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부부간, 자녀 주식 증여세 셀프 신고방법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하기!

안녕하세요. 설쥐아빠입니다.
국내 주식을 할 때는 주식으로 돈을 번다고 해서 세금을 따로 떼가지 않지만, 해외주식을 하는 경우에 수익이 발생한다면 양도소득세 22%를 내야 합니다. 만약 내가 미국 주식을 1억으로 시작해서 2억을 만들었다고 치면, 1억 수익의 22%인 2200만 원을 양도소득세로 내야 하는 것이죠. 어차피 버는 돈에서 내는 것이니 뭔 상관이냐라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합법적으로 최대한 덜 내면 좋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주식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양도소득세를 증여를 이용해서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증여세는 10년 기간 내에 부부간에는 6억, 자녀/부모에게는 5천만 원, 미성년 자녀에게는 2천만 원까지는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증여세에 대해 좀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1.05.22 - [세금정보] - 증여세율, 상속세율 완벽 분석!(계산방법, 부부 자녀 간 공제한도, 납부기한 등)

증여세율, 상속세율 완벽 분석!(계산방법, 부부 자녀간 공제한도, 납부기한 등)

증여세율, 상속세율 완벽 분석!(계산방법, 부부 자녀간 공제한도, 납부기한 등) 안녕하세요. 설쥐아빠예요. 우리는 살면서 의도치 않게 상속을 받는 경우도 있고 자녀들에게 미리 증여를 해서 자

schrysalis.tistory.com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증여를 하는 경우 양도소득세가 얼마나 줄까?

이해하기 쉽도록 제가 이번에 증여한 내용을 예로 들어 드리겠습니다. 저는 이번에 모더나(티커 : MRNA)를 배우자에게 증여를 하고 매도를 했습니다. 제가 모더나를 바로 매도했을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와 증여하고 매도했을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가 얼마나 되는지 보시면 왜 증여를 해야 해야 하는지 아실 거예요.

❖ 주식 매매 내역, 모더나(티커 : MRNA) 100개
모더나 매수가 : 60달러
모더나 매도가 : 350달러
배우자 증여 가격 : 328달러

제가 60달러에 매수해서 350달러에 매도를 했으니 1주당 290달러의 차액이 발생했고, 총 100주를 매매했으니 29,000달러의 이득을 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제가 직접 했다면 29,000달러의 22%인 6,380달러, 즉 700만 원 가까운 돈이 양도소득세로 지출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우자에게 증여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350달러에 매도한 날에 배우자에게 증여를 함과 동시에 매도를 진행했는데, 증여한 날을 기준으로 증여 가격을 계산했을 때 1주당 328달러가 나왔습니다. 증여 가격은 주식 증여한 날 앞 뒤 2달, 총 4달의 종가 평균입니다.

배우자가 328달러에 취득해서 350달러에 매도를 한 것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1주당 22달러의 이익을 봤고, 100주니까 총 2200달러의 이익을 봤다는 것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200달러의 22%가 양도소득세로 부과되니 484달러, 즉 50만 원 정도의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제가 직접 매도했을 때는 양도소득세로 700만 원을 내야 하는데, 배우자에게 증여한 후에 매도를 하면 양도소득세가 50만 원 밖에 되지 않는 마법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증여를 할만한 대상이 있다면 무조건 증여를 하고 매도하는 게 양도세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이런 증여행위를 국세청에 아무 신고도 안 하면 말이 안 되겠죠? 배우자에게 모더나 100주를 증여했다는 것을 국세청에 신고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 아래에서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홈택스로 증여세 셀프 신고하는 방법

우선 국세청 홈택스(https://www.hometax.go.kr/)에 접속을 합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오른쪽 위에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화면 가운데 검색창이 뜨는데, '증여세'라고 타이핑 치시고 '통합검색'을 누릅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통합검색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위와 동일한 메뉴를 눌러줍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일반 증여신고 메뉴가 뜨는데, 증여한 지 3개월이 지나지 않았다면 정기신고를 누르시고 증여한 지 3개월이 지났다면 기한 후 신고를 누르시면 됩니다. 저는 3달이 지나서 기한 후 신고로 신고를 했는데, 기한 후 신고를 해도 증여세는 따로 발생하지 않느니 그냥 신고하시면 됩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증여 일자에 증여하신 날짜를 적고, 증여자(증여해주는 사람), 수증자(증여받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후 다음 이동'버튼을 눌러줍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해외주식을 증여하는 경우에는 위 그림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 증여재산의 구분 : 증여재산-일반
- 증여재산의 종류 : 유가증권(상장)
- 평가방법 : 당해 재산의 매매거래가액
- 유가증권구분 : 주식
- 수량 : 증여한 주식 수량
- 단가 : 증여가액 X 증여한 날의 고시 환율
- 평가가액 : 증여가액 X 증여한 날의 고시 환율 X 수량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증여가액은 증여 날을 기준으로 해당 주식의 앞 뒤 2달, 총 4달간 종가의 평균입니다. 저는 그냥 네이버 증권(클릭 시 사이트 이동)에서 4달간 종가 평균을 계산했습니다. 마우스로 쭉 긁어서 엑셀에 붙여 넣으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환율은 증여 날 기준 고시환율을 적용해야 하는데, 옆에 링크를 누르면 네이버 환율로 넘어가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 환율 사이트 : https://finance.naver.com/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이제 최종단계가 거의 다 왔습니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증여할 재산 중 공제할 금액이 얼마인지 써넣는 부분입니다. 부부간에는 10년 동안 6억까지 가능하니 6억이 되지 않는다면 증여가액을 다 써넣으셔서 증여세를 '0'원으로 나오게 해야 합니다. 꼭 증여재산가액을 다 써넣으시길 바랍니다.

해외주식 증여 방법 - haeoejusig jeung-yeo bangbeob

마지막으로 납부할 세금이 '0'인 것을 확인한 후에 제출하기를 누르면 해외주식 증여가 마무리됩니다. 쉽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주식을 매도할 때 왜 배우자에게 증여를 한 후에 매도를 해야 하는지, 증여세 신고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