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자 결혼 포기 - hangug namja gyeolhon pogi

초록

이 논문은 오늘날 한국의 빈곤층 남성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빈곤 경험과 남성 생계부양자 정체성이 그들의 남성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 했다. ‘삼포세대(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라는 문제는 최근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분석하는 주요한 담론이었다. 하지만 ‘삼포세대’라는 단어는 현상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 경제력과 성별이 연애와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빈곤층 가족에서 태어났고 현재도 빈곤한 상태인 남성들은 ‘연애와 결혼’의 문제에 가장 취약한 이들이다. 이에 그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해 진술하는 바를 분석함으로써 ‘삼포세대’ 문제의 실체에 접근하려고 시도했다. 동시에 그들의 ‘남성성’과 ‘남성위기감’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적 젠더 질서의 긴장과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성적인 빈곤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지출 최소화 전략’과 ‘가족으로부터의 탈출 전략’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포기’는 그들에게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 간주된다. 생존을 위해 무언가를 포기하는 태도는 연애와 결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특히 연애와 결혼이 남성이 주도하는 소비 관행이 됨에 따라 소비력이 부족한 그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원가족을 부양해야한다는 책임감 역시 그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게 된 중요한 원인이다. 결혼에 대한 서사를 분석했을 때, 그들이 결혼을 포기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요소는 두 가지다. 먼저 경제력이 부족한 남성이 결혼 시장에서 배제될 것이라는 강한 예감이다. 이러한 예감은 그들이 실제 생활에서 체험한 거부의 경험을 통해 확신이 된다. 두 번째는 자신이 생계부양력을 갖추지 못한 채 결혼을 하게 될 경우, 빈곤이 아내와 자녀에게 전이될 것이라는 두려움이다. 일부 참여자들은 그러한 두려움을 현실화하기 보다는, 그저 혼자서 잘 사는 것이 도덕적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연애와 결혼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는 사회적 압력이 존재한다.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연애를 해본 적 없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회피하기 위해 가짜 연애 경험을 꾸며낸다. 또는 그러한 압력을 ‘폭력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무시하거나 저항하기도 한다. 남성 중심의 저임금 일자리에서 그러한 압력은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마초적인 남성 동료들은 연애를 해본 적 없는 남자의 성적 지향과 능력에 의문을 품고, 그를 남성 연대에서 배제하기도 한다. 일련의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연애나 결혼을 하지 않는 남성은 ‘내가 정상적인 남성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자극받는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미성숙한 남성, 불쌍한 남성으로 취급받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노동 시장에서의 불안정한 입지는 자신이 도태되고 있다는 위기감을 자극한다. 특히 경제적 자원의 결핍은 거의 연애와 결혼 가능성을 위축시킴으로써 자신이 친밀성의 영역에서도 도태되고 있다는 위기감을 자극한다.
노동 시장에서 자신들과 경쟁하는 여성들의 등장은 그러한 위기감과 박탈감을 더욱 자극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비교적 취업하기가 용이하고 안전한 저임금 사무직이 젊은 여성들에게 독점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위험하고 노동 강도가 높으며 임금이 낮은 직군에 종사하는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일부 참여자들은 한국 사회 일반에서 빈곤층 청년 남성들이 무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특히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 제도의 확충과 맞물려 더욱 고조되는 양상을 보인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Korean men of poor class today give up their dat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It strive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overty experiences and their breadwinner identity on their masculinity. This problem named as ‘Sampo generation (abandonment of love, marriage, and childbirth)’ was a major discourse to analyze the recent declining birthrate of Korean society. However, the phrase ‘Sampo generation’ did not incorporate the phenomenon entirely. It did not take into account of the influences of economic power and gender on people’s dat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Those men who were born as members of poor families and are still victims of poverty, are the most vulnerable subjects to the problem of 'love and marriage'. Hereby, this paper tried to access the core substances of the problem of 'Sampo generation' by analyzing what these men have to say about ‘love and marriage’. At the same time, it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ension and change of traditional gender hierarchy by analyzing their 'masculinity' and 'male's sense of cri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ticipants were implementing 'expenditure minimization strategy' and 'escape from family strategy' to survive from their chronic poverty. In this process, 'abandonment' is considered as a way of their life. The attitude to abandon something for survival also applies to love and marriage. Especially because of the male-led consuming practices in terms of dating and marriage, these men who lack the spending power appear to abandon love and marriage.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family of origin is also an important cause factor for their abandonment of love and marriage. While analyzing the matter of marriage, there appeared to be two most important cause elements for their abandonment of marriage. First of all, it’s the strong feeling that men who lack economic power are excluded from the marriage market. Such presentiments are confirmed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refusal in their real life. Secondly, it’s the fear that poverty will be passed down to their wives and children if they get married without having a sufficient living budget. Some participants even declared that it is moral to live alone, rather than having such fear become real.
Social pressures exist for the fact of not dating or getting married. Several research participants fabricate false dating experiences to avoid such social pressure on 'people who have never been on a date' Some others define such pressure as 'violence' and respond with ignorance and resistance. With male-focused low-wage employment, such pressure displays a unique aspect. The rather virile male fellow employees tend to doubt the sexual orientation and ability of a men who has never dated before, and even exclude him from his male solidarity. Due to a series of social pressure, men who are not in a relationship or in marriage are stimulated with the sense of crisis—'I may not be an ordinary man'
The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reated by other men as immature and pitiful. In the same context, an un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stimulates the feeling of crises that they are being culled. Especially the lack of economic resources stimulates the sense of crisis in their intimacy domains by shrinking the possibility of love and marriage. The emergence of women who compete with themselves in the labor market further stimulates such sense of crisis and deprivation. Research participants believe that young women are monopolizing on safe, low-wage and easy-to-find office jobs. Research participants who engage in low wage jobs that are more dangerous and require higher labor intensity are experiencing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Some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se young men of poor class in Korean society in general are subject to indifference. This situation, coupled with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women in particular, are showing aspects of increasing aggravation.

목차
  • Ⅰ. 문제제기 1
  •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논의 5
  • 1. 경제적 자원과 한국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선행연구 5
  • 1) 경제적 자원과 연애 5
  • 2) 경제적 자원과 결혼 8
  • 2. 이론적 논의 10
  • 1)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 10
  • 2) 남성위기론과 여성혐오 14
  • Ⅲ. 연구 참여자 및 연구 방법 19
  • 1. 연구 참여자 19
  • 2. 연구방법 21
  • Ⅳ. 빈곤층 남성의 연애와 결혼 24
  • 1. 누적된 빈곤 경험 24
  • 1) “실패한 우리 아버지”와 빈곤의 시작 24
  • 2) 성장기 빈곤 경험과 생존 전략 28
  • 2. 빈곤층 남성의 연애 36
  • 1) 연애, 시작과 지속의 어려움 36
  • 2) 스펙으로서의 연애 43
  • 3) 연애 포기와 연애의 대체재 48
  • 3. 빈곤층 남성의 결혼관과 가족관 54
  • 1) 생계부양 책임감과 비혼 결정 55
  • 2) 누적된 배제와 좌절의 경험 61
  • 3) 비혼의 양가성, 낙관론과 비관론 68
  • 4. “도태된 남자”의 박탈감과 위기감 76
  • 1) “도태된 남자”의 박탈감 76
  • 2) ‘약한 남성’의 위기감 83
  • Ⅴ. 결론 및 한계 87
  • 1. 분석 결과 요약 87
  • 2. 연구 의의와 한계 91
  • 참고문헌 92

참고문헌

조회 가능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해당 참고문헌을 고객센터를 통해 등록해주시면
빠른 시간안에 노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