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팔굽혀펴기 자세 - gyeongchal palgubhyeopyeogi jase

공무원저널은 체력시험에 자신감이 부족한 수험생들을 위해 체력시험 종목마다의 팁을 정리해봤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팔굽혀펴기의 기록 향상법에 대해 살펴보자.

팔굽혀펴기는 맨몸 운동 가운데 가장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흉근(가슴), 삼두근, 전면삼각근(어깨)의 세 가지 부위에 주로 자극이 간다. 그래서 보통 상체 운동으로 분류되지만 사실은 전신운동에 가깝다.

팔굽혀펴기의 바른 자세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일직선이 된 상태로 몸이 내려갔다 올라오는 것인데 이 때 복부와 다리도 같이 힘을 쓰게 된다. 때문에 몸을 곧게 유지한 채로 팔굽혀펴기를 하기 위해서는 복부에 의식적으로 많은 힘을 줘야만 한다.

기초적인 자세로는 손을 어깨 넓이보다 약간 더 벌리고 팔꿈치가 90도 가량 굽혀지도록 몸을 내린 후 그대로 다시 몸을 밀어 올린다. 몸이 내려갈 때 숨을 쉬고 팔을 밀어내 몸을 올릴 때 숨을 내뱉는 것이 중요하다.

팔굽혀펴기를 하다가 힘이 부치는 경우에는 하체가 무너지게 된다. 이때는 복부에 의식적으로 힘을 집중해서 자세를 다시 일자형으로 만들어야 한다. 의식을 집중해서 자세를 정상화시키는 버릇을 들이면 조금 더 많은 횟수의 운동이 가능하다.

팔굽혀펴기는 전신운동이기 때문에 뛰어난 체력을 요구한다. 때문에 유산소운동(달리기, 수영 등)을 통해 기초체력을 단단히 해야 한다. 또한 운동 후에 스트레칭을 취하고 충분한 운동 이후에는 하루 정도의 휴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

경찰 팔굽혀펴기 자세 - gyeongchal palgubhyeopyeogi jase

여성 경찰 채용 응시자가 무릎대고 팔굽혀펴기 체력 테스트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내년 7월1일부터 경찰관 채용시험에서 그동안 여성 응시생에게만 해당됐던 ‘무릎대고 팔굽혀펴기’가 사라지고 남성과 동일한 ‘정자세’로 바뀐 배경에 대해 한진이 경찰청 인재정책계장이 설명했다.

그동안 경찰관 채용시험에서 여성 응시자는 ‘무릎을 대고 무릎 이하는 바닥과 45도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팔굽혀펴기를 했다.

하지만 내년 7월부터는 남성과 여성 응시자 모두 ‘양손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발을 모은 상태에서 팔은 직각, 몸은 수평이 되도록 유지하는 자세’, 즉 ‘정자세’로 팔굽혀펴기를 해야 한다.

한 계장은 지난 12일 연합뉴스TV와의 인터뷰에서 “여성 응시생의 팔굽혀펴기 측정 자세는 오랫동안 논란의 주제가 되어 왔던 부분”이라고 입을 열었다.

남녀 형평성 논란이 있어왔다는 그는 “현장 대응력 논란에 대한 주제로도 많이 등장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들을 불식시키기 위해서 개정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 계장은 이어 “장기적으로는 남녀 통합 선발과 함께 남녀 동일 기준을 적용한 순환식 체력검사로 단계적으로 개편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순환식 체력검사는 현장 대응력과 연관성도 높인 체력 검사 방식으로 앞으로 좀더 합리적이고 공정한 체력시험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채용시험 개정안 도입에 따른 여성 응시자 감소 우려에 대해서는 “일부 그런 시각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팔굽혀펴기 자세 변경 같은 경우는 오랫동안 논란이 돼 왔고 지난해 말 이미 개정 방침이 정해져서 수차례 공지가 된 상태”라며 “자세 변경과 함께 여성의 특정 기준 또한 합리적으로 됐다”고 설명했다.

팔굽혀펴기 자세 변경과 체력시험 측정 기준 상향은 내년도 7월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순환식 검사는 단계적으로 도입돼 내년 1월부터 경찰행정학과 경채, 간부 후보생 선발 시험, 경찰대학 신입생 선발 시험 세 가지 분야에서 우선 시행된다. 전면 시행 예정일은 2026년이다.

앞서 경찰 심의·의결 기구인 국가경찰위원회(경찰위)는지난달 21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 규칙은 행정예규여서 별도 심사·공포 절차 없이 경찰청장 결재와 함께 개정 내용이 확정된다.

다만 수험생 혼란을 우려해 2023년 7월 1일까지 유예기간을 뒀다.

경찰은 다만 성별 근력 차이를 감안해 여성의 점수 기준을 남성의 50% 수준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