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엔비디아가 새로운 개발 파이프라인에서 캐릭터의 표정을 애니메이션화 하도록 쉽게 애셋을 공유하고, 애셋 라이브러리를 정렬하며, 협업 및 AI를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엔비디아는 23일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에서 게임 개발자들을 지원하는 새로운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공개했다.

전 세계 아티스트들이 대규모 3D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해 실제와 같은 물리 및 AI 기술을 통합할수록 프로세스가 더욱 까다롭게 변하고 있다.

옴니버스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게임 개발자가 아티스트, 애셋 및 소프트웨어 도구를 하나의 플랫폼에 연결해 게임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옴니버스를 통한 협업은 설계 결정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을 대폭 줄여주어, 프로젝트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

옴니버스 오디오 투 페이스(Audio2Face)는 캐릭터 아티스트가 오디오 파일만으로 고품질의 얼굴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엔비디아 AI 탑재 애플리케이션이다. 오디오 투 페이스는 풀 페이스 애니메이션을 지원하며 아티스트는 감정적인 요소까지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투 페이스를 활용해 게임 개발자는 캐릭터에 현실적 표현을 빠르고 쉽게 추가할 수 있어 게이머와 캐릭터 간의 감정적 유대를 심어주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게임 개발자를 위한 옴니버스 플랫폼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옴니버스 뉴클러스 클라우드(Nucleus Cloud)는 현재 얼리 액세스로 이용 가능하며, 원클릭으로 옴니버스 장면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어 로컬 또는 개인 클라우드에 별도로 뉴클러스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뉴클러스 클라우드를 통해 게임 개발자는 3D 애셋에 대한 실시간 공유와 협업을 사내외 개발팀 간에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옴니버스 딥서치(DeepSearch)는 현재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AI 지원 서비스로, 게임 개발자는 자연어 입력과 이미지를 사용해 태그 없이 3D 애셋, 객체 및 캐릭터의 전체 카탈로그를 즉시 조회할 수 있다.

옴니버스 커넥터(Connector)는 서드파티 디자인 툴과 옴니버스 간의 ‘라이브 동기화(live sync)’ 협업 워크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이다. 새로운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5 옴니버스 커넥터를 통해 게임 아티스트는 게임 엔진과 옴니버스 간에 USD 및 머티리얼(material) 정의 언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엔비디아는 최초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및 인프라 서비스인 엔비디아 옴니버스 클라우드를 출시했다.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는 최초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및 인프라 서비스인 '엔비디아 옴니버스 클라우드(Nvidia Omniverse Cloud)'를 출시했다고 21일(한국시간) GTC 2022에서 발표했다.

옴니버스 클라우드는 아티스트, 개발자, 엔터프라이즈 팀이 어디서나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출시, 운영,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포괄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다.  

개인이나 팀이 로컬 컴퓨팅 파워 없이도 클릭 한 번으로 3D 워크플로를 설계하고 물리 시뮬레이션, 레이 트레이싱, AI 기능과 같은 옴니버스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3D 인터넷인 메타버스는 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로 표현되고 시뮬레이션 엔진을 통해 볼 수 있는 가상 3D 세계를 연결한다"면서 "클라우드의 옴니버스를 사용하면 전 세계의 팀을 연결해 가상 세계와 디지털 트윈을 설계, 구축,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옴니버스 클라우드는 ▲생성, 설계 및 엔지니어링을 위한 RTX 컴퓨터 ▲뉴클러스(Nucleu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가상 세계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OVX 서버 ▲옴니버스의 포털인 지포스 나우(Geforce Now)를 통한 엔비디아의 그래픽 전송 네트워크(NVIDIA Graphics Delivery Network) 등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엔비디아의 2세대 OVX 플랫폼은 HGX H100 AI 플랫폼에 대응하는 메타버스다. AI 계산 대신 OVX는 디지털 트윈과 같은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을 가속화한다.

2세대 OVX는 2023년 초에 출시할 예정이다. 새로운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 세대의 L40 GPU 8개를 사용한다. 옴니버스 플랫폼의 경우 OVX는 그래픽 집약적인 가상 세계 시뮬레이션을 처리하고 HGX는 AI 워크로드를 처리한다.

지멘스, 리막 및 WPP와 같은 회사는 이미 옴니버스 클라우드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지멘스는 제품과 생산 라이프사이클에서 원격으로 조직을 연결하고 실시간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엑셀러레이터(Xcelerator) 비즈니스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

WPP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 자동차 산업을 위한 마케팅 서비스출시 했고, 리막은 옴니버스 클라우드를 사용해 전기자동차 설계에서 마케팅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 자동차 파이프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박찬 위원

[관련기사]AI 돕는 AI, 기업을 위한 솔루션들

[관련기사]디지털 트윈이 기업을 돕는 방법

Copyright ©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인공지능 활용해 게임 캐릭터 표정 애니메이션화

엔비디아가 게임 개발자의 생태계 확장을 지원하는 엔비디아 옴니버스(Omniverse)의 최신 기능을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해당 기능은 개발자가 애셋 공유, 애셋 라이브러리 정렬, 협업 및 하도록 지원한다.

