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계급 및 병과소개

장교의 초임계급은 소위이며, 부사관의 초임계급은 하사입니다.

육군은 기본병과, 행정병과, 특수병과로 해군은 기술·행정계열, 항공계열, 기타계열로 공군은 전투병과, 기술전문 병과, 특수병과로 군 특성에 따라 세부 병과를 나눕니다.

인쇄체크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여군계급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여군 장교 계급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 다만, 중위 이상의 계급으로 전역한 날부터 3년을 넘지 않은 사람 중에서 전형으로 선발된 사람은 전역 당시의 계급으로 임관됩니다(「군인사법」 제12조제1항 단서 및 제11조제1항7호의2).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다음에 해당하는 사람의 초임계급은 중위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군인사법」 제12조제2항 및 제11조제1항제8호).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사법연수원 과정을 마치거나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후 법무과의 장교로 임용되는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의사·치과의사·한의사·수의사 또는 약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의무장교로 임용되는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학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목사, 신부, 승려, 그 밖에 이와 동등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군종장교로 임용되는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총 교육기간이 5년 이상인 사람

√ 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또는 국군간호사관학교를 졸업한 사람으로서 그 재학기간 중에 외국 장교양성학교에서 위탁교육을 받은 사람

√ 외국 장교양성학교의 모든 과정을 마친 사람으로서 그 재학기간 중에 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또는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위탁교육을 받은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무원으로 임용된 사람으로 「군인사법 시행령」 제12조에 따른 각군별 기본병과(공무원 중 기술직군 공무원으로 임용된 사람의 경우에는 군사경찰과, 재정과, 정훈과 및 인사행정과를 제외)에 임용된 사람

√ 국가기관에서 주관하는 5급 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에 합격하고 시보임용을 거친 후 공무원으로 임용된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그 밖에 전문 분야나 기술 분야에 종사한 사람으로서 해당 전공 분야와 직접 관련이 있는 병과의 장교로 임용되는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그 밖에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장교로서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여군 부사관 계급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 다만 예비역 대위인 사람이 부사관에 임용되는 경우에는 중사로 임용 될 수 있습니다(「군인사법 시행규칙」 제15조제1항 단서).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중사 이상의 계급으로 전역한 날부터 3년을 넘지 않은 예비역 부사관으로 참모총장이 정하는 전형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선발된 사람의 초임계급은 전역 당시의 계급으로 합니다(「군인사법 시행규칙」 제15조제2항 및 제14조제4항제1호).

인쇄체크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육군 병과소개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육군병과

구  분

내  용

기본병과

보병과(步兵科), 기갑과(機甲科), 포병과(砲兵科), 방공과(防空科), 정보과, 공병과(工兵科), 정보통신과, 항공과, 화생방과, 병기과(兵器科), 병참과(兵站科), 수송과, 인사과, 군사경찰과, 재정과, 공보정훈과(公報正訓科), 군수과

특수병과

의무과[(醫務科): 군의과, 치의과, 수의과(獸醫科), 의정과(醫政科) 및 간호과], 법무과, 군종과(軍宗科)

인쇄체크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해군 병과소개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해군병과

구  분

내  용

기본병과

함정과(艦艇科), 항공과, 정보과, 정보통신과, 병기과, 보급과, 공병과, 조함과(造艦科), 재정과, 공보정훈과, 군사경찰과

※ 해병대는 보병과, 포병과, 기갑과, 항공과, 정보과, 공병과, 정보통신과, 군수과, 재정과, 공보정훈과, 군사경찰과

특수병과

 의무과, 법무과, 군종과

인쇄체크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공군 병과소개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군대 병과 종류 - gundae byeong-gwa jonglyu
공군병과

구  분

내  용

기본병과

 조종과(操縱科), 항공통제과, 방공포병과, 정보과, 군수과, 정보통신과, 기상과, 공병과, 재정과, 공보정훈과, 군사경찰과 및 인사교육과

특수병과

 의무과, 법무과, 군종과

    대학생에게 전공이 있다면 군인에게는 '병과'가 있다. 흔히 군인이라고 하면 전투병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군대라는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과 군의 수요에 따라 군인들은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일반인들에게 육·해·공이라는 군종()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반면 육군의 병과 개념은 생소한 것이 사실이다. 군대에 간 아들이나 남자친구와의 통화에서 한 번 쯤은 들어보았을 '병과' 또는 '군사특기'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

 

(출처 : 육군훈련소 홈페이지)

병과란 군대에서 각 군인이 수행하는 주요 임무를 분류한 것이다. 위의 그림은 각 병과의 마크로서 주요임무나 그에 필요한 장비를 이용해 병과의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병 마크는 봉화, 비둘기 날개, 전파, 통신탑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의 역사를 모두 담아내고 있으며, 군의병 마크의 경우 고대 희랍신의 사자 Hermes가 가지고 다니던 지팡이로 의술을 표현했다. 군대 조직이 복잡해지고 전략과 전술이 발달함에 따라, 군의 구성원이 맡은 바 전문분야에서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전력에 기여하고자 병과를 운용하고 있다. 각 병과의 임무와 기능은 아래와 같다. 

