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사 인식 - yuchiwon gyosa insig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직업행복감 조사를 통해 교사가 근무하는 원의 설립유형, 교사의 경력과 소득에 따른 직업행복감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508명(공립 159명, 사립 3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직업행복감 조사내용은 선행연구와 예비조사를 통해 4개 영역, 1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립유치원교사가 직업행복감 영역 중 관계영역, 소득, 교사교육 등에서 사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10년 이상 교사들이 10년 미만 교사보다 관계영역, 근로시간, 일과 개인 삶의 조화 등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소득이 250만원 이상의 교사들이 관계영역, 근로시간, 일과 개인 삶의 조화, 직업의식 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사의 직업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happiness as types of kindergarten (public vs. private), teachers' career and incom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happiness is elaborated into different four domains (Relationship, Working Environment, Career Awareness, and Emotional Domai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ior research. In this study, the surveys of 508 early childhood teachers (159 public, 349 private)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chool teachers' career happiness in terms of relationship domain and working environment (teacher education and income) i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teachers. Second, 10-year career teachers' career happiness in terms of relationship domain, working environment (working time, working-life balance), and career awareness domain is higher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a 10-year career. Third, teachers with income of more than 2.5 million won are higher career happiness than teacher with income below 2.5 million won in terms of relationship domain and working environment (working time, working-life balance), and career awareness domai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career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ggeste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실습생용 지도교사 피드백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번안하여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거친 후,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중 정규교육실습을 마친 223명을 대상으로 지도교사의 피드백 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탐색적ㆍ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주축요인, 오블리민)에서 총 20문항 중 공통성 값(h2)이 .30 이하인 문항은 3개(8, 12, 14번)이었고, 요인은 2개 요인으로 아이겐 값과 요인계수가 모두 타당하였다. 이에 3개 문항(8, 12, 14번)을 삭제한 후, 요인명을 요인Ⅰ은 '효율성ㆍ개방성', 요인Ⅱ는 '존중'으로 조정하였다. 조정된 요인과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은 적합하였다. 문항들의 표준화 추정계수와 C.R. 값은 문항15를 제외하고 수용기준 이상으로 타당하였고, 요인들의 평균분산추출(A.V.E.)의 경우, '효율성ㆍ개방성' 요인은 수용기준을 넘었고, '존중' 요인은 다소 못 미쳤으나 개념신뢰도는 수용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효율성ㆍ개방성'과 '존중' 요인 간의 상관계수는 -.51이고, 요인별 A.V.E. 값(.59, .40)이 상관제곱(Φ²=.26)보다 커서 판별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둘째, 탐색적ㆍ확인적 요인분석에 근거하여 4개(8, 12, 14, 15) 문항을 삭제하고 조정된 요인별 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효율성ㆍ개방성'은 .94, '존중'은 .79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mentor teachers' feedback assess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A researcher translated English mentor teachers' feedback assessment tool into Korean, and 3 professors check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In this study, 223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construct validity showed 2 factors. The communality values of 3 questions (8, 12, 14) were less than 0.30, and the eigen values and coefficients of 2 factors were 8.29 (.85~.54), 3.64 (.74~.51).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lete 3 questions (8, 12, 14), and to modify the tool to 2 factors (effectivenessㆍopenness, respect). A model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 the criteria of RMSEA (.07), CFI (.94), and TLI (.92), except x² value. In convergent validity, standardized coefficients (.42~.99), C.R. values (5.81~14.04), and concepts reliability (.95, .76) were valid except for questions 15.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of factorⅠ was valid (.59), but factorⅡ was not (.40). In comparison of Φ² with average A.V.E. for discriminant validity, the A.V.E. value (.59, .40) was greater than Φ² (.26), so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proved. Seco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adjusted factors were Cronbach's α .94~.79.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보육지원 인력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영유아를 위한 교사라는 견해를 가지고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선정하고 이들 관계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정서지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일반적인 관계는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직접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간접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원장 및 동료교사의 관계와 교수효능감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 내에서의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일반적인 관계는 교수효능감 증진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나타내고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목적적인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보육교사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과정은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a view that a child-care teacher is a teacher rather than a person who supports children's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 and, between peer teachers and the teacher were select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effects of these relationships on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nalyzed. To accomplish thi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278 child-care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ir general relationship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Second, th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in the child-care center showed only indirec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concrete and objec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ich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e emotions of the teacher and the other person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promoting teaching efficacy.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의 3년제, 4년제, 개방 대학의 최고 학년인 3학년과 4학년 예비유아교사 329명이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신뢰도를 구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유형에 따라 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과 학과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릿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유형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은 모두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이 진로준비행동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senior students of a university, an open university, and two junior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Gri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en university seniors were presented the highest i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gri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grit. Thirdly, university 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rit are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required the teacher educators to seek ways to increase these abilities in pre-service teacher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수업분석중심의 기독교유아교육 강좌가 예비교사들의 기독교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참여자)은 D시 C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 50명으로, 기독교유아교육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이다. 