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버전업 갱신 macOS_Monterey_12.0.1_21A559 OC 0.7.4

EFI_i7-4790_Retina 5K_최종.zip

4.39MB

[ 시스템 정보 ]
◆ CPU : Intel(R) Core(TM) i7-4790 @ 3.60GHz
◆ Memory : 32GB(8x4) DDR3 PC3-12800
◆ Mainboard : Gigabyte GA-H97-Gaming3
◆ VGA : Radeon RX 580 8GB(ASRock Phantom Gaming )
◆ SSD1 : M.2 Tammuz_256GB(macOS Monterey 12.0.1 / macOS Big Sur 11.6.1 )
◆ SSD2 : Crucial_MX200_250GB(Windows 11 21H2 VHD & Windows 10 LTSC 2019 VHD Differencing)
◆ SSD3 : Crucial_MX200_500GB(Virtual Machines)
◆ HDD1 : Segate 2TB_New
◆ HDD2 : Segate 2TB_Old
◆ Monitor : AOC_2777, AOC_2779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버전업 갱신 macOS_BigSur_11.6.1_20G224 OC 0.7.4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Hackintool > config.plist > DeviceProperties > Add 적용후 재부팅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https://youtu.be/zCDURvRa5FQ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안녕하세요 Mac OS Monterey Bata를 설치한 인플이라고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도전하시는 분도 있고 가을에 있는 정식 업데이트를 기다리시는 분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물론 정식 업데이트가 아닌 베타 소프트웨어니까 버그가 있습니다.

그전에 일단 새로운 업데이트 기능을 말씀 드리자면

-FaceTime 기능 개편

-집중모드 추가

-다중 장치 지원 (베타1에서 추가 안됨)

-단축어 기능 추가 

-지도 기능 개편 

-iCloud +로 업데이트

-메모 맨션 기능 추가

-저전력모드 추가 (맥북기준)

-에어팟 오디오 업데이트

-Airplay 지원

[링크 사용은 로그인 시 가능 합니다.]

애플의 업데이트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애플 공식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리얼맥 및 해킨에서 버그 사항의 이야기

-잠자기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깨었다가 잠드는 경우 발생함)

-늘어난 맥부팅 시간 (30~1분 사용하는 기기마다 다름- 참고로 저는 20초컷입니다.)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BCM94360CS2 기준 문제없이 작동함)

-애플 아이디 설정 업데이트 (이건 저만 그런지 몰라도 모든 ios 및 맥os를 올린후 설정완료후에도 계속 같은 현상이 뜹니다.)

-F11 (데스크탑 보기 비활성화됨)

해킨토시에서 Monterey 업데이트 하는법

1.Lilu 및 Applealc 켁스트 업데이트 (외장 오디오가 안되는 경우 발생)

2.맥 프로파일 다운 받는것보다 gibmacOS 이용하기

([링크 사용은 로그인 시 가능 합니다.])

3.gibMacOS.command 터미널 실행  - C. Change Catalog (Currently publicrelease) - (4). developer  -  (1). macOS 12 Beta 12.0 (21A5248p) 선택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4.다운완료후 파일에 macOS Downloads - developer - 071-51840 - 12.0 macOS 12 Beta  - InstallAssistant.pkg 설치

5.응용프로그램 - Install macOS 12 Beta 실행 - 설치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이 방식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제가 성공한 방식은 이렇습니다.

 이제  이야기 마치겠습니다. (추가 버그 사항이나 여러분들이 맥os12를 더 간단하게 설치하신 방법이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즐거운 주말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세희입니다.

자, 오늘은 오랜만에 해킨토시를 해봤어요!

제가 리얼맥을 쓰기 시작한지가... 상당히 오래된지라

해킨은 사용하지 않은지가 오래됐는데,

수능 일주일 전이라, 강제로 집에 박히게 되고...

나갈일이 없다보니... 맥북은 자연스럽게 손이 안가게

되고...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연말쯤에 데스크탑 맥 구매계획도 있어서

존버용으로 해킨토시 데스크탑을 한대 만들기로

했습니다.

당연히 작업용으로 쓰기 위해서 제 메인 윈도우

데스크탑인 X58 컴퓨터에 설치를 했으며,

최신 프로그램과의 호환을 위해 목표는

macOS 12 몬터레이로 잡고 시작했습니다.

