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지난 밥 - 3il jinan bab

제 목 : 전기밥솥에 밥 보온 며칠까지 괜찮나요?

토스트 | 조회수 : 16,472 | 추천수 : 0

작성일 : 2005-12-19 13:58:17

전기밥솥에 한 밥 며칠동안 보온해도 되나요?
3~4일정도는 괜찮은건지...
보온으로 해두지말고 그때그때 냉장보관이 나을지...
(냉동보관은 힘든 상황이구요)

  • [요리물음표] 냄새나는 김 버려야할까.. 5 2008-08-29
  • [요리물음표] 꽃사과는 먹을수 없나요.. 1 2007-09-07
  • [요리물음표] 김치도 상하나요? 석박.. 4 2007-03-22
  • [키친토크] 샐러드? 사실은 와인.. 5 2009-03-1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미미쿠킹

    '05.12.19 4:12 PM

    보온밭솥에 밥을 한 다음 플러그를 뽑아 놓으세요.
    밥이 완전히 식지요~
    그 다음.. 드실때 밥에 물을 약간(촉촉하다 싶을 정도) 뿌리고 취사 버튼을 눌러 주시면,
    좀 있다 보온으로 버튼이 넘어가요. 주걱으로 골고루 섞어서 드시면 되어여~ ^^

    드시고 남으면 또 위의 방법으로 반복..
    요새처럼 추운 날에는 3일까정 거뜬합니다. ^^;;

    냉장보관하면 밥이 딱딱해져요.

  • 2. 라니

    '05.12.19 4:46 PM

    어휴~~~
    넘 삭막합니다.
    매일 밥하실 상화이 아니신가봐요.
    제 생각은 냉동보관이 낫겠는데,,, 그럴 상황이 아니신가봐요.

  • 3. 쭈야

    '05.12.19 5:09 PM

    저두 밥해서 냉동보관하심이 더 좋을듯합니다~

  • 4. porange

    '05.12.20 12:56 AM

    저두 한번 밥하면 3-4일씩 전기밥솥에 보온으로 놓고 먹는데요....
    3일째 되는날은 밥이 돌덩이 씹는것처럼 되요.... ㅡ.ㅡ;;
    저도 그렇게 안되는 방법좀 여쭤볼려고 했었는데....

  • 5. 토스트

    '05.12.20 2:45 AM

    아, 제가 넘 삭막하게 사는군요 ^^* 혼자사는 유학생이라서요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연구실에만 있다보니
    매일 1인분씩 밥하기도 그렇고해서 몇인분씩 해놓고 덜어먹으려다보니 ^^*
    냉동을 하면 나중에 덥혀먹는게 잘 안되더라구요 전자렌지에 덥히면 중간부분은 계속 얼어있고...
    다시 한번 시도해봐야겠네요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6. 보미조아

    '05.12.21 2:55 PM

    중간 부분이 자꾸 얼어서 문제라면, 너무 두껍지 않게 용기에 담아서 냉동하심 되요..
    저도 오랜 자취경험이 있는지라 토스트님의 맘 이해가 가네요.. 힘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번호제목날짜조회추천
47530 오디 담금주에 다시 술투입 질문 애플민트12 2022.10.26 226 0
47529 백숙(삼계탕)위에 우유막 같은게 생기는게 정상인가요? hera 2022.10.18 253 0
47528 닭봉 피.,.ㅠㅠ 1 오예쓰 2022.09.24 559 0
47527 간장으로 장아찌 담글 때... 2 oo지니oo 2022.03.27 8,002 0
47526 양념고기할때 재워서 하는게 나아요? 아님 따로 하는게 나아요? 금동이네 2022.02.14 7,741 0
47525 락앤락 안의 성애? 왜 생기는 건가요? 너무슬퍼요 2022.01.24 7,877 0
47524 알토란에 이보은의 동치미 해조신 분들 어때요? shu 2022.01.22 7,778 0
47523 생크림 유통기한 어느정도일까요 나약꼬리 2022.01.09 8,033 0
47522 시중에 파는 소스 요리할 때 써야 되는 건가요? 너무슬퍼요 2021.12.29 7,577 0
47521 깍두기가 너무 달게 됐는데 탄산수 넣어도 될까요 알감자 2021.10.20 8,148 0
47520 간장게장 이거 뭔가요 ? 2 letsgo2008 2021.08.11 11,535 0
47519 장아찌가 너무 짠데.. 2 rulralra 2021.06.01 8,966 0
47518 블루베리 쨈 망했나봐요. 2 진호맘 2021.05.21 9,361 0
47517 비오는데 1 비온 2021.05.16 8,972 0
47516 삼계탕에 쓰는 명주실 질문 1 APAPAP 2021.05.02 8,247 0
47515 노인반찬 7 에머랄드 2021.05.01 14,593 0
47514 전기오븐에 빵을 구우면 밑바닥이 너무 까맣게 되네요 1 다알리아 2021.01.10 8,844 0
47513 비트효소만들고 남은 비트찌꺼기는 무얼하면 좋나요? 2 별바우 2020.12.15 9,358 0
47512 생선구워서 냉동보관했다 먹는 방법 괜찮을까요? 2 김치깍두기 2020.12.05 11,713 0
47511 소등심으로 미역국 2 진호맘 2020.09.20 10,525 0
47510 곰팡이가 핀 마늘쫑 먹어도 되나요? 2 구름배 2020.09.11 10,140 0
47509 티라미스 다시 만들기 2 애이불비 2020.09.08 9,163 0
47508 질문) 조선간장(=국간장) 어디 것이 맛있는가? 5 sunny 2020.08.23 10,840 0
47507 설기떡이 안익은듯 쌀가루가 날려요 1 셀렘 2020.06.15 9,006 0
47506 명이장아찌 만들고 남은 간장물 3 진호맘 2020.05.14 10,853 0

