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사 that 목적어 - jeobsogsa that mogjeog-eo

접속사 that 목적어 - jeobsogsa that mogjeog-eo

저번 포스팅에

That의 종류와 쓰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관계대명사로 쓰일 때

그리고 명사절 접속사로 쓰일 때

That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 보겠습니다

일단 관계대명사절과

명사절의

문장내에서 역할을 이해하면

의외로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은 형용사

명사절은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는 말이 되겠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의 that

I like the girl that lives next door.

나는 옆 집에 사는 그 여자를 좋아해.

어떤 여자? 옆 집에 사는 여자.

I like the computer that I bought last week.

나는 저번 주에 산 컴퓨터가 좋아.

무슨 컴퓨터? 저번 주에 산 컴퓨터.

*한 덩어리로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 쓰입니다.

명사절 접속사 that

That I am married often suprises people.

내가 결혼 했다는 것은 종종 사람들을 놀래킨다.

주어로 쓰인 that 절

I saw that the guy broke into your house.

나는 너희 집에 남자가 침입 하는 것을 보았다.

목적어로 쓰인 that 절

*한 덩어리로 명사자체가 됩니다.

그러면 형용사와 명사로 쓰이는

이 두가지 경우 문장의 모양을

살펴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절의 문장 모양

I like the girl that lives next door.

나는 옆 집에 사는 그 여자를 좋아해.

관계대명사절은 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없어도 주절이 완전한 문장입니다.

I like the girl.

그리고

관계대명사절의

that은 선행사를 받는

대명사이기 때문에

(That = girl 이기 때문에)

that절에서 that을 제외하면

lives next door.

불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하나 더 보시면,

I like the computer that I bought last week.

that = computer 이기 때문에

I bought last week

나는 저번 주에 샀다. 무엇을?

목적어가 빠진 불완전한 문장.

명사절 접속사 that의 문장 모양

I saw that the guy broke into your house.

that절이 통채로 주절의 목적어이기 때문에

주절이 불완전한 문장

I saw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

That I am married often suprises people.

often suprises people

역시 불완전한 문장

그리고

that절 안을 보시면

관계대명사절과는 달리

that이하가 완전한 문장입니다.

(*that절에서 that을 제외한 부분)

I am married

the guy broke into your house

주절 + that + 완전한 문장

접속사 that

간단히 정리하면

관대 that

주절 + that + 불완전한 문장

접속사 that

주절 + that + 완전한 문장

문법공부를 하다보니

제가 학교다닐 때

영어 문법을 이해하지 못했던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문법의 용어를 몰랐기 때문인데요

다른 말로 하면 기초를

다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제가 설명을 하려고 보니

설명을 하려면 어떻게든

도구가 필요한데

예를 들면

"관계대명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

했을때 대명사? 형용사?가

뭔지 몰랐기 때문에

이 문장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죠

이제와서 이걸 알게 되네요..

혹시 저와 같은 생각이 드셨다면

영문법의 언어인

품사와 문장성분을

다시 한번 훌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 이전 게시물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접속사 that 해석, 문장을 이어줘요!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 해줄때나
단어와 단어를 연결 해줄 때 사용합니다.
접속사는 먼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가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접속사 that 해석은 종속
접속사에 해당하고 있습니다.

종속접속사는 절 자체가 명사나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종류에는
that, what, whether, if, 의문사절이
있습니다. 종속접속사 that은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로 사용하고 있으며
해석으로는 ‘~것을’ 이라고 해석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해석은
that이 접속사 뒤에서 명사가 들어가는
자리에 절이 들어가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명사절 접속사 that은 주어와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사용됩니다.
그럼 어떤 문장에 사용되는지 간단한
예문을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접속사 that 해석을 하기 위한 예문으로
‘I know that he is honest.’ 해석으로는
나는 그가 정직하다는 것을 안다.
여기서 that he is honest. 가 명사절에
that을 사용해’~하는 것을’ 이라고 해석
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접속사 that 해석을 하기 위해선
주어의 자리에 사용되는 that의 예문은
‘That he was badly injured is a pity.’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은 유감
이다. 로 해석할 수 있으며 주어자리에
that 이 사용 된 예문입니다.

목적어 자리에 사용되는 that의 예문은
‘I know that he was badly injuerd.’
나는 그가 몸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해석할 수 있으며 목적어
자리에 사용되는 that은 생략도 가능
하니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어 자리에 사용
되는 접속사 that의 예문을 소개합니다.
‘The truth is that he was badly injured.’
사실은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이다. 로 접속사 that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영어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접속사 that 해석, 문장을 이어줘요!|작성자 TOP 1프로 영어학원

접속사 that 목적어 - jeobsogsa that mogjeog-eo

이번 시간에는 접속사 that 과 관계대명사 that 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1초만에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접속사 that 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접속사 that

Key Point!! 접속사 that 은 명사절로 쓰이고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온다. 이것이 핵심 입니다.
아래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1-1) That he is honest is true.
1-2) The problem is that he is not honest.
1-3) I believe that he is honest.

여기서 잠깐 명사절이 무엇인지 알아봐야 하는데요 이것을 알려면 명사가 하는
역할을 알면 됩니다. 주어,보어,목적어 자리에 명사가 들어갑니다. 이 말은
명사절로 쓰이는 that 역시 주어,보어,목적어 자리에 들어갈 수 있음을 뜻합니다.

위 3문장을 잘 보면 that 절이 주어,보어,목적어 자리에 각각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that 를 가리켜 명사절로 쓰인 접속사 that 이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가 아닙니다)

두번째, that 뒤를 보면 모두 주어+be동사+형용사 보어 의 완전한 문장이 나왔다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나옵니다.

(참고로 완전한 문장이란 주어+동사+목적어, 주어+be동사+형용사 혹은
주어+be동사+pp (수동태) 이러한 형태들을 말합니다).

  1. 관계대명사 that

Key Point!! 관계대명사 that 은 형용사절로 쓰이고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나온다.
역시 이점이 핵심이 되겠습니다. 아래 예문들을 보겠습니다.

2-1) I live in a small house that has no garden.

that 앞에 명사 house 가 나왔고 that 이하는 house 를 수식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명사 수식은 형용사가 한다는 것은 다들 아시리라 봅니다. 따라서 관계대명사 that 은
형용사절로 쓰인 것입니다. 또한 that 뒤를 보면 주어가 없습니다. 즉, 불완전한 문장이
나왔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렇게 모든 관계대명사 뒤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위에 that 은 주어가 빠졌기
때문에 주격 관계대명사로 쓰인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주격 관계대명사란 선행사
(위 문장에서는 house) 가 주어 자리에 들어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어를 써주면 앞에
선행사와 중복되기 때문에 또 써주면 안되는 것입니다.

2-2) The candidate that we supported was elected president.

이 문장은 어떻습니까? 역시 that 앞에 명사 candidate (후보자) 란 명사가 나와 있고
that 뒤 동사 supported 뒤에 목적이 없습니다. 즉, 불완전한 문장이 나왔으므로
관계대명사로 쓰였습니다.

그럼 1초만에 접속사 that 인지 관계대명사 that 인지 구별하는 방법을 아래 공식을
알아 놓으면 되겠습니다.

동사 + that (접속사) + 완전한 문장
명사 + that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문장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동격의 that 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http://go-answers.tistory.com
인강 사이트 http://letsgosinamo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