*주의

이 포스팅은 철저히 '제 컴퓨터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킨토시는 상당히 케바케가 심한 작업이라 제 포스팅은 단순 참고용으로 하고,

시도하실 분은 밑에 있는 Dortania OpenCore Guide를 참고해서 시도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CPU : Intel Xeon X5650 6C 12T Westmere-EP

@ 4.2Ghz OC(BCLK 210, 20x multiplier)

RAM : DDR3 20GB @ 1680Mhz OC (4GB*5, Triple Channel)

GPU : AMD Radeon RX 480 4GB

M/B : ASRock X58 Extreme 6

SSD : SAMSUNG MZYTY256HDHP-000L2 256GB (macOS)

Samsung SSD 750 EVO 120GB (Windows)

HDD : SAMSUNG HD322HJ 320GB

딱히 사양은 그리 나쁜 편도 아니고, 그래픽카드도 RX480이라 딱히 그렇게 설치하기 어려운 사양도 아닙니다.

단지 문제점이라면... X58은 UEFI가 대중화되기 전이라

Legacy Bios로 설치해야 합니다.

사실상 레거시가 거의 없어진 지금에는, 해킨을 레거시로 설치하는 사람이 보기 드물 정도지요...

물론 레거시 설치방법을 아직 찾으시는 분들이 있어서

완전히 없어진 건 아니지만, 아마 설치시 애로사항이 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준비물

오픈코어, 본인 사양, OS, 각종 파일들

잠깐 옛날 이야기를 하자면.... 제가 해킨할 시절에는

오픈코어를 쓰질 않았습니다.

최근에야 그래도 클로버를 쓰긴 했지만, 처음에 해킨할때는 무려 클로버와 Unibeast, 카멜레온...을

혼용해서 쓰던 시절이였지요.

그런데 오픈코어라는게 등장하게 되면서, 이 해킨토시의 방법 자체가 정말 많이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오픈코어 처음보고 진짜 혁명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도 클로버라면 '해킨토시'라는 느낌이 있었지만, 오픈코어는 해킨토시라는 느낌 자체가

거의 사라졌다고나 할까요?

초기설치 다하고 나면 진짜 리얼맥 같더라구요...

일단, 그래서 먼저 OpenCore 부트로더를 설정해

줘야 하는데, 오픈코어가 유일하게 단점이라면,

설치하면 끝인 클로버와 다르게

처음부터 자기 사양에 맞추어서 드라이버와 설정 파일을 적용한 다음에 부팅을 해야합니다.

커스텀이 잘 되는 대신 초기 설정이 조금 힘들다는

단점이 있지요.

하지만, 이렇게 한번 잘 해놓으면 문제 고치기도 정말

쉽습니다.

https://dortania.github.io/OpenCore-Install-Guide/

가이드는 여기 정말 잘 되어있는 가이드가 있으니

이걸 참고하시면 되는데... 제가 이렇게 링크를 따로

걸어드리는 이유는 제가 이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것과는 별개로 별별 변수가 다 발생할 수 있으니....

따라하실 분들은 저 포스트를 보시고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글은 참고 정도로만.

일단은 저는 오픈코어 가이드에서

맥 기준/레거시 기준/OpenCore 0.7.5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초반에 윈도우로 작업한 부분도 들어가 있으나,

방법은 macOS 방법의 메커니즘을 따랐습니다)

초반 준비물

macOS-모음(원하는 버전 다운)

https://kimsungjin.tistory.com/184

일단 아까 받아준 OpenCore 먼저 세팅을 해줄

것입니다.

OpenCore 0.7.5의 압축파일을 풀면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이런식으로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여기서 x64>EFI>OC>Drivers로 들어가면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이렇게 초반 부트로더 구동에 필요한 드라이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한 것만 빼고 전부 지워줄 건데...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대충 이정도만 남기고 지워줬습니다.

OpenHFSPlus와 OpenRuntime은 필수파일,

OpenUsbKbDxe는 레거시 전용 파일이라 저렇게 넣어줬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다음은 Kext와 SSDT를 적용해 줄 건데,

이 두가지의 경우에는 macOS를 부팅 시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부팅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먼저 제가 받은 것들이 필수 파일인데,

VirutalSMC, Lilu, WhateverGreen, AppleALC

정도는 오픈코어 홈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그 외에도 구형 PC의 AHCI를 위해 AHCIPortinjector도 넣어 줬습니다.

