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회사의 월별 측정항목을 볼 때 해당 월의 수치에 집중합니다. 30%의 매출 성장을 달성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이 데이터로 전체 실적 추세를 판단하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합니다. 한 달 치의 데이터는 확실히 가치가 있지만 올바른 시나리오에서 사용되지 않으면 가치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면 사업 규모를 확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기에서 yoy growth 계산하는 하나의 측정항목을 권장합니다.

yoy growth는 월간 데이터를 더 긴 시간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왜곡 요인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특정 계산 방법을 이해하려면 먼저 yoy growth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리해야 합니다.

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본 문에서는 yoy growth의 개념, 계산 방법, 전년도 동기 대비 지표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대한 중요성 및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합니다.

1. yoy growth 계산방법

먼저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yoy growth의 중요성을 이해하면 계산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단계 :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yoy growth를 계산하려면 월별 데이터와 12개월 전에 기록된 동일한 기간에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제 한 기업 내에서 팔요에 따라 여회사 내에 여러 개 시스템이 있으므로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법은 데이터수집의 주요 문제입니다. 이는 엑셀로 yoy 계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데이터를 중복입력할 수 있으며 시스템 간 데이터가 동기화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도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통합에 관련 자료를 참고하세요:

대신 전문 데이터 소프트웨어는 이 과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인리포트는 다른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지원하고 ERP 시스템 / OA / MES와 같은 비즈니스 시스템의 데이터를 플랫폼으로 쉽게 통합하여 기업 정보 사일로를 방지합니다.

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이 데이터수집 단계를 완료한 후 공식을 사용하여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당월의 성장률을 계산하고 12개월 전에 실현된 동일한 값을 뺀 것입니다. 수치가 플러스인 경우 회사는 수익을 달성하였고, 마이나스가 되면 손실을 의미합니다.
  • 차액을 작년 총수의 차이로 나뉘어 계산된 값은 12개월의 성장률입니다.
  • 성장률을 백분율로 표시하려면 곱하기 100을 합니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 ((당기 데이터- 전년도 데이터 )/ 전년도 데이터) * 100

다음으로 구체적 사례를 통해 yoy growth 의 계산과정을 보여드립니다.

이는 Finereport가 작성한 연간 재무 통계의 예이며, 리포트에 yoy 를 직접 추가하고 동시에 다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Excel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회사의 모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데모 출처: 파인리포트

그런 다음 도구 모음을 사용하여 차트를 설계하여 데이터 세트를 드래그 앤 드롭과 묶어놓기를 합니다.

공식입력: YoY growth = ((당기 데이터- 전년도 데이터 )/ 전년도 데이터) * 100

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yoy 리포트

Finereport10.0무료 체험

이 공식을 통해 YOY GROWTH를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YOY Growth 란 무엇입니까? 작년과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 비율을 확인.

YoY (Year On year Growth, 전년도 동기 대비 성장)는 Year on Year의 약어입니다.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변화하는 비율입니다. 작년과 같은 기간과 올해 같은 기간을 비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일 월간 지표와는 달리, 전년도 동기 대비 성장은 계절에 미치는 영향, 월간 변동 및 기타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성공의 배경 요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리테일 분석의 중요한 측면입니다.

3. yoy growth를 분석하는 이점

회사의 yoy growth를 이해하면 회사가 성공적이거나 성공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yoy growth를 계산하고 표시하는 것의 이점은 무엇일까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계절성 업무의 명확성

일부 회사는 지난달 성과 또는 분기별 성과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부 회사에게 유용할 수 있지만, 일부 계절성 회사는 이 방법으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결과의 안정성

회사의 실적은 매달 다릅니다. 이번 분기의 실적이 좋아도 월별 실적이 변동할 수 있습니다. 매년 성장에 따라 특정 월 또는 분기에 통계 데이터가 개선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회사 상황이 투자자에게 제시됩니다.

추적과 계산이 용이함

대부분의 비즈니스 통계 및 데이터 분석은 Excel 또는 Finereport와 같은 비즈니스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추적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계산을 통해 yoy growth를 볼 수 있습니다.

개선할 수 있는 사항을 더 잘 이해하다

yoy growth를 통해 회사 실적의 성과를 볼 수 있으므로 성공한 것이 무엇인지, 어떤 개선을 진행할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장 성장률 계산 - sijang seongjanglyul gyesan

4. 해마다 변화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기업의 규모가 작으면 인상적인 성과 통계를 제공하기가 어려우므로 투자자로부터 자금 또는 재정 지원을 얻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는 YOY GROWTH 지표가 소기업에 중요한 통계 데이터가 될 수 있는 이유입니다.

