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렴적 사고 기법 뜻 - sulyeomjeog sago gibeob tteus

여러 개의 아이디어들 중에서 우리가 선택하여 실천할 수 있는 것은 하나, 또는 몇 개뿐일 수밖에 없으므로 확산적 사고 기법으로 아이디어를 많이 생산해도 효용이 없을 수 있다.

산출된 아이디어나 생각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평가하며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수렴적 사고 기법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수렴적 사고 기법의 목적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분류하거나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 평가·판단하거나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혹은 제시된 아이디어를 개선하고 보완하는 데에 있다.

수렴적 사고 기법에는 하이라이팅, 역 브레인스토밍, 평가 행렬 법, 쌍 비교분석법 등이 있다.

. 하이라이팅(highlighting) : 문제 해결 아이디어로 선정된 대안들을 몇 개의 동일한 범주로 묶어 분류해 보는 것이다.

나열한 아이디어들 중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아이디어, 즉 히트 아이디어를 선정한 후에 이 아이디어 중 서로 관련 있는 것을 분류해 낸다.

. 역 브레인스토밍 : 양적인 면을 중시하고 자유분방하게 진행된다는 점에서 브레인스토밍과 유사하지만 생성해 놓은 아이디어에 많은 양의 자유분방한 비판을 생성해 내는 점이 다르다.

약점이 가장 적고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것 같은 대안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실천을 위한 행위 계획을 수립한다.

. 평가 행렬 법(evaluation matrix) : 하이라이팅 된 대안들을 평가할 때나 생성된 대안이나 행위 계획을 위한 대안들을 평가할 때 활용된다.

평가해야 할 대안들을 세로로 적고 가로의 상단에는 평가의 준거를 제시하는 평가 행렬 표를 만든다.

대안을 평가할 때 사용할 적절한 평정척도를 제시한다.

. 쌍비교 분석법 comparison) : 아이디어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서로 한 번씩 비교해 보고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을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쌍비교 분석표 각 아이디어를 기록하여 분석 표를 완성한다.

아이디어의 각 쌍을 비교하여 각 칸에 더 중요한 아이디어와 그 점수를 기록한다.

각 아이디어의 총점을 가지고 가장 우선순위의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상대적인 중요성을 해석한다.

최한경의 창의과학

수렴적 사고 기법 뜻 - sulyeomjeog sago gibeob tteus

지난 시간에는 창의적 사고기법 중에서 강제연결법, 카다로그 기법, 임의 강제결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여러 가지 수렴적 사고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수렴적 사고기법

발산적으로 생성된 많은 정보나 질문, 감정 등을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거르고, 분류하고, 조직화하는 사고가 수렴적 사고이다. 즉, 수렴적 사고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아이디어나 정보를 여러 가지 기법을 통하여 분류하고, 따져보고 분석해 봄으로써 가장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대안을 유도해 내는 것이 목적이다.

◇ 수렴적 사고의 유의점

-모든 수렴적 사고에서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판단’이다. 대안의 강점이나 긍정적 측면을 살펴보고, 단점을 죽이기보다는 단점에 대하여 ‘어떻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러한 면을 수정할 수 있을까?’와 같은 질문을 통하여 단점을 수정하고 보완해 나간다.

-신중해야 한다.
-신기성을 고려해야 한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신기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독창적인 것을 살리기 위해서는 신기로운 면을 보완해 나가도록 한다.
-언제나 목표에다 초점을 두고 거기에서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1. 히트(hits) 기법

수렴적인 기법들은 발산적인 사고 기법을 통한 많은 아이디어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아이디어를 생성할 때는 판단을 유보하면서 거침없이 쏟아놓았기 때문에 먼저 목적에 맞는지 여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때 활용하는 기법이 히트 기법이다. 문제에 적절하고 분명하고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고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된다고 생각이 되는 대안에 대하여 ∨표를 하면서 선택한다. 선택된 대안들은 다시 준거를 설정하여 평가하거나 하이라이팅 기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2. 하이라이팅(highlighting) 기법

하이라이팅 기법은 히트 기법으로 선정된 그럴듯한 대안들을 몇 개의 같은 범주끼리 분류해 보는 것이다. 직관에 의하여 분류해 보는데, 먼저 히트한 대안에 번호를 부여하고 같은 성격의 아이디어이거나 대안들 간의 어떤 관계를 중심으로 공통 주제끼리 영역을 만들어 조직화한다. 조직화된 영역에서는 공통의 주제를 재진술 한다.

