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차이 - jaelyogonghag sinsojaegonghag chai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소재공학과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물리학과' '경제학과' '기계공학과'처럼 듣기만 해도 뭘 배울지 떠오르는 과가 있는 반면에

저는 사실 '신소재공학과'하면 떠오르는 게 별로 없었어요...

도대체 뭘 배우는 학과지? 어디로 취업하지? 하는 궁금증이 많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그때의 저처럼 궁금해하고 계실 여러분들과 함께 정보를 나누고자 적어보게 되었습니다.

.

.

신소재의 뜻을 번역하면 말 그대로 新 소재(素材) ,즉 새로운 소재,를 뜻하는데요.

신소재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도체자동차를 이루는 소재부터 요즘 각광받고 있는 웨어러블 소재 탄소 섬유, 나노소재 같은 것들을 신소재라고 할 수 있죠.

.

.

.

음,, 그럼 '신소재공학과'란...?

조금 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와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의 학과 소개를 따왔습니다!

.

.

<연세대학교>

21세기 산업분야의 핵심소재를 연구, 개발하는 독립 분야일 뿐 아니라, 화학/물리, 전기/전자, 화공/생명, 컴퓨터/환경 시스템, 건축/토목 등과 같은 다른 이공학 분야와 학문적으로 연계하여 그 과학과 기술을 융합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분야로서 큰 중요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신소재공학은 물질의 조성과 그 조성에 의한 피코-나노-미크론-매크로 적 구조에 의해서 발현되는 소재의 물리, 화학, 전자기, 생물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능화하고 융합하여 유용한 소자와 시스템을 개발하고 응용하기 위한 학문이며, 따라서 특히 광범위하며 복합적인 이공학 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에서는 반도체 재료, 금속재료, 고분자 재료, 세라믹 재료, 전자재료, 바이오재료 등의 학문 분야를 학부과정에서 배울 수 있으며, 구체적 응용분야로 철강, 세라믹 및 반도체 산업, 전/자기 산업, 화학소재 및 바이오산업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신소재공학부에서는 기존의 공업 발전의 근간을 이루어온 재료의 개발과 함께 첨단공학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반도체 재료와 나노기술 소재, 세라믹 재료, 금속재료, 고분자 재료 및 전자재료 등의 신소재 개발 능력 확립에 중점을 두어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

.

종합해보자면 '각종 재료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여 새로운 재료를 연구 및 개발하는 학과'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신소재공학과는 거의 모든 대학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학교들이 개설한 과인데요,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인천대학교, 아주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는 신소재공학과(부)가 있다고 합니다.

앗 그리고 저는 신소재공학과를 지원할 때, 신소재공학과와 재료공학과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더라고요.

다음에는 신소재공학과와 재료공학과의 차이 그리고 신소재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다음에 만나요!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신소재공학과란?(2)편 포스팅을 완성했어요! 위에 올려둔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이 포스팅도 확인해주세요!

신소재공학/신소재공학, 재료공학 (전공 소개)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란 ??

2020. 5. 24.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란 ??

**

본 내용은 학과를 선택하는 고등학생 및 학과의 교육 방향을 정확히 모르는 1~2 학년 학부생 분들에게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① 신소재공학과 및 재료공학과 ?

우선, 신소재공학과재료공학과등 비슷한 많은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모두 같은 공부를 하는 학과입니다. 따라서, 아래부터는 신소재공학으로 명칭을 통일하겠습니다.

- 신소재공학은 고등학교 기초 과학의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중에서 물리와 화학을 베이스로 가지는 확장 영역의 과학과 이를 활용하는 공학을 공부하는 내용입니다.

간단하게, 화학시간에 배우는 주기율표 1~20(수헤리베 붕탄질산.....)에서 확장 하여 주기율표 전체 원소(1~103 암기할 필요는 없음)에서 이를 섞었을 때 나타나는 특성 및 이를 응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문

수학(미적 분학)의 중요도는 다른 공대 보다 상대적으로 낮지만 일반 물리, 화학의 중요성이 있음
(1학년때 주로 필수 교양)

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차이 - jaelyogonghag sinsojaegonghag chai

                                                                  [그림. 주기율표]

- 물질에 대해서 공정 -> 구조 -> 성질 -> 성능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고 기계적, 전기적, 열적, 자기적, 광학적, 열화적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서 공부

- 학과 교수님의 전공에 따라 재료 개발, 공정 개발등의 집중도는 학교마다 다른 것이 특징

(재료 개발 예시: Al 합금 개발, Ti 경령화 소재, 특수 환경에서의 Fe 소재 개발 등)

(공정 개발 예시:  원심 주조 공정 개발, 단조 공정개발, 박막 코팅 공정 개발 등)

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차이 - jaelyogonghag sinsojaegonghag chai

[그림. 제강, 경량 소재, 단조 공정, 진공 박막 코팅]

- 하지만, 대학교 학부생 기준으로는 신소재를 개발 보다는 기존의 재료에 대한 원리 이해하는 것이 주요 학과의 목표.

② 왜 신소재공학을 공부해야 하는 것인가 ?