기독교 교수효능감 검사도구는 Riggs와 Enochs(1990)의 STEBI를 방승미(2014)가 수정 및 보완한 검사도구이다. 본 연구들 통해 수집한 자료들에는 기독교 교수효능감 검사지 및 개방형 설문지, 수업분석 저널, 수업분석활동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 수업결과물, 학기 중ㆍ말 개방형 강의평가내용 등이 있었으며, 이 자료들에 대해 양적 및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분석중심의 기독교유아교육 강좌는 예비교사들의 기독교 교수효능감에 효과가 있었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기독교 교수효능감 변화에 있어 협력적 수업분석 활동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첫째, 수업 분석내용 공유를 통한 수업을 보는 안목 형성, 둘째, 내 수업에서의 적용 및 반성적 사고를 통한 나의 수업전문성 발달, 셋째, 기독교유아교육 이론과 연계된 수업분석경험을 통한 기독교 교수 자신감 형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적인 수업분석활동이 포함된 기독교유아교육 강좌는 예비교사들의 수업역량 발달에 있어 유의미한 교사교육 방안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analysis based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ristian teaching efficacy and explore its educational mean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a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 Data were collected by Christian teaching efficacy rating scales (Bang, 2014), open questionnaires, teaching analysis journals, the products of class, and the data of students' course evaluations. The results of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as follows.
Above all, teaching analysis based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 had an effec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ristian teaching efficacy (both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Nex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cooperative teaching analysis activities on the ch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ristian teaching efficacy were as follows. The first meaning was the formation of perspective about teaching through the sharing of teaching analysis contents. The second meaning wa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 application on their own teaching and reflective thinking. The third meaning was the formation of confidence about Christian teaching through the teaching analysis experiences related to the theor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 that contains cooperative teaching analysis activities is the meaningful teacher education plan on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e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노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가 인식하는 아름다운 노래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에 소재한 D유치원과 S유치원 만 5세유아 8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이 인식하는 노래는 유아가 부르고 싶은 노래, 유아에게 들리는 노래, 유아가 불러야하는 노래, 유아가 부르고 싶지 않은 노래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인식하는 아름다운 노래는 멋지게 부를 수 있는 노래, 감각적 가사가 있는 노래, 스스로 아름다움을 부여하며 부르는 노래, 인상적인 기억을 남긴 노래, 노래의 특징이 두드러져 반복적 활동이 가능한 노래로 나타났다.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노래의 성격, 노래 선정 및 지도 시 유의점, 교수방법과 매체활용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udy i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 perceive so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song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of 85 preschoolers aged 5 in D and S Kindergartens located at Daegu cit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ng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were the ones that they want to sing, hear, have to sing and they don't want to sing. Second, findings suggest that the beautiful song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were the ones that can be sung nicely, have sensory lines, create beauty, leave an impressive memory and assume a marked musical feature so as to bring about repetitive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the characteristics of songs fit for young children, and things to be careful of when selecting and teaching songs, and pedagogical methods and medium us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 자연친화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유아 자연친화 교육 연구를 위한 교육적 함의와 유아 자연친화교육 연구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997년부터 2016년 사이에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자연 관련 논문 중 자연친화교육과 관련된 국내 대학의 석·박사학위 논문 241편과 학술지 논문 163편을 합친 총 404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방법별로는 양적 연구인 실험연구와 조사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별로는 인적 대상 중 영유아에 편중되어 있었고 그 중 만 5세 유아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내용별로는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교육활동 접근법에 있어서는 자연감상 관련 연구가,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자연친화 관련 연구가, 종속변인은 자연 관련 태도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자연친화교육의 교육적, 학술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방향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ystemic development basis for further research of early childhood nature-friendly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a total of 404 studies including 241 domestic graduation theses and 163 research articles published during 1997-2016 in early childhood research with nature education related to nature-friendl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ethods,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like experimental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were most numerous. Second, in the category of research subjects, using human beings and human reproduction were much emphasized, and children aged five were the early childhood age group most targeted. Third, regarding research contents,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grams. In particular, studies of nature appreciation in approaches to educational activities, nature-friendly education in topics, and natural attitudes in dependent variables were most studie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논어」의 예禮에 나타난 생명사상의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유아생명존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논어」에서는 만물과의 조화와 공생을 위해, 마주하는 모든 대상에게 마음에서 비롯되는 공경과 예禮의 태도로 다가가야 한다는 생명사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어」의 예禮에 나타난 생명사상은, 유아생명존중교육이 낱생명 교육을 넘어 온생명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인지교육을 넘어 마음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타생명을 기르는 교육을 넘어 공경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모색케하였다. 본 연구는 종래에 변질되었던 예禮의 의미를 되짚어봄으로써 우리 전통 생명존중교육의 철학적 배경을 검토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마주하는 생명의 범위가 역동하게 될 미래 사회를 위해 새로운 유아생명존중교육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by examining the meaning of life thought 禮 in Analects. Therefore, in the Analects, we could observe the life idea that we should approach all the objects facing each other with the attitude of honor and loyalty originating from the mind for harmony and symbiosis with all things. 