하이라이팅 기법은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렇게 일차적으로 평가된 대안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때는 역브레인스토밍, ALU, PMI, P-P-C 대화기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3. 역 브레인스토밍 기법(reverse brainstorming)

하나의 아이디어가 가질 수 있는 가능한 약점을 발견하고 실천될 때 잘못될 수 있는 부분을 예상해보는 기법으로 Hotpoint 회사가 하나의 집단 방법으로 생각해낸 방법이다.(Whiting 1958) 이미 생성해놓은 아이디어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브레인스토밍과 차이를 보인다. 이 기법은 일차적인 평가 과정을 거친 소수의 아이디어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데 적절하며 의견일치가 어려울 경우 ‘목표 스토밍(goalstorming)’을 실시한 후 ‘가장 그럴듯한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선택 후 목표를 세분화하여 세분 목표가 평가될 때까지 한다.

4. PMI (Plus, Minus, Interesting)

PMI는 DeBono(1973)가 고안한 기법으로 주의집중의 도구이다. 주의를 먼저 의도적으로 P(강점)에 집중시킨다. 그 다음으로 약점(M)에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아이디어가 가지고 있는 I(흥미로운 점)에 주목하여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제시된 아이디어에 대하여 좋은 점이나 좋아하는 이유를 먼저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그 아이디어의 나쁜 점이나 싫어하는 이유를 생각하고 마지막으로 제시된 아이디어와 관련되어 흥미롭게 생각되는 점 등을 따져보는 것이다.

5. 평가 행렬표 (evaluation matrix)

이 기법은 하이라이팅된 대안들을 평가할 때나 생성된 대안이나, 행위계획을 위한 대안들을 평가할 때 활용되며, 대안들은 어떠한 준거에 따라 체계적으로 평정척도를 제시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6. 쌍비교 분석법 (Paired Comparison Analysis, PCA)

이 기법은 많은 대안들이 모두 중요해서 어느 것을 먼저 실천해야 하며, 어느 것을 가장 먼저 생각하여 일을 처리해야 할지를 판단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다. 즉, 우선순위를 정하여 대안을 선택하고 결정해야 할 때 활용되는 기법이다. 모든 대안들을 서로 한 번씩 비교해 보고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을 확인하여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교육과 창의성 / 2005 / 김선 / 집문당
▷ 문정화·하종덕(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 채선희, 2003,「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 박병기(2002). 창의성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2001.

<구이초등학교 교사>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수렴적 사고 기법 뜻 - sulyeomjeog sago gibeob tteus

사고(thinking)의 종류

창의적 사고에서 사고의 종류는 크게 확산적 사고(또는 발산적 사고, divergent thinking)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로 나뉘며, 이는 심리학자 Guilford가 처음으로 제시한 개념이다.

확산적 사고는 단순히 말해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확산적 사고 기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강제연결법, 연꽃 기법, 시네틱스, SCAMPER(substitute, combine, adapt, modify, magnify, minify, put to other uses, eliminate, rearrange, reverse) 등이 있다.

수렴적 사고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 중에서 좋은 것을 추리거나, 정답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IQ 테스트나 학교 시험에서 요구하는 사고가 바로 수렴적 사고이다. 정답을 찾는 수렴적 사고를 위해서는 추론적, 논리적 사고 등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수렴적 사고 기법에는 PMI(Plus, Minus, Interesting), 쌍비교분석법(Paired Comparison Analysis: PCA), ALU(Advantage, Limitation & Unique), 히트 기법 등이 있다.

어떤 사고가 창의적인 사고인가?

일반적으로 창의적 사고는 확산적 사고와 많이 결부되는데, 제한된 정답 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또한, 우리는 학교 교육을 소위 창의성을 억압하는 교육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길렀던 수렴적 사고 능력을 창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연결 짓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단순히 아이디어를 많이 내는 것을 창의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창의적인 결과물은 아이디어를 많이 제시한다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아이디어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고, 이를 구체화했을 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잠깐 창의성의 정의를 살펴보도록 하자. 창의성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창의성은 '새롭고 적절한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말한다. '새롭다'는 것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새롭기만 하고 전혀 쓸모가 없다면 창의적이라고 하지 않는다. 무언가를 창의적이라고 하려면 새로우면서도 '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확산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것을 찾고, 수렴적 사고를 통해 적절한 아이디어를 골라내어야 한다. 즉, 창의적 산출물을 내기 위해서는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 모두 중요하며 이 두가지가 함께 버무려져야 한다.

창의적 사고 기법이 궁금하다면 이 블로그의 이전 포스팅에도 몇가지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하길 바라며, 앞으로도 차차 포스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