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상단영역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 뉴스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교육
    • 특집
  • 오피니언
    • 사설
    • 서해안
    • 금요논단
    • 기호포럼
    • 월요프리즘
  • 인천
    • 경기
      • 지역
        • 스포츠
          • 야구
          • 축구
          • 골프
          • 농구/배구
          • 오늘의경기
        • 사람과 사람
          • 인천
          • 경기
          • 새얼굴
          • 지역 안테나
          • 인사
          • 부고
          • 결혼
        • 기호경제
          • 기호TV

            본문영역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會者定離 去者必返(회자정리 거자필반)

            현재위치

            •  홈
            • 오피니언
            • 漢字成語

            會者定離 去者必返(회자정리 거자필반)

            • 기자명 기호일보
            • 입력 2019.04.17
            • 지면 10면
            • 댓글 0

            會者定離 去者必返(회자정리 거자필반)/會 모을 회/者 놈 자/定 정할 정/離 떠날 리/去 갈 거/必 반드시 필/返 돌이킬 반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고 떠난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말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을 예고했을 때 제자 아난존자가 슬퍼하자 "인연으로 이루어진 세상의 모든 것들은 덧없음으로 귀착된다. 은혜와 애정으로 모인 것도 언젠가 이별한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그런 것이어늘 어찌 슬퍼만하는가"라고 말했다.

            아난존자가 눈물을 그치지 않고 "세상에서 가장 높으시고 거룩하신 스승께서 열반에 드신다니 어찌 근심하고 슬퍼하지 않으리이까. 세상의 눈을 잃게 되고 중생의 자비하신 어버이를 잃는 것이옵니다"하며 슬퍼했다. 석가모니는 또 말했다. "근심하거나 슬퍼하지 말라. 비록 한 겁(劫)을 머문다해도 결국은 없어지리니 인연으로 이루어진 모든 것들의 본바탕이 그런 것이니라." <鹿鳴>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사자성어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진다’란 뜻으로, 만나면 헤어지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자연의 이치라는 또 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어찌 보면 참으로 냉정하지만, 그러나 현실적인 말이기도 하다.

            회자정리의 유래를 보면 부처님께서 배사리성의 큰 숲에서 열반을 예고하자, 제자인 아난존자가 매우 슬퍼하였다. 그때 부처님께서 아난존자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인연으로 이루어진 이 세상 모든 것들이 빠짐없이 귀착되나니 은혜와 애정으로 모인 것일지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이별하기 마련이다. 또한 이 세상 모든 것들이 의례 그런 것이거늘, 아난존자는 어찌 근심하고 슬퍼만 하는가?”

            사람은 한평생을 살면서 수없는 이별과 만남을 반복한다. 물론 다시 만날 수 있는 인연이라면 기쁘겠지만,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나보낼 때나, 손때 묻은 물건을 버릴 때 등, 이별을 할 때는 더 진한 아쉬움이 남기 마련이다. 바위가 부서져 돌이 되고 다시 모래가 되고 흙이 되어 형체를 전혀 알아볼 수 없게 변하듯,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사멸이든, 마멸이든 결국 빈(空) 것이 되고 만다. 부모님은 물론 사랑하는 이들과도 헤어져야 한다. 그렇다고 슬퍼하거나 비관할 일만은 아니다. 인간을 비롯한 삼라만상의 모든 것들은 유한자로서, 결국 죽는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까닭이다.

            그런데 ‘거자필반(去者必返)’이란 말도 있다. 즉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재회를 전제로 한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잘게 부서졌던 흙은 다시 굳어져 돌이 되고, 또 바위가 된다. 인간인 나는 자연의 순리에 따라 결국 죽고 말겠지만, 나와 DNA가 똑같은 나의 분신인 2세가 남아 나를 대신할 것이다. 삼라만상의 모든 것은 영원히 사멸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끈으로 면면히 이어지는 것이다. 자연도 예외가 아니다. 사람들은 가을에 떨어지는 낙엽을 보며 감상에 젖는다. 그러나 그 낙엽은 거름이 되고 이듬해 봄이 되면 더 싱싱한 잎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회자정리’의 슬픔을 ‘거자필반’으로 보상해 주는 셈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살면서 절대로 원수를 만들지 않는다. 지금 있는 이 사람과 다시 안 볼 것 같아도 언제 다시 어떤 식으로든 만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만날 때 미리 헤어질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도 반드시 다시 만날 것을 믿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주변의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베풀고 기억해 주는, 그런 유의미한 하루하루를 살아야 하지 않을까.이윤배(조선대 교수)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회자정리 거자필반이라는 말 들어보셨는지 궁금하다.

