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이번 포스팅은 Synology에 SSH를 활성화하는 것을 다루겠습니다.

Tomcat을 설치하고 설정파일을 변경하려면 터미널 접속을 통해야 한다는군요.

SSH 서비스 활성화하기

  1. SSH 활성화하기

사용하는 DSM에 접속해서[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SSH 서비스 활성화에 체크하고 기본포트(22)를 변경하여 줍니다.

변경하는 이유는 SSH 기본 포트는 널리 알려져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공격의 대상이 됩니다.

실제로 기본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잦은 빈도로 누군가 접속을 시도했다는 알림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빨간 부분 마스킹한것처럼 변경하였습니다. 

([적용] 버튼 누르셔야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2.  SSH 접속을 위한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마찬가지로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라우터 구성] 탭 으로 이동합니다.

포트포워딩은 외부 접속포트를 내부 포트로 포워딩 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7070 포트를 내부포트 80으로 포워딩한다고 하면,

외부에서 7070 포트로 접속할때 로컬 80포트로 연결해줍니다.

이 경우, Tomcat의 기본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도 80포트로 변경한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라우터 구성] 탭에서 [생성] > [사용자 지정 포트] 을 눌러 설정을 진행합니다.

프로토콜은 "TCP", 

로컬 포트/라우터포트는 위의 "1. SSH 활성화하기" 에서 설정한 포트번호를 그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저장] 버튼 잊지말고 누르셔야 합니다.

아래 완료된 화면에서 설정된 값이 2개인 이유는 제가 다른 하나를 더 설정했기 때문입니다.

3. [Home] 폴더를 활성화하기

기본적으로 Synology는 사용자의 [Home] 폴더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SSH 접속시 User Root로 사용할 [Home] 폴더를 활성화해주는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것도 엄청 간단하죠!

[제어판] > [사용자] > [고급] 탭 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내려보시면 "사용자 홈" 부분의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를 체크해주면 완료!

([적용] 버튼 누르셔야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시놀로지 NAS SSH 설정

시놀로지 NAS에서 SSH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제어판]-[터미널 및 SNMP]-[터미널] 에서 SSH 서비스를 활성화해주고 포트를 지정합니다.

기본 포트는 22번 개인 보안을 고려한다고 포트를 변경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SSH 서비스를 활성화 해준다면 SSH 접속이 활성화됩니다.

로컬(내부 네트워크) 상에서는 접속이 가능합니다.


SSH 로컬 접속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putty

내부 사설 IP를 통해 SSH 접속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은 주로 putty나 OS별 기본 제공 터미널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OS 별 터미널 응용 프로그램

OS 별 자체적으로 내장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SH 접속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SSH 접속 방법
ssh 계정명@서버IP -p 포트

접속 코드를 함축하면 이렇게 됩니다.

어떻게 SSH를 통해 root 권한으로 DSM/SRM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까? - Synology 지식 센터

kb.synology.com

해당 내용은 Synology DSM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PowerShell을 통한 SSH 접속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Windows PowerShell

PowerShell에서의 접속법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외부에서 시놀로지에 SSH로 접속해서 업무를 봐야 할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제 NAS에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ynology SSH를 통한 외부 접속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포트포워딩

나스 외부에서 SSH를 통한 접속을 위해서는 

SSH 서비스 포트에 대한 포트포워딩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위 화면은 포트포워드 예시이며

SSH 서비스에 대한 포트 번호는 기본 22번입니다.

만약 NAS에서 SSH포트번호를 22번이 아닌 다른 번호로 지정했다면 해당 번호로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포트번호 : 22번인경우
포트포워딩 : 내부 : 22번 | 외부 접속 포트 : 자신이 원하는 포트 

기본 포트번호 22번이 아닌 다른 번호를 지정한 경우(예>2222번)
포트포워딩 : 내부 : 2222번 | 외부 접속 포트 : 자신이 원하는 포트

포트 포워딩이 끝난 후 아까와 동일한 터미널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접속하시면 됩니다.


SSH를 통한 외부 접속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putty ssh 외부 접속

외부 접속인 경우에는 자신의 공인 IP나 외부 접속 도메인으로 지정된 호스트 네임(도메인)을 입력하면 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windows powershell

윈도 PowerShell에서도 동일합니다.


SSH 접속시 발생하는 에러 

1. ssh 접속이 안됨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여러 가지 경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포트 포워딩이 안되어있거나 잘못된 경우
  • administrator 그룹에 해당하지 않는 계정으로 접속했을 경우

가장 대표적인 경우 두 가지입니다.

포트 포워딩이 안되어 있는 경우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입니다.

두 번째 administrator 그룹에 해당하지 않는 계정

즉 관리자 권한 이외의 계정으로 접속 시 SSH 터미널에 로그인하면 바로 꺼집니다.

이의 경우에는 admin계정으로 접속하거나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계정을 관리자 그룹에 넣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admin 계정 활성화 방법입니다.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 admin 계정을 클릭해 활성화해주면 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admin 계정 편집

또는 자신이 사용하는 계정을 administrator 그룹에 넣어 사용해주면 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 administrator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 administrator 항목에서 편집합니다.

시놀로지 ssh 포트 포워딩 - sinolloji ssh poteu powoding
administrator 구성원 편집

여기까지 시놀로지 NAS SSH 사용법 및 외부 접속 방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