 병과

기능 및 임무

보병

 지상전투시 공격 및 방어, 육군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근무

기갑 

 전차와 장갑차, 포를 이용한 화력/기동/충격 행동으로 적 격멸

포병 

 대포, 로켓, 유도탄 등으로 적의 전투력을 파괴, 제압

방공

 적의 공중 공격 및 공중 관측을 무력화

정보

 작전 부대에 적에 관한 정보 및 첩보를 수집, 제공

공병

 전투와 관련된 축성 / 건설, 지뢰지대 설치/매설, 폭파  

정보통신 

 부대 및 개인 간 첩보, 지시사항을 유ㆍ무선 통신장비로 전달 

항공

 헬기로 병력과 장비 수송, 항공기기 및 부속품 검사, 교환
항공기기 및 부속품 검사, 교환 및 수리,관제업무

화학

 화생방 대 테러작전, 교육 및 훈련 지원, ˙화생방 물자 관리

병기

 화포/기동 장비 관리 및 정비 탄약/특수 무기 관리 야전 정비 지원 제공

병참 

 전투에 필요한 물자, 축성자재, 약품, 수송 유류 저장, 보급, 정비

수송 

 인원/장비/물자 수송 지원, 전투/전투 지원 부대에 대한 수송 지원

부관 

 육군의 인사/ 행정 담당, 군사 우체국 운영, 각종 행사 지원

헌병 

 군기/군법, 질서 유지, 낙오자 통제 호송, 경호, 교통 초소 관리

경리 

 부대의 재정과 회계 기능을 담당, 예산ㆍ회계ㆍ경리 지원 업무 

정훈 

 전투력 배양 정훈 교육, 각종 간행물 보급 및 보도활동, 문화활동

의무

 장병 건강 증진, 환자치료, 재활 병원 및 야전 의무부대 조직

법무 

 범죄예방/군법교육, 검찰업무, 징계업무, 군사관계법령의 연구

군종 

 군 장병의 종교의식 및 신앙/인격 지도로 군인정신 함양

보병, 기갑, 수송, 헌병 등은 익히 들어보았지만 경리, 군종, 부관 등의 병과는 다소 생소한 개념일 수 있다. 이처럼 군 조직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하게 세분화 되어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위의 병과 소개를 참고하여 가족이나 친구가 군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건 어떨까?

 한편 군 복무 중인 지인과의 대화에서 '주특기'나 '군사특기번호'라는 개념을 접한 적이 있을 것이다. 병과의 하위개념인 군사특기는 군에서 수행하는 임무의 종류를 구분하여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육군 병으로 입영한 사람은 누구나 부여받게 된다. 군사특기는 하나만 부여하며, 부여된 특기는 가급적 변경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군사특기는 여섯 단계에 걸쳐 부여된다.

 

군사특기는 수요와 공급원칙에 따라 분류된다고 한다. 육군은 매년 필요한 군사특기를 월별로 산출해 병무청에 보내고 병무청은 이에 따라 해당자원을 입영시킨다. 예를 들어 5월에 화학병이 많이 필요하다고 육군이 요청하면 병무청은 화학과 출신을 그 시기에 맞추어 입대시키는 방식이다. 군사특기는 입대 초 훈련소에서 부여받아 전역할 때까지 수행하는 업무이고, 어떤 보직을 받을 것인지가 군사특기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군인들에게 큰 관심사이다.

(글, 사진 참고 : 육군훈련소 홈페이지)

지금 이 순간에도 대한민국 군인들은 각자 부여받은 군사특기를 책임감있게 수행하며 나라를 지키고 있다. 국가의 안보를 위해 짜임새 있게 구성된 군 조직의 모습을 확인했다면, 지금 군 복무 중인 지인의 군사특기에 대해 알아보고 편지를 통해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보는 건 어떨까?

<국방홍보원 블로그 어울림 기자단 : 김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