  • 더 많은 재무 지원 항목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비즈니스 효율성을 이해합니다.
  • 제품 가격을 협상할 수 있습니다.

5. 실제 전년도 동기 대비 성장률의 예 :

의료 서비스 : YOY 성장 데이터를 다양한 정책과 결합하여 각 환자 또는 환자 서비스 비용 등 지표를 강화합니다.

제조업체 : 공장은 생산율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 시간에 따른 증가와 감소 상황에 따라 생산라인의 생산 효율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판매 데이터와 결합하여 회사가 계절 변화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류 : 완성 프로젝트의 량과 효율을 지표로 하는 업종에서 YOY GROWTH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상황을 알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어야 할 영역을 보여주고 단순화 기능이 수익을 가져오는 활동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파인리포트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보고서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Java기반의 리포팅 툴입니다. 데이터 베이스 커넥팅 지원, 스케줄링 보고서 생성, 툴 보안과 같은 기본 기능은 다양한 비지니스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 파인리포트(FineReport)는 엑셀과 유사한 다자이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어, 비(非)개발자인 사용자들에게는 가장 유리한 툴입니다. 
  • 파인리포트(FineReport)의 데이터 입력(Data Entry)기능은 손쉽게 온라인 폼(form)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피드백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다양한 커스텀 API, CRM, OA, ERP 등과 같은 서드 파티(third party)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3D 차트, 지도(맵), GIS 관계, 대시보드등과 같은 시각화 옵션을 제공합니다.

현재 파인리포트(FineReport)는 기간과 기능의 제한이 없는 개인 사용자용 라이선스를 공식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기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두 명의 사용자를 초과할 경우, 필요한 기능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시장 또는 세그먼트(segment)의 크기(size)와 성장률(growth)을 정량화 하는 것으로

   - Value 측면 : 특정 기간 동안의 매출(revenue)과 수익성(profitability)으로 표현하거나

   - Volume 측면 :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된 단위 생산량으로 표현한다.

많은 전략분석에서 시장의 크기와 점유율이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수년 동안의 사업이나 시장 세그먼트의 규모를 보여주는 방법을 취한다.

   - 과거 수년 동안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Historically)과

   - 향후 수년 동안의 모습을 예측하는 것 (Forecasting)이다.

기업에 있어서는 이 시장의 크기를 얼마나 점유하고 있느냐가 경쟁의 판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시장점유(Market Share)라는 측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Value 측면 : 순매출이나 순이익의 비율로 따지며

   - Volume 측면 : 단위당 생산량의 비율로 평가한다.

또한, 결과 측면에서 사업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절대적(Absolute) 혹은 상대적(Relative)

시장점유율을 측정한다.


1. 사업(혹은 세그먼트)에서 상대적 혹은 절대적 점유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 경쟁사 대비 사업의 결과를 평가하는데 아주 중요한 도구이다.

2. 사업(혹은 세그먼트)의 매력도(attractiveness)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 사업(혹 세그먼트)의 크기가 클수록 매력적이며

 - 성장속도, 기울기 등은 시장의 Quality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

 - 다른 분석도구들과 결합하여 경쟁우위를 평가하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RMS. 상대적인 시장점유율 등)


[Positive]

 ① 사업이나 세그먼트의 매력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② 사업(혹은 세그먼트)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측정하여 벤치마크 포인트를 알 수 있고

 ③ 경쟁대비 사업의 크기 및 성과 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Negative]

 ① 수주 또는 수개월에 걸쳐 시장을 모니터링하지만 실제 시장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 어려우며 항상 과거의 데이터를 다루게 된다.

 ② 매출, 이익 등 결과지표만을 가지고 시장의 크기나 점유율을 산출하므로 시장의

     잠재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즉, 향후 투자가 더 필요한지 어떤지 알 수 없으며

     그럴 경우 잠재적으로 매력적인 시장이 되지 못하게 된다.

 ③ 경쟁사의 데이터를 제대로 알기 어려우므로 상대적인 시장점유율 크기 및 점유율을

    구하기 어렵다.

[1] 공개된 데이터를 활용한 시장 크기 분석 (Market Sizing)

  1. 시장의 크기를 정하는 소스(Data Source)들을 이해한다.