- 무엇인가 설계하고 만들 때 기존의 재료중에서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최고의 퍼포먼스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재료공학을 학습

- 또한 새로운 재료와 공정을 개발하여 기존의 공정을 통해 보다 우수한 퍼포먼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

(예시: 신소재 개발, 신공정 개발을 통해 배터리 수명 개선 등)


③ 대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 주요 과목

  • 고체 재료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복합재료(2개 이상)로 나뉘어지며

    신소재공학과는 주로 금속

    , 세라믹, 복합재료 (금속+세라믹)을 공부함. (고분자는 타전공에서 주로 공부)
  • 1학년: 공대 공통(물리, 화학, 미적 분학 및 기타 교양과목)2~4학년: 금속재료, 전자재료, 열역학, 세라믹재료, 철강 재료, 비철 재료, 표면 코팅, 결정구조학, 재료조직학,
                재료역학, 상변태, 재료 강도학, 분말야금, 용접공학, 각종 분석법등
  • 학과의 목표: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는 사람 + 기존 재료의 특성을 알고 활용해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는 사람 양성

       (새로운 재료 예시: 포스코 영하 196도를 견디는 고망간강 개발”)

       (새로운 공정 예시: 삼성전자 최첨단 5나노 파운드리 공정 개발)

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차이 - jaelyogonghag sinsojaegonghag chai

[그림. 고망간강 개발 및 활용 / 5나노 파운드리 공정 그림]

④ 신소재공학과 자격증

국가 자격증: 1) 금속재료기사

 - 금속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험, 분석, 조직검사, 열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증
 

- 금속조직학, 금속재료학, 야금공학, 금속가공학, 표면공학등 재료등의 내용이 시험에 나오며 신소재공학과의 
전공과목이 주된 내용

2) 비파괴검사 기사

  
 - 비파괴검사 기사는 이름 그대로 시험편을 파괴하지 않은 채로 결함을 검사하는 전문기술인을 양성하기
위한자격증 (5가지로 나뉘어 진다)

- 침투 비파괴 검사 기사, 자기 비파괴 검사 기사, 누설 비파괴 검사 기사,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 기사

3) 용접 기사

- 용접 기사 자격증은 용접 기술을 배우는 자격증 같지만 실제로는 기능사, 산업기사 자격증에서
 주로 용접 능력을 검증한다.

- 용접 기사 자격증은 일반적으로 용접의 종류는 전기용접, 가스용접, 저항용접, 특수용접 등에서
용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고급 용접기술인력 양성.

- 자격증 시험에는 용접 능력도 포함되지만 주로 용접 검사원을 목표로 하는 자격증
특히, 자격증 시험의 일부분에서 금속재료의 기본 지식이 필요

4) 반도체 설계 기사

- 반도체설계기사는 회로설계기술, 회로설계소프트웨어활용, 반도체제조를 위한 데이터 생성 등 반도체
설계업무를 수행 하기 위한 자격증

5) 세라믹 기술사

- 경력이 필요한 자격증으로 세라믹기술사는 신소재 산업에서 첨단 세라믹스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미래 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세라믹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소재 및 기술을 개발할 유능한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증

- 주요 업무는 세라믹기술사는 세라믹 전반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나
제품, 기술을 개발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세라믹의 원료에서 제작,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을 지도·감독
하는 역할

6) 재료 조직 평가 산업기사

- 금속재료기사의 하위 호환 자격증

-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자격은 재료의 조직과 성질 및 결함과 파괴손상 여부 등을 정확하게 평가 분석하는
기법으로 품질향상을 담당할 수 있는 재료조직평가분야의 전문기능인력을 양성을 목표로하는 자격증

⑤ 취업 관련

기본적으로

학과의 취업률은 높은 편

이지만

공기업/공무원으로의 취업에는 전공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는 평가가 지배적

사기업: 금속 회사: 철강 회사, 알루미늄 관련 회사, 마그네슘 관련회사, 동 관련 회사 [회사 메인 포지션]
                        

공정 회사: 열처리, 용접, 표면 코팅, 주조, 단조, 압연, 압출, 3d-프린터 등 [회사 메인 포지션]
                        

자동차, 항공, 조선 회사:[일반직 기준 회사내 서브 포지션, 하지만 연구원을 중심으로 필수]
                                                       

반도체, 디스플레에, 배터리 회사[일반직 기준 회사내 서브 포지션, 하지만 연구원을 중심으로 필수]  * 공장의 현장직 부터 전공을 바탕으로 현장 관리직 및 연구소내 박사 학위 연구원까지 다양한 분야에 취업 가능

공기업, 공무원:

- 전공 활용도 거의 없음 (일반직 기준 연관성 없음)

- 전공 공부는 공기업 및 공무원 준비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여러 자격증을 따기 위해 전공 외
공부를 해야 하는 상황 (전기기사, 기계기사 등)
- 불가능 하지는 않지만 타 전공 보다 오히려 더 노력을 많이 해야될 가능성이 높음

⑥ 대학원 진학

  • 다른 공대에 비해 대학원 진학이 높은 편

- 이유는 학부생은 기존의 재료 지식과 이를 활용하는 기본을 공부 했다면


- 대학원 이상에서는 기존의 재료 및 공정을 새로 개발하는 신소재공학을 주로 하기 때문- 석사 이상 과정에서는 산업적을 중요도와 상관없이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하고 이를 학교 규정의 졸업 논문을
작성해야 졸업이 가능한 상황으로
 말 그대로 신소재공학의 시작

** 요약**

재료공학은 기존의 기술을 익히고 최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21세기형 대장장이가 되는 길

(대장장이의 제작품: 금속 원재료부터 자동차, 비행기, 조선, 핸드폰, 가전제품 등 모든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