전기밥솥 밥 보관, 밥을 장시간 촉촉하게 보관하는 방법

요즘에는 전기보온밥솥이 대중화 되어있는 편이라 전기밥솥으로 밥을 많이 하실텐데요. 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혼자 사는 자취하는 사람으로서 생활의 팁을 공유하고자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되었습니다. 밥을 하시면 다 드시는데까지 얼마정도 기간이 걸리시나요? 저는 하루에서 이틀이 걸리기도 하는데요. 가끔 저녁을 밖에서 먹고 오는 경우에는 3일 이상 밥솥에 손도 안댄 적도 있었습니다. 며칠 된 밥솥을 열어보면 딱딱하게 굳어버린 밥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텐데요. 이가 나갈정도로 딱딱하게 굳은 적도 있어서 꾸역꾸역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 전기밥솥에 남아있는 밥이 굳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남아있는 밥솥에 물을 조금 부어주는 것이죠. 전기밥솥에서 밥이 굳는 이유는 보온이 되면서 수분이 증발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전기밥솥으로 밥을 보관할 때는 밥을 가운데 부분으로 모아서 밥이 닿는 부분을 최소화 시켜주면 수분의 증발량이 줄어들어 더욱 장기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물을 붓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밥의 촉촉함을 유지시키는데에 도움이 되는데요. 저만의 팁을 알려드리자면 물을 붓고 밥을 섞어주는 것입니다. 밥이 굳는 부분을 보면 가장자리가 가장 먼저 굳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텐데 밥을 섞어주면 특정 부분만 굳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요즘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은 밥을 냉동보관하는 방법인데요. 저같은 귀차니즘이 많으신분들은 그렇게 보관하는 것조차 손이 많이간다고 생각이 드실겁니다. 밥이 식을 때까지 기다려서 냉동실에 넣는 것도 그렇고 그냥 뜨거운채로 넣는 것도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데에 일조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그리고 해동하려면 전자렌지가 있어야하는데 없으신 분들도 많기 때문에 제 방법이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3일이 가까워지는 쌀밥이 전기밥솥에 손도 안댄 채로 있어서 하루 지날 때마다 물을 조금씩 부어줬는데요. 아니나 다를까 효과는 제대로 보았습니다. 밥의 색깔이나 윤기는 조금 떨어졌다고는 할 수 있겠지만 먹는데에는 크게 지장이 없을 정도로 냄새도 별로 나지 않더라구요. 무려 60시간이나 지난 밥이기 때문에 오늘 아침에 제 뱃속으로 모두 처리했습니다. 밥은 3일 이내에 드시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더라구요. 이 방법을 알고 계신다고 하시더라도 너무 장기간 보관하시면 좋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일 지난 밥 - 3il jinan bab

밥을 퍼서 그릇에 담아 보았는데요. 3일 된 밥 치고는 윤기도 약간은 살아있고 라면먹을 때의 찬밥 느낌의 질감이라고 보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밥의 탱탱한 질감을 느끼지 못해서 조금 아쉬웠지만 물을 붓지 않았더라면 누룽지를 씹는 것처럼 딱딱한 밥을 먹었을 것을 생각하니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밥을 버리지 않았다는 인증샷을 찍었습니다. 자취생에게 음식물쓰레기는 매우 귀찮고 불편한 존재이기 때문에 최대한 버리지 않으려고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다른분들도 밥 굳었다고 버리지 마시고 이 방법을 활용해서 다시 살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약간 굳은 밥도 물을 붓고 어느정도 기다리면 다시 살아나기도 하더라구요.

사진은 너무 잘 찍은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을지도 모르는 생각이 들어 직접 60시간이 지난 밥을 동영상으로 촬영했습니다. 정말 물을 부으면 오랜 기간 보관이 가능한지 직접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밥의 질감이나 색감도 현실감 있게 확인이 가능하겠죠?

밥을 보관하는 방법 중 제일 좋은 보관법은 냉장보관 일때는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밀폐된 용기를 사용하거나 랩으로 싸서 넣어서 보관하는 방법이 있구요. 냉동보관의 경우는 영하 7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보관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영하 7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전분이 노화되는 것을 멈추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냉동실에 1~2개월 정도 넣어두어도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니 참고하시 기 바랍니다.

포스팅을 이만 마치겠습니다.
안녕.

밥 몇시간까지?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시간 '12시간' 12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이 쉬어버려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길어질수록 의 노화현상이 심해져 이 굳고, 냄새가 나거나 누렇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갓 지은 밥맛을 유지하는 최대 시간은 5-6시간 정도라고 합니다.

밥하고 몇일?

은 3일 이내에 드시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더라구요.

압력밥솥 몇분?

압력밥솥의 크기와 쌀의 양에 따라서 추가 움직이는 시간이 달라지는데 쎈불로 시작해서 추가 움직이면 약불로 불조절을 하고 5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불을 꺼주시고 뜸들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