  2. 소스들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3. 2 ~ 3 회 상호검증하여 본다.

  4. 시장 크기의 트렌드를 이해한다. 핵심원인도 같이 파악한다.

  5. 고객 또는 해당 산업 전문가들과 같이 검증한다.

  * 2번 소스의 신뢰성 검증이 제일 중요한데 많은 시장조사기관들이 자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취하는 방법은 그 산업에 속한 기업들을 방문하여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이다.

    각 기업들은 법적으로 또는 의무적으로 시장조사업체들에게 그러한 중요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풀려서 제공하기 쉬우며 시장조사업체도 이를 100%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나름의

    가중치로 보정한다.

[2] 각 기업 고유의 시장/사업의 크기 계산하기

  1. 시장의 크기를 정하는 주요 요인(drivers)을 인지한다. 예를 들면

    - 전체 사업 또는 세그먼트 내의 고객수

    - 제품 또는 서비스 단위의 개수

    - 고객인당 평균 구입하는 제품 및 서비스 개수

  2. 미래 시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주요 요인(drivers)를 인지함. 예를 들면

    - 관련 거시경제 동향

    - 고객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

    - 고객의 수의 증감, 인당 구매량의 변화 등

  3. 시장의 크기를 결정할 방법론 선정

    - [Top-Down] 거시변수들로부터 접근. 예. 관련 사업의 전체 크기

    - [Bottom-up] 미시변수들로부터 접근. 예. 고객수

    - 일반적으로는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상호체크함

  4. 시장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계산함

    - (예) 최근 5년 간 성장률은 얼마인가? → 연평균 성장률을 계산함

    - CAGR을 계산함. Compound Annual Growth Ratio는 단순평균성장률과는 달리

       매년 평균적인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가진다고 할때의 성장률을 의미한다.

       기하평균의 개념이 들어가 있으며 쉽게 얘기하면 '자대고 줄긋기'이다.

        위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면 CAGR은 구할 수 있다.

  5. 기타 물가상승률 및 시간 변수 등을 참조하여 필요 시 보정한다.

CAGR 계산 시 아래 사항도 참고할만 하다.

1. 엑셀(MS EXCEL)을 이용하는 방법

  - 위의 수식을 엑셀에서 그대로 표현해도 좋고

  - rate() 함수를 이용해서 계산해도 된다. 이 경우는 아래와 같이 코딩한다.

    = rate(기간,0,-시작값,종료셀)  .. 아래의 경우, 어떻게 계산해도 32%이다.

2. 구하고자 하는 기간 내에 하락하는 경우 , 즉 음수가 있을때

  - 지수값을 구할때 마이너스 값이 있으면 계산이 안된다.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은 함수를 이용한다.

    CAGR을 설명할 때 기하평균이 반영된 것이라 했는데 기하평균수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 위의 테이블에 하나 더 추가해보자. 즉, B기업이 첫 해 투자를 했다고 생각해보자.

    (즉, 2007년 실적은 없고 2008년부터 실적이 생긴다고 가정)

   이 경우, 위와 같은 수식을 사용하면 수식에러가 난다.

   이럴 경우, GEOMEAN()을 이용해보자. 즉, rate() 자리에 geomean()을 쓰는거다.

   해석 시 주의할 점은 주어진 실적의 성장률이 아니라 그것의 변화값의 기하평균을

   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경우는 같게 나오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값이 다르다.

   아래를 보자.

  증감비율의 증가치를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값이 다르게 나오지만 그래도 못 구하는 것보다는

  낫다면 이 방법도 괜찮을 것 같다.

[3] 시장 점유율 계산하기

  시장의 크기가 결정되면 점유율을 계산하는 것은 간단하다.

  보통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을 모두 계산하는데 아래 표와 같다.

사업(Business)와 세그먼트(segment)를 구분한 이유는 생산량이라든가 매출 이외의

다른 정보로 시장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냥 대표값으로 넣었다.

[Lesson Learned]

시장의 크기를 정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지만 믿을만한 기본 데이터를 구하기는 정말 어렵다.

그 산업이 오래되어 기업 간에 정보를 충실히 공유하는 산업의 경우는 그나마 양호하게

전체 시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장의 매력도를 구할 때 크기나 점유율만으로 평가하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인데

실제로 기업 입장에서의 매력도는 수익이기 때문이다.

시장의 크기와 성장률, 점유율에서 이런 정보는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시장의 수익성 평가에 의존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