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 문제 - linugseu myeonglyeong-eo munje

희조당 2022. 5. 3. 02:13

Show

리눅스 명령어 문제 - linugseu myeonglyeong-eo munje

1.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셸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

 - /etc/passwd

2. 현재 a.txt 파일의 내용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 ls /tmp >> a.txt 명령을 수행하면 a.txt 파일의 내용은 어떻게 되는가?

 - ④ 기존 내용은 남아있고, /tmp 디렉터리의 내용이 추가된다.

3. 계정의 기본 프롬프트가 저장되는 환경 변수는 무엇인가?

 - ① PS1

4. 셸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명령어 해석기 : 가장 기본적인 기능,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고 전달.

 2. 프로그래밍 : 자체에 프로그래밍 기능이 내장되어있다. 만들어진 셸 프로그램은 셸 스크립트.

 3. 사용자 환경 설정 : 사용자 환경 설정할 수 있도록 초기화 파일 기능을 제공.

5. 특수문자 *와 ?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 임의의 문자열

 ? : 하나의 문자

6. 특수문자 " ", ' ', ` `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 : $, \을 제외한 특수문자의 기능을 없애고 문자열로 만든다.

 ' ' : 모든 특수문자의 기능을 없애고 문자열로 만든다.

 ` ` : ` `로 감싼 문자열을 명령으로 해석한다. 

7. 표준 입출력 장치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표준 입력 장치 : 셸이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장치

 표준 출력 장치 : 실행 결과를 내보내는 장치

 표준 오류 장치 : 표준 출력과 별도로 오류 메시지를 내보내는 장치

8. >를 사용할 때 기존 파일의 내용을 덮어쓰는 것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 >>를 사용하거나 set 명령어를 사용한다.

9.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파일의 상세 정보는 ls.out 파일에, 오류 메시지는 ls.err 파일에 저장하시오.

 - ls -l > ls.out 2> ls.err

10. 특정 셸 변수의 값은 echo 명령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체 환경 변수를 출력하는 env 명령의 결과에서 특정 환경 변수 (ex. SHELL) 만 골라서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echo $SHELL

11. 배시셸이 사용하는 초기화 파일의 이름을 밝히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etc/profile : 시스템 공통 적용되는 환경 변수 설정 (ex. PATH, LOGNAME 등)

 /etc/bashsrc : 시스템 공통 적용되는 함수와 앨리어스 그리고 기본 프롬프트, 서브 셸 명령 경로, 기본 접근 권한 설정

 /etc/profile.d/*.sh : 언어나 명령 별로 필요한 환경 설정

 ~/.bash_profile : .bashrc 파일이 있으면 실행. 경로 추가 등 사용자가 정의하는 환경 설정 파일

 ~/.bashrc : /etc/bashrc 파일이 있으면 실행. 사용자 정의 앨리어스나 함수 등을 설정

 ~/.bash_logout : 로그아웃 시 실행할 필요가 있는 함수 등을 설정

※ 다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기술하시오(12번 ~ 15번)

12. 확장자가 txt인 모든 파일명을 출력하시오.

 - ls *.txt

13. 현재 디렉터리에서 숫자로 시작하는 파일을 모두 찾아 상세 정보를 출력하시오.

 - ls -l [0-9]*

14. 현재 디렉터리에서 있는 파일명의 확장자가 c인 모든 파일을 /tmp로 복사하시오.

 - cp *.c /tmp

15. echo 명령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하시오. 날짜 정보는 명령을 실행하여 출력되도록 하시오.

 - echo "Today is `date`."

16. ls 명령 실행 시 숨김 파일도 모두 출력되도록 앨리어스를 설정하시오. 

 - alias ls='ls -a'

17. rm 명령을 rm -i로 앨리어스를 만든 후 파일을 삭제하려는데 계속 삭제할 것인지 물어봐서 번거롭다. 잠시만 앨리어스 설정을 사용하지 않고 rm 명령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unalias rm

18. 내장 명령과 관련된 셸 스크립트 파일은 /usr/bin에 있다. /usr/bin 디렉터리에 있는 명령 중 내장 명령인 것은 무엇인지,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 Skip

19. 프롬프트를 현재 디렉터리와 히스토리 번호로 설정하시오.

 - PS1='\w\!'

20. 가장 최근 사용한 cp 명령을 재실행하시오.

 - !cp

21. 긴 명령을 입력했는데 오타가 있어서 실행되지 않았다. 이 명령을 처음부터 다시 입력하지 않고 수정하여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윗 방향키(↑)로 이전 명령어를 불러온 다음 수정해서 실행한다.

22. 수정된 .bashrc 파일을 적용하는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하시오.

 1. . .bashrc

 2. source .bashrc

 3. sh .bashrc

리눅스 명령어 문제 - linugseu myeonglyeong-eo munje

1. 다음 중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 프로세스는 UID라는 번호를 가지고 있다.

2. 명령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명령 다음에 추가하는 특수문자는 무엇인가?

 - ② &

3. 사용자 계정이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 ④ /etc/cron.allow 파일과 /etc/cron.deny 파일이 모두 없다.

4. 일반 프로세스와 데몬 프로세스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일반 프로세스 : 명령이 끝나면 소멸된다.

 데몬 프로세스는 대기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만 동작한다. 명령이 끝나면 소멸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돌입

5. ps -f 명령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프로세스의 부모-자식 관계를 설명하시오.

 - 부모 -bash → sh vi /etc/hosts 자식

6. guest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를 모두 찾으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무엇인가? 

 - ps -fu guest, ps -ef|grep guest

7. PID가 5000인 프로세스를 kill 5000으로 종료하려는데 종료되지 않는다. 이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kill -9 5000

8. 주기적으로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top 명령어, 시스템 정보

9.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kill 명령보다 pkill 명령이 더 편리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 CMD로 종료하기 때문에 여러 개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10. 현재 실행 중인 포그라운드 작업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다음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① ctrl + z로 실행 중지

 ② bg %작업 번호로 전환

11. 현재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다음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 fg %1

12. 다음과 같이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작업이 세 개 있다. 이 중 3번 작업을 종료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 kill %3

13. 로그아웃한 다음에도 find / -name test 명령을 계속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 nohup find / -name test&

14. at과 crontab 명령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at은 정해진 시간에 한 번만, crontab은 정해진 시간에 반복해서

15. guest01 사용자가 /etc/cron.allow 파일과 /etc/cron.deny 파일에 모두 등록되어 있다. guest01 사용자는 crontab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가?

 - 사용 가능하다.

16. 12월 31일 낮 12시에 user01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도록 at 명령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① at 12pm Dec 31

 ② ps

 ③ ctrl + d

17. 매주 일요일 밤 12시면 user01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여 user01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ps.out 파일로 저장하도록 crontab을 설정하시오.

 - 0 0 * * 0 ps -u user01 > ~user01/ps.out

18. 다음과 같이 at 명령으로 설정한 작업이 있다. 이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 atrm %작업 번호 or at -d %작업 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