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안녕하세요

청담노무사사무소 문성훈노무사입니다.

오늘은 근로자가 퇴사하는 경우 발생하는 고용보험 상실 신고와

관련 정정 및 정정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직원이 퇴사하면 상실사유, 상실일 등을 4대보험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피보험자격 관리 사항(취득일, 상실일, 상실 사유)은

근로자의 실업급여 수급자격 해당 여부에 직접적인 판단자료가

되므로 반드시 성실하게 작성하여야 신고 해야합니다.

간혹, 담당자의 실수로 인해 신고된 상실사유를 변경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이 경우 고용보험 고용정보 변동신고서와 상실사유 정정 문답서를 작성해

근로복지공단 관할지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상실한 날의 다음 날 15일 이전까지 퇴사사유를 변경신고 하였다면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이 기간 이후에 정정신고는 과태료의 대상이 될수 있으며, 근로복지공단 관할지사로 제출하면 됩니다.

신고서류의 허위작성 기재의 경우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되며, 부정수급에 도움을 준 사업자 또한 연대책임으로

형사 처별될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자진퇴사에서 회사사정에 의한 퇴사로 변경하는 경우

피보험자 고용정보내역정정신청서 ,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및 이 사실을 증명할 만한 증빙자료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증빙자료로는 진술서, 문답서, 경위서 등의 자료가 포함됩니다.

이 경우에도 과태료 부과가 될수 있음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정정신청서의 작성 요령

사업자 관리번호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업자 등록번호 뒤에 0을 붙이면 됩니다.

나머지는 사업장 현황에 맞추어 작성합니다.

고용에 체크 - 상실사유 체크 - 변경할 상실 사유 작성

정정사유를 상세히 기재

�ȳ��Ͻʴϱ�! ����뵿�� ������㼾���Դϴ�.
�亯�� �ʾ����� �˼��մϴ�. ������ ���Ǿ� ���� �Ʒ��� ���� �亯�帳�ϴ�.

�� �Ǿ��޿� �����ڰ��� �����ޱ� ���ؼ��� ���� ������ �� 18������ �Ǻ�������Ⱓ�� ����Ͽ� 180�� �̻��̰�, ������ ������ �ε����� ���ڹ����� ���(������ �ߴ��� ��å���� �Ǵ� ���� �� �ڱ� �������� �����ϴ� ��� ������)�̾�� �մϴ�.

�� ���� ���ǰ������������� ����Ͽ������� �ұ��ϰ� ���� �������� �ٸ��� �����λ����������� �Ű��� �Ǿ� �ִٸ� ���� ���� �� �Ǿ��޿��� ��û�� �� �ֽ��ϴ�.

�� ���� ���� ������ �ϱ� ���ؼ���,

- 1�������� �ٷ��ڴ� ����ֿ��� ���������� ������ ��û�Ͽ� �̸� �ٷ� �⵵�� �ؾ� �մϴ�. (6������ ���� ���������� ���� �����ڷḦ �����Ͻø� ���� �Ű��� �����մϴ�.)

�� ����ִ� �������� ������û ������ ���� ���Ϳ� �����ؾ� �ϰ� ������ ���·ᰡ �ΰ��� �� �ֽ��ϴ�. ���·�� ����?���� ���� �� ���� �������� Ƚ�� � ���� �Ǻ����� 1�δ� 5~10������ �ΰ��� �� �ֽ��ϴ�.

- ����, ����ְ� �̸� �޾Ƶ����� ���� ���, �ٷ��ڴ� �ش� ���Ϳ������뺸�� �Ǻ����ڰ� Ȯ��û�������� ������ �� �ֽ��ϴ�.

�� ������ �����Ͻð� �Ǹ� ���뼾�� ����ڴ� ��Ȯ�� �������� Ȯ���� ���� ����ֿ� �ٷ��ڸ� ������� ��ǰ��踦 �����ϰ�, ������� �����Ű����� ������ ��� ���·Ḧ �ΰ��� �� �ֽ��ϴ�

�� �� ������ ���� ���������� �����ڰ� ���� ������ �ǰ����������� ������ �ȴٸ� �Ǿ��޿� ��û�� �����Ͽ���, �켱 ������ ���� ���뼾�Ϳ� �湮�ϼż� ���� ����� �޾� ���ñ� �ٶ��ϴ�.

�̿��� �ּż� �����մϴ�.

상실신고 등은 상실일로부터 익월 15일까지 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익월 15일이 지나고 유예기간 1달도 지난 경우 EX) 상실일로부터 5개월 뒤

상실신고 당시 사유를 자진퇴사로 했었는데 한참 지난 후에 계약만료 등으로 상실사유를 변경하는 경우

지연신고와는 별도로 사유변경 시에도 과태료가 나올까요?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퇴직사유 정정 과태료 - toejigsayu jeongjeong gwataelyo

총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상실(이직)사유를 신고함에 있어 사실과 다르게 신고하거나 신고 후 그 사유를 정정하는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항에 관하여서는 사업장 관할 근로복지공단 지사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상실사유를 변경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2. 05. 27. 12:52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단순히 행정상의 착오로 인해 상실사유를 잘못 기재하여 신고한 때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구직급여를 수급하도록 이직사유를 허위로 기재하고 이직확인서를 신고할 시 부정수급에 따른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셔야 합니다.

      2022. 05. 26. 23:00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

        자진퇴사에서 계약만료로 상실사유를 변경하는 것은 1. 지연신고 2. 잘못된 상실신고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태료 부과 여부는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원칙은 과태료 부과이나, 고용보험 집중가입기간 등 일부 기간에 과태료가 면제되기도 합니다.

        2022. 05. 26. 19:35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제가 궁금한건 익월 15일이 지나고 유예기간 1달도 지난 경우 EX) 상실일로부터 5개월 뒤

          상실신고 당시 사유를 자진퇴사로 했었는데 한참 지난 후에 계약만료 등으로 상실사유를 변경하는 경우

          지연신고와는 별도로 사유변경 시에도 과태료가 나올까요?

          1개월정도라면 문제되지않으나, 그이상이라면 과태료 부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유변경사유가 합리적이라면 발생하지 않습니다.

          2022. 05. 26. 15:59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사후 이직사유 정정신고할 경우에는 당초 신고가 허위신고에 해당되어 과태료처분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의와 같이 고용보험피보험자격상실사유 정정 시에도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직사유의 정정이 객관적으로 명확한 경우에는 반드시 근거자료를 제출하여 관할 고용안정센터의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2022. 05. 25. 16:07

            신고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