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카테고리 없음

2022. 6. 17. 09:00

식물키우기를 시작하면서 항상

궁금하고 답답했던 것들 중의

하나가 식물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마르는 이유와 그 대책이었다.

오늘은 왜 식물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마르는지 꼼꼼히 따져볼 생각이다.

식물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마르는 이유 9가지

① 자연스런 현상

특별한 이유 없이 위의 잎은

싱싱한데 아래의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시들면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식물의 잎도 수명을 다 하면

아래쪽 오래된 잎부터 노랗게

변하며 이때 노랗게 변하거나

시든 잎들은 떼어내주는 것이

좋다.

식물의 성장에 도움

② 물이 부족하거나 과습일 때

화분 흙이 말라서 물이 부족하면

잎과 줄기가 밑으로 쳐지면서

제일 아래부터 마르기 시작한다.

과습보다는 밝은 색으로 마른다.

 
한편 과습일 때는 잎끝부터

마르기 시작하고 짙고 검게

변하면서 마른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테이블 야자 잎 끝이 다다

햇빛(열) 직사광선에 노출

위 테이블 야자 잎 끝이 탄 이유는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햇빛(열)에 의해 갈색으로 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잎이 뾰족한 식물일수록

직사광선은 피하는 게 좋다.

시실 테이블 야자를 창가 제일

햇빛 (직사광선) 잘 드는 곳에

두었다가 위처럼 잎이 타는 것

같아 자리를 옮겨 주었다.

④ 습도가 낮아 건조할 때

높은 습도를 좋아하는 식물들은

건조하면 잎끝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마른다.

이때 습도를 유지하는 방법은

공중 분무를 해 주거나, 가습기 사용,

빨래 널어두기, 화분끼리 모아두기,

화분받침에 자갈을 깔고 물을 조금

부어두기 등이 있다.

⑤ 급격한 환경 변화

자연의 식물은 평생 싹이 텄던

그 자리에서 살다가 죽는다.

그런데 이를 사람의 관점으로

바꾸어 버리면서 식물은 몸살을

앓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즉 실내로 들어오면서 환경이

변하면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검게 마르고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식물 자랄 곳을

정한 뒤 이동 없이 그 자리에서

계속 키우는 것이 좋다.

필자도 필자 입장만 너무 생각한

것 같아 좀 반성이 되기도 한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환경 변화에 의한 블랙커런트 잎 마름

⑥ 분갈이 몸살

분갈이를 해주면 뿌리가 안정될

때까지 물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잎이 노랗게 변하게 된다.

그래서 분갈이를 할 때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완전하게 정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분갈이 후에는 뿌리가

안정될 때까지 그늘에 두고

기다려 주는 것이 좋다.

위 블랙커런트 잎이 마른 이유는

블랙커런트 농장에서 가져와

분갈이를 해 주면서 분갈이 몸살을

앓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⑦ 영양분 부족 또는 과할 때

흙에 영양분이 없으면 잎이

노랗게 뜬다.

건강한 잎은 초록색이지만

영양 결핍이 되면 노랗게 변한다.

또한 영양이 과해도 잎이 뒤로

말리면서 마른다.

영양 부족인 경우 알비료나 액비를

물에 희석해 가장자리에 뿌려주면

좋다.

딱딱한 황토에서 자라던

블랙커런트 모종을 영양분이 너무

많은(?) 상토와 배양토를 섞어

분갈이를 해 주었기 때문에

영양 과다가 아닌가 생각된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영양 과다로 의한 블랙커런트 잎 마름

⑧ 병충해

각종 벌레들이 잎에 붙어

엽록소 즙을 빨아먹으면 잎이 점점

노랗게 변하면서 말라 떨어진다.

병충해 방제는 식집사들의 영원한

숙제로 예방약으로 방제를

해주거나 샤워기 물로 씻겨

내려가게 하는 방법도 있다.

이때는 비닐봉지 등으로 화분 흙을

막아 물이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벌레는 대부분 잎의 뒷면에 있으니

자주 잎 뒷면을 보면서 예방약을

뿌려주는 것도 좋다.

사실 필자도 식물 병충해로 인해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말라죽는

경험을 여러 번 했다.

이는 현재도 진행 중

미니장미 병충해의 습격

응애가 맘 놓고 공격하고 있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미니장미 응애의 습격

응애와 개각충의 공격으로

잎마름이 생겼고 나중에는

잎이 모두 떨어져 나갔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응애 개각충으로 잎마름 후 떨어짐

아주 작은 벌레들의 공격이

끊임이 없다.

잎에 붙어 있는 하얀 가루같은

것은 응애 새끼인가?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미니장미 병해충

옥천앵두 예루살렘 체리 병충해 공격

병충해 방제를 해도 해도 끝이 없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옥천앵두 병해충으로 잎마름 후 떨어짐

벌레들이 다닥다닥 붙어

잎이 힘이 부쳤는지 떨어져

나갔다.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식물 잎이 타는 이유 - sigmul ip-i taneun iyu

옥천앵두 병해충으로 하엽 

⑨ 수돗물의 염소성분으로 인해

수돗물을 받아놓았다가 주지 않고

바로 주게 되면 수돗물 속의

염소성분이 잎 끝에 축적이 되어

갈색으로 마를 수 있다.

그래서 수돗물을 줄 때는 하루 정도

받아 두었다가 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