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고1 수학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2016년 7월 4일 숭덕여고1 수학 1학기 기말 서술형3번 기출문제!

고1 수학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문제이다.

그래프를 그린 후 생각해보자.

중학교 1학년때 배웠던 작도 단원에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배웠는데, 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에서 두 직선까지의 거리는 같다는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선분PH=선분PQ 임을 이용하는 것이다.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답이 두 개가 나온다.

왜 그럴까?

그림과 같이 두 개가 나오는 것이 맞는 것이다.

고1 수학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에서 이 문제의 경우는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원점과 점 P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나머지 하나의 직선은 이 직선과 수직이므로 기울기의 곱이 -1이 되면서 원점을 지나므로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이는 중2때 배운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을 구한 것이다.

고1 수학을 하는 학생들은 문제를 접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이 본인의 수학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고 또 다른 방법은 없을까? 라는 생각을 늘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직선의 기울기

원점을 지나는 기울기가 다른 두개의 직선 $l_1 : y = ax$과 $l_2 : y=bx$을 생각하자.

이 직선이 각각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alpha$와 $\beta$라고 하면, $\tan \alpha = a$, $\tan \beta = b$임을 배웠다. (단, 여기서 $\beta \ge \alpha$)

두 직선 사이의 각을 $\theta$라고 하면 $\theta = \beta - \alpha$가 된다.

이를 통하여 $\tan \theta$의 값을 구해보면, \[ \tan \theta = \tan (\beta - \alpha) = \frac{b-a}{1+ab} \] 임을 알 수 있다. 이 각을 이등분하면 $\dfrac{\theta}{2}$가 되므로, $\tan \dfrac{\theta}{2}$ 의 값을 구하기 위해 반각공식을 사용하자.

\[ \tan \frac{\theta}{2} = \sqrt{\frac{1-\cos \theta}{1+ \cos \theta}} = \frac{\sqrt{\sec \theta - 1}}{\sqrt{\sec \theta + 1}} = \frac{\sec\theta -1}{\sqrt{\sec^2 \theta - 1}} = \frac{\sec \theta - 1}{\tan \theta} \] 이다. 그리고

\[ \sec \theta = \sqrt{1+ \left(\frac{b-a}{1+ab}\right)^2} = \frac{\sqrt{(a^2 + 1)(b^2 + 1)}}{1+ab} \] 임을 사용하면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 \tan \frac{\theta}{2} = \frac{\sqrt{(a^2 +1)(b^2 + 1)} - (1+ab)}{b-a} \]

이등분하는 직선이 $x$축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은 $\dfrac{\theta}{2} + \alpha$이므로, 이 직선을 $l_h : y = mx$라 하면,

$m = \tan\left(\dfrac{\theta}{2}+\alpha\right)$이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tan\left(\dfrac{\theta}{2}+\alpha\right) = \frac{\tan \frac{\theta}{2}+\tan \alpha}{1 - \frac{\theta}{2} \tan{\alpha}} = \frac{\sqrt{(a^2 + 1)(b^2 + 1)} - (1+ab) + (b-a)a} {b-a - a\left(\sqrt{(a^2 + 1)(b^2 + 1)} - (1+ab)\right)} \]

\[ = \frac{\sqrt{b^2 + 1} - \sqrt{a^2 + 1}}{b\sqrt{a^2 + 1} - a\sqrt{b^2 + 1}} \] 이를 유리화하여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m = \frac{\sqrt{(a^2 + 1)(b^2 + 1)} + ab - 1}{a+b} \]

좀 더 나아가서 두 직선 $l_1$, $l_2$가 이루는 두 각의 합의 $\tan$값의 역수를 $k$라 하면, $k=\dfrac{1-ab}{a+b}$가 되고, 이를 이용해 $m$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m = \sqrt{\frac{a^2 + 2ab + b^2 + a^2 b^2 - 2ab + 1}{(a+b)^2}} - \frac{1-ab}{a+b} = \sqrt{1 + \left( \frac{1-ab}{a+b} \right)^2} - \frac{1-ab}{a+b} \] \[ = -k + \sqrt{1+k^2} \]

이렇게 나온 $m$의 값은 이차방정식 $x^2 + 2kx - 1 = 0$의 한 해다. 즉, 또다른 해는 두 직선이 만드는 다른 각 $\pi - \theta$을 이등분 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각의 이등분선 기울기 - gag-ui ideungbunseon giulgi
$a=1$, $b=3$일 때의 두 직선을 이등분하는 두 직선

일반적인 함수?

이를 응용하면, 두 다항함수의 사이를 완벽히 이등분하는 함수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y=ax^2$과 $y=bx^2$, 그리고 $y=mx^2$의 그래프를 그려보아라. 두 접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함수 $f(x)$가 주어졌을 때 그 함수와 실수 $a$, $b$에 대하여 $af(x)$와 $bf(x)$을 이등분 할 수 있다. (접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 하는 함수)

쓸데없는 짓이긴 했지만, 아주 헛되진 않았다. 확인해본 결과, $a$와 $b$가 자연수일 때는 $m$의 값이 기하평균과 조화평균의 사이에 있었으며,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