            분명 어디서 들어본 것 같은데 무슨 뜻인지는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다.
            오늘은 이 사자성어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본다.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이 말과 관련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시트콤이 있다. 다른 블로그들의 내용을 봐도
            거의 대부분 이 시트콤을 언급하곤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너무 많이 회자되었기 때문이다.

            아래처럼 유튜브에서 회자정리만 쳐도 하이킥이 함께 나올 정도다.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유튜브 회자정리 검색 중 캡쳐

            이 시트콤에서 나온 성어는 정확히는 회자정리이다. 
            어떤 내용이었는지 궁금하신 분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회자정리의 뜻은 다음과 같다. (네이버 국어사전 참고)


            모일 회, 놈 자, 정할 정, 헤어질 리 ->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 

            갈 거, 놈 자, 반드시 필, 돌아올 반 ->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온다.

            결국 회자정리 거자필반은 사전 상의 의미로는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고,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온다고 직역된다.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솔직히 이 말만 가지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이와 관련한 지식백과 내용이나 기사 등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뜻을 정리해보면
            만남이 있으면 이별도 있다. 는 사람 사이의 만남과 헤어짐에 국한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이를 포함한 인간관계나 일, 사물 등 모든 것과의 만남을 포함하기도 해 인생의 무상함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고 한다.

            이 말은 초기 불교의 유명한 경전 법화경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회자 정리 거자 필반 - hoeja jeongli geoja pilban

            개인적인 해석과 감상


            어떤 블로그를 보니 이와 관련된 개인적인 감상을 덧붙였던데, 나도 한 번 해보고 싶어 해 본다.
            개인적으로 좀 더 해석을 덧붙여 본다면  모든 것에는 만남과 헤어짐이 있다는 의미이므로
            어떤 것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평온하게 지내라 정도로 해석해도 크게 무리는 안 될 것 같다.

            사실 조금만 진지하게 생각해보면 사람과 사람이든, 사람과 물건이든, 내가 하는 어떤 일이든
            지금 내가 만나고 있고, 나한테 속해있고, 내가 하고 있는 일이라고 해서 그것이 영원하진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란 존재는 그 당연한 이치를 너무도 쉽게 잊어버리고 그런 만남이, 물건이, 일이 나에게서 떠나갔을 때 '예상치 못한' 이별이라며 슬퍼하곤 한다.

            요즘 참 여러 측면에서 지나친 소유와 집착하기를 권장하는 시대이다. 
            여기저기서 어제도 할인이었으면서, 오늘 특가, 오늘만 할인을 너무도 당연하게 붙이며 사람들에게 소비를 끊임없이 유도한다. 어느 정도 나이가 되면 반드시 연예를 해야 하고, 옆에 누군가가 있어야 하고. 어느 정도 나이에는 반드시 배우자가 있어야 하는 것처럼 자기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며 타인에게 무례를 범하고, 이미 깨진 신뢰 관계를 깨닫지 못하고 헤어짐을 인정하지 못해 집착을 넘어 병적인 행동을 한다. 마치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영원히 자기가 할 것처럼 삶의 적당한 균형을 이루지 못하며 일에만 몰두하곤 한다. 내 생각엔 이 모든 것이 사람이 무언가 소유하고 집착하고자 하는 것의 일환인 것 같다.

            그렇다고 그럼 소유와 집착이 무조건 나쁘냐? 무소유? 필자는 이런 것을 남들에게는, 입으로는 주장하면서 실질적으로 그렇지 않은 기만적인 사람들을 정말 싫어한다. 소유와 집착 자체가 나쁘진 않지만 무엇이든 간에 그렇듯이 지나친 것은 화를 부른다. 적당한 욕심은 인간을 발전시키지만 지나친 욕심은 부작용을 야기하듯이.

            인생사 아래 만남이든 물건의 소유든, 일이든 간에 적당한 사랑과 열정을 가지면서도 언제든 그것들이 나와 헤어질 수 있음을 생각하면서 사는 태도가 때로는 필요가 건강한 삶을 위해 필요한 것 같다 생각인 것이다.

            네이버 국어사전, 지식백과 일부 의미를 참고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