The implication of life ideology in 禮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must be done through individual-life education beyond global-life education. Second,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mind education beyond cognitive education. Third,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respects life, not education to raise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raditional life-esteemed education by reviewing the meaning of 禮. It seems to be worthwhile in that it attempt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new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 식생활 교육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영아 어머니 6명과 유아 어머니 6명 총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으로 연구 참여자별 2-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 과정을 거치며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의 식생활 교육의 교육 내용은 자녀 식생활을 위한 기본기술과 식습관의 형성, 기초적인 식재료에 관한 정보 전달, 바른 인식과 태도 형성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방법은 식사 환경의 제공하기, 건강식 선호 습관 형성하기, 식생활 관련 도전적 행동 격려하기,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모델 보여주기, 허용 및 타협하기, 단호히 알려주기 중심으로 나타났다. 관련 정보는 지인, 인터넷 검색, 전문가 서적을 통해서 주로 수집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의 식생활 교육관련 요구는 가족 및 교육기관과 일관성 있는 식생활 교육, 교육기관을 통한 자녀의 다양한 식생활 교육 경험, 식생활 관련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효성 높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영유아기 자녀 어머니들의 식생활 교육 경험과 요구 전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s and needs of full-time homemake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 purposefully collected sample of 12 mothers (6 mothers of infants or toddlers and 6 mothers of preschool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matic analysis of interview transcripts used a thematic framework. The experience of mothers' dietary educa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content, strategy, and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of the dietary education. The education content focused on how to attain basic skills and to form the habits for their children's eating, how to deliver basic information about ingredients, and how to correctly recognize food and to form an attitude regarding the food. Educational strategies mainly include providing a dining environment, providing an experience focused on healthy foods, encouraging eating habits,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description, using books and online media, showing role models, meeting halfway, and scolding. Related information was primarily collected through acquaintances, Internet search, and expert books. The mothers' demands regarding dietary education were focused on consistent dietary education with famil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experience of diet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 education about dietary lif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도시의 20-60대 여성의 자녀가치가 어떠하며, 세대 간 특징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20대에서 60대 여성 5명씩, 총 20명이며, 개인별 3회의 심층 면담과 2회 이메일을 통한 추후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 여성의 세대별 자녀가치로 20대 여성은 자녀는 가족의 기쁨이지만 나의 자유를 제한하는 존재 30대 여성은 자녀를 자신의 성숙과 성장을 이끌어 주는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40대 여성은 정서적 가치와 경제적 부담이 되는 가치가 공존, 50대 여성은 자녀는 희생하는 대상으로 여기며 60대 여성은 자녀의 사회적 가치가 높이 나타났다. 각 세대에서 나타나는 자녀가치의 특징은 7가지로 분석되었으며 공통된 특징으로는 자녀는 부모의 기쁨, 딸 선호, 여성의 사회경제 활동을 제한함, 자녀수가 많을수록 긍정적 정서 증대라는 점과 차이점으로는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자녀의 성장과정에 따른 행복감 요인의 차이, 자녀의 경제적 지원기간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s of each generation's children,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hildren's value between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20s to 60s in metropolitan women. There were 20 subjects in this study: 5 in the 20s, 5 in the 30s, 5 in the 40s and 5 in the 60s. Data sources included three in-depth interviews and two additional interviews via e-mail.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men in their twenties think children are family's joy but they limit freedom, while women in their thirties regarded their children as those leading to their maturity and growth. Women in their 40s have not only emotional value but economic burdens. Women in their 50s accept a willingness to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and women in their 60s have high social valu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alues appearing in each generation are analyzed as seven. The common points are watching children grow up is life's greatest joy, preference for daughter, restriction of socioeconomic activities of women, and high positive emotion as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the children, and the intention of the duration of the economic support of the children, ar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