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학과 종류 - daehag-won haggwa jonglyu

개인정보처리방침 KUPID

서울캠퍼스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입학> TEL : 02-3290-1356E-mail: <학사> TEL : 02-3290-5146E-mail :
세종캠퍼스 [30019]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 2511 <대학원연구교육팀> Tel: 044-860-1749E-mail:

Copyright (C)2022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문과대학

  • 국어국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사학과
  • 철학과
  • 문헌정보학과
  • 심리학과

상경대학

  • 경제학과
  •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경영대학

  • 경영학과

이과대학

  • 수학계산학부(수학)
  • 수학계산학부(계산과학공학)
  • 물리학과
  • 화학과
  • 지구천문대기학부(지구시스템과학)
  • 지구천문대기학부(천문우주학)
  • 지구천문대기학부(대기과학)

공과대학

  • 화공생명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건축공학과
  • 건설환경공학과
  • 기계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산업공학과
  • 도시공학과

생명시스템대학

  • 생명과학부(시스템생물학)
  • 생명과학부(생화학)
  • 생명과학부(생명공학)
  •   

인공지능융합대학

  • 컴퓨터과학과
  • 인공지능학과

신과대학

  • 신학과

사회과학대학

  • 정치학과
  • 행정학과
  • 사회학과
  • 문화인류학과
  • 언론홍보영상학과

(구)법과대학

  • 법학과

음악대학

  • 음악학과

생활과학대학

  • 의류환경학과
  • 식품영양학과
  • 실내건축학과
  • 아동.가족학과
  • 생활디자인학과
  •  

교육과학대학

  • 교육학과
  • 체육학과
  • 스포츠응용산업학과
  •  

의과대학

  • 의학과
  • 의과학과
  • 보건학과
  • 융합의학과
  • 의료기기산업학과
  •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치과대학

  • 치의학과
  • 응용생명과학과

간호대학

  • 간호학과

일반대학원

연혁

우리나라 일반대학원은 1949년 12월 ‘교육법’과 1952년의 ‘교육법 시행령’을 통해서 학위종류, 수학연한 등 제도적 기틀이 마련되었으며, 1997년에 제정·공포된 「고등교육법」과 1998년의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다.


일반대학원 설치

일반대학원은 1개 대학교에 1개만 설치할 수 있다.

(2020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172개 일반대학원(분교제외)이 있으며, 약 2,300여개 전공학과에서 매년 박사과정(석박사 통합과정은 박사과정 정원에 포함된다) 23,000여명, 석사과정 41,000여명의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학문연구 및 고급연구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으로 다양한 종류와 명칭을 가진 여러 대학원 가운데 가장 핵심이 되는 대학원이다. 통상적으로 대학에서 수식어 없이 대학원하면 일반대학원을 지칭하며, 대학원장하면 일반대학원장을 의미한다.

대학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대학원에 있다. 세계 명문대일수록 학부도 학부지만 대학원의 학문적 성과가 대학평가에 대단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수업운영

주간에 수업이 이루어지고,
원서 강독과 실험실습, 전공관련 주제토론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대학원 재학생은 전일제학생과 시간제학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업이나 강의시간이 다른 것이 아니고 모두 함께 강의를 듣는다. 이 둘의 차이는 주로 학교에 상주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대학원생을 구분하는 일반화된 용어에 불과하다.

전일제 학생(full-time)은 대학원이 곧 직장인 학생으로 조교, 연구실 및 실험실에 근무하면서 연구 및 수업보조, 논문작성, 프로젝트 등을 교수와 함께 수행한다. 이에 따라 대학원(또는 지도교수)에서 장학금이나 연구비, 생활비 등을 지원 받는다.

시간제 학생(part-time)은 대부분 직장에 재직 중이거나, 개인적인 사유로 수업만 듣는 학생으로 장학금이나 지도교수와 함께 연구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수업연한

  • 석사과정 : 2년 이상
  • 박사과정 : 2년 이상
  • 석박사 통합과정 : 4년 이상
  • 수업연한 단축 : 대학원 학칙이 정하는 학점 이상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수업연한을 단축할 수 있다.

(2017년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석사과정 1년 이내, 박사과정 6개월 이내, 석박사통합과정 1년 6개월 이내에서 수업연한을 단축할 수 있다)


일반대학원 학위과정

  • 석사과정

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소정의 석사학위과정을 이수하고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한 자로서
대학원 학칙에 규정된 졸업요건을 충족한 사람은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다.

(2017년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은 각 대학원 학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졸업요건을 정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석사과정의 경우 학위논문제출이 필수조건이 아니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졸업요건을 정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하였다.)


  • 박사과정

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소정의 박사학위과정을 이수하고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한 자로서
논문자격시험과 학위논문을 제출하여 논문심사에 합격한 사람은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다.


  • 석박사 통합과정

석박사 통합과정이란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연계시켜 학위취득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여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빨리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석사과정을 마친 학생이 석사학위논문이나 박사과정 입학시험 없이 바로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연구와 학문을 계속함으로써 소정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석박사 통합과정을 중도에 퇴학하는 자로서 석사학위의 수여기준을 충족한 자에 대하여는 석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 학과간 협동과정

학과간 협동과정은 2개 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이 공동으로 설치·운영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공학 및 이학, 의학, 경영계열 등의 관련학과들이 협동으로 운영하여 여러 학과의 경계 영역학문을 연구 개발하는 형태의 과정으로 건설교통공학 협동과정, 기술경영학 협동과정, 멀티미디어학 협동과정, 나노메디칼 협동과정 등 특색있는 전공들이 개설된다.
학과간 협동과정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석사학위와 박사학위과정을 둘 수 있다.


  • 학연산 협동과정

학·연·산 협동과정은 해당 대학원과 국내의 연구기관 또는 산업체와의 계약에 의하여 설치·운영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국립환경연구원, 국립보건원, 사기업의 연구소 등이 협력지도하여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국립환경연구원 학연산협동과정, 한국식품연구원 학연산협동과정 등이 개설된다. 학연산 협동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해당연구기관의 추천을 받아야 하며, 미취업자도 지원이 가능하다.
학연산 협동과정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석사학위와 박사학위과정을 둘 수 있다.


일반대학원 수여학위

일반대학원은 학칙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학술이론 및 학술연구방법 중심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에는
전공영역에 대한 별도명칭 표기가 없는 학술학위(academic degree)를 수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