실시간 설계 협업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플랫폼인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통해 게임 개발자는 인공지능(AI) 및 엔비디아 RTX 지원 툴을 사용하거나 커스텀 툴을 쉽게 구축해 개발 워크플로우를 간소화, 가속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게임 개발자를 위한 새로운 기능은 옴니버스 오디오 투 페이스(Audio2Face), 옴니버스 뉴클러스 클라우드(Nucleus Cloud) 및 옴니버스 딥서치(DeepSearch) 업데이트와 함께 언리얼 엔진 5 옴니버스 커넥터(Unreal Engine 5 Omniverse Connector)를 추가한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거대하고 몰입적인 세계에 대한 게이머들의 기대를 뛰어넘기 위해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이 노력함에 따라, 게임 개발 파이프라인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전 세계 아티스트들이 대규모 3D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해 사실적인 조명, 실제와 같은 물리 및 AI 기술을 통합할수록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세스가 더욱 까다롭게 변하고 있다.

옴니버스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게임 개발자가 아티스트, 애셋 및 소프트웨어 도구를 하나의 강력한 플랫폼에 연결해 사실적이고 물리적으로 정확한 게임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옴니버스를 통한 협업은 중요한 설계 결정에 대한 반복 시간을 대폭 줄여, 프로젝트 완료를 가속화할 수 있다.

옴니버스는 3D 디자인 협업과 물리적으로 정확한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멀티 GPU 지원 오픈 플랫폼이다. 노트북에서 서버까지 모든 엔비디아 RTX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며, 복잡한 3D 제작 워크플로우를 변화시킨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옴니버스 오디오 투 페이스는 캐릭터 아티스트가 오디오 파일만으로 고품질의 얼굴 애니메이션을 생성

옴니버스는 픽사의 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이는 콘텐츠 제작 및 가장 인기 있는 주요 게임 개발 도구 간의 전환을 지원하고 쉽게 확장 가능한 오픈 소스 3D 장면 묘사 및 파일 형식이다. 엔비디아는 새로운 툴의 개발, 기술의 통합, 샘플 및 튜토리얼의 제공을 통해 USD를 확대했다.

게임 크리에이터, 디자이너, 아티스트 및 개발자는 애셋,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엔진을 옴니버스에 통합하고, 자유롭게 실시간으로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툴을 구축하고, 놀라운 고성능 모델을 즉시 공유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담당 부사장 프랭크 데라이즈(Frank DeLise)는 "옴니버스는 오늘날 비즈니스 과제에 대응하는 강력한 개발 파이프라인을 제공한다. 예술가, 아트, 툴 및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할 수 있기에 가장 분산된 게임 개발 조직에서도 협업을 촉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옴니버스 플랫폼은 최고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개발자는 플랫폼의 모듈러 구성 요소를 사용해 독자적인 툴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게임 개발자는 기존에 출시된 옴니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서드파티(third party)에 의해 구축되고 있다.

게임 개발자를 위한 옴니버스 플랫폼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 enbidia omnibeoseu peullaespom

옴니버스 오디오 투 페이스는 캐릭터 아티스트가 오디오 파일만으로 고품질의 얼굴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엔비디아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이다. 오디오 투 페이스는 풀 페이스 애니메이션을 지원하며, 아티스트는 감정적인 요소까지 제어할 수 있다.

게임 개발자는 오디오 투 페이스를 활용해 캐릭터에 실감나는 표정을 빠르고 쉽게 추가할 수 있으며, 게이머와 캐릭터 간의 감정적 유대를 촉진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옴니버스 뉴클러스 클라우드는 현재 얼리 액세스로 이용 가능하며, 원클릭으로 옴니버스 장면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어 로컬 또는 개인 클라우드에 별도로 뉴클러스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뉴클러스 클라우드를 통해 게임 개발자는 3D 애셋에 대한 실시간 공유와 협업을 사내외 개발팀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옴니버스 딥서치는 현재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AI 지원 서비스로, 게임 개발자는 자연어 입력과 이미지를 사용해 태그 없이 3D 애셋, 객체 및 캐릭터의 전체 카탈로그를 즉시 조회할 수 있다.

옴니버스 커넥터는 서드파티 디자인 툴과 옴니버스 간의 ‘라이브 동기화(live sync)’ 협업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플러그인이다. 새로운 언리얼 엔진 5 옴니버스 커넥터를 통해 게임 아티스트는 게임 엔진과 옴니버스 간에 USD 및 머티리얼(material) 정의 언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