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화 연구 설계 - sahoe munhwa yeongu seolgye

이제 가설을 하나 세워보고자 한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의 고등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웠다고 해보자.

이 가설에서 독립 변수는 '가정의 부유함 정도'이고,

종속 변수는 '학업 성취도'이다.

또한, 독립 변수가 높아질 때 종속 변수도

높아진다고 이야기하므로 변수 간 양(+)의 관계가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제적 부유함 정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니기에 연구해볼 필요가 있으며,

두 변수 모두 경험적 자료를 통해

측정할 수 있기에 검증 가능성의 요건도 충족한다.

마지막으로 '~해야만 한다.'와 같이

가치를 반영하지 않은 사실진술이기에

모든 요건을 충족한 적절한 가설로 볼 수 있다.

가설을 세웠으면 다음으로 할 일은

앞으로의 연구 계획을 구상해보는 일이다.

이를 '연구 설계'라고 표현한다.

연구 설계 단계는 연구자가 연구를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할지

디테일하게 살펴보는 단계로,

실증적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일을 해야한다.

먼저 세부 실행 계획을 구상해야한다.

누구를 대상으로 연구할지,

언제 연구할지,

또 자료수집방법은 무엇을 활용할지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아까의 가설(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의 고등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다.)로 예를 들어보자.

연구자는 다음과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전국의 모든 고등학생을 연구할 수는 없으니,

A고등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연구해야지~.

그리고 내가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6월 중순에 연구를 진행해보아야 겠다.

음, 아무래도 설문지를 뿌려서 자료를 수집하는게

편하겠는걸."

이렇듯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세부 실행 계획 구상'이다.

그리고, 연구 설계 단계에서 해야 하는

또 다른 한 가지 작업은

'개념의 조작적 정의'이다.

개념의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까의 가설(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의 고등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다.)에서

독립 변수인 '가정의 경제적 부유함 정도'를

부모님의 월 평균 소득을 구간별로 정리하고,

종속 변수인 학업성취도를

'수능 성적'으로 재정의하는 것이

바로 개념의 조작적 정의이다.

이제 계획을 구상하는 것이 끝났으면

본격적으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연구 설계 후 진행되는 단계는

'자료 수집'단계이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수치화, 계량화를 중시하기에

수치화된 양적 자료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양적 자료를 수집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추후에 살펴볼

질문지법과 실험법이다.

예를 들어,

아까의 가설(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의 고등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다.)과 관련된 설문지를

들고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는 등

'자료 분석'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1번의 질문에 ①번 선지를 선택한

학생이 몇 명인지, ②번 선지를 선택한

학생은 몇 명인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모든 자료를 객관적으로 분석한 후에

내가 세운 가설이 맞았는지,

혹은 틀렸는지를 검증해야한다.

이 단계를 '가설 검증'단계라고 부른다.

이 때, 연구자가 세운 가설이 맞았다면

(즉, 가정이 부유할 수록 학업성취도도 높다면)

가설이 수용되었다고 표현한다.

만일 연구자가 세운 가설이 틀렸거나,

관계가 전혀 없다면

(즉, 가정이 부유할 수록 학업성취도가 낮거나,

가정의 부유함 정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가

전혀 없다면)

가설이 기각되었다고 표현한다.

가설을 검증한 후에는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을 '일반화' 시키는데,

(특히 질문지법의 경우에 일반화가 더욱 중요)

일반화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표본의 대표성 확보'이다.

표본이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

그러면 도대체

일반화는 무엇이고, 표본은 무엇이며,

대표성을 갖춘다는 것은 무슨말일까?

우선 '모집단'이라는 말이 있다.

모집단은 '연구자가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전체'를 의미한다.

즉, 아까의 가설(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의 고등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다.)에서 모집단은

전국의 모든 고등학생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전국에 있는 모든 고등학생을

연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에

그 중 일부만을 추출해서 조사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A고등학교 학생들)

A고등학교 학생들처럼

실제로 조사한 집단을 표본집단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뿌리고 수합하여 가설을 검증해보고,

결론을 도출한다.

A고등학교 학생들처럼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나온 결론을 모집단에 적용하는 과정이

'일반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