)이라고 한다. 단모음은 종종 "순수한", "안정된" 모음으로 불린다. 하나의 특정 조음 장소에서 이동하여 소리가 다르게 나는 모음을 이중모음(二重母音, diphthong)이라고 하며, 연속적으로 세 개의 조음 장소를 이동하여 내는 소리를 삼중모음(三重母音, triphthong)이라고 한다.

모든 언어에는 단모음이 있으며, 많은 언어가 이중모음도 있지만, 삼중모음까지 있는 언어는 비교적 희귀하다. 한국어에도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있지만, 삼중모음은 없다. 영어는 이 모든 모음이 다 있는 언어이다.

같이 보기[편집]

  • 단모음, 장모음
  • 이중모음
  • 기본 모음
  • 자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