압축을 풀고 Kext를 하나씩 넣어줍니다.

SMCProcessor와 SMCSuperIO는 VirutalSMC의

플러그인으로,

CPU의 온도나, 팬 속도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드라이버입니다.

그 다음에는 SSDT를 넣어줘야합니다.

SSDT가 뭐냐고요?

간단하게 말해서 하드웨어 기록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드웨어의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지요.

macOS에서 각종 하드웨어를 컨트롤 하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이 녀석도 본인 하드웨어에 맞춰서

넣어줘야 하는데요,

직접 만들어 주는 방법이 있지만... 너무 복잡한 관계로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을 넣도록 하겠습니다.

제 하드웨어에 맞는 것은 SSDT-EC-Desktop으로,

OC>ACPI 폴더에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또한 OpenCore Guide에 관련 표가 나와 있으니

다운로드 하실 분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여기부터는 이제 저희가 했던 작업물들을 설정파일에 올려주어야 하는데요,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아까 받았던 OpenCore>Docs 폴더에 들어가면 Sample.plist가 있는데,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OC 폴더에 붙여넣고 Config.plist로 바꿔줍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이제 이걸 수정 해 주기위해 아까 받았던 ProperTree를 열어줍니다.

맥에서 작업하시는 분들은 .Command 파일을, 윈도에서 작업하시는 분들은 bat 파일을 열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열면 이런 모습인데, File>Open으로 들어가서

Config.plist를 열어줍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러면 이렇게 쭉~~ 설정목록이 나오는데,

먼저 File>OC SnapShot을 눌러서, OC폴더를

지정해줍니다.

그러면 이제 저희가 넣었던 드라이버들이 다 적용이

됩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리고 이제 몇가지 설정들을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먼저 Booter>Quirks에서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을 바꿔줬습니다.

다른건 제외하고 RebuildAppleMemoryMap, SetupVirtualMap을 유심히 봐주셔야 하는데,

초기에 이거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이

한두분이 아닙니다.

OpenCore Guide는 전자는 True, 후자는 False로

설정하라고 하는데,

이게 컴퓨터따라서 둘다 True로 하거나 후자를 True로 해야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상황따라 잘 조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리고 Kernel/Quirks도 이렇게 바꿔줍니다.

여기서도 보셔야 하는 것이 AppleCpuPmCfgLock인데요, 이것은 바이오스의 'Cfg Lock'이라는 기능과 관련이 있는데, 보통 바이오스에서는 이걸 조절하는 기능이 없는 경우가 꽤나 있더라고요.

그래서 그게 없는 경우에는 이걸 켜 주셔야 합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 외에 잡다한 것... Debug와 Security도 저렇게 설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다음엔, 부팅 옵션인데...

저는 딱히 저 상태로 건들어주진 않았습니다.

나중에 오류가 나면 조금씩 건들여 주는걸로 하고...

이제 SMBIOS를 입력 해줘야합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GenSMBIOS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했는데요,

이녀석 역시 맥과 윈도우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SMBIOS가 뭐냐?

쉽게 말해서 맥의 정보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윈도우 컴퓨터는 맥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macOS한테 이거 맥이야! 라고 속여줘야

하는데, 그때 사용되는 모델명, 시리얼번호, 보드 시리얼이 SMBIOS입니다.

일단 저기서 3번, SMBIOS 생성을 눌러줍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러면 이렇게 뜨는데...

이제 여기서 사용할 맥의 번호... 그러니까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시스템 리포트에 가면 뜨는 모델 식별자를 써 주시면

되는데...

이것도 아무거나 막 하는게 아니라 최대한 본인의 하드웨어와 리얼맥의 하드웨어를 일치시켜서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한가지 들어볼까요?

본인이 9세대 인텔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똑같이 9세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2019년식 맥들을 사용하는게 좋겠죠.

하지만, CPU정도는 엄청나게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 아무거나 집어넣어도 별 문제 없이

되긴 합니다.

진짜 신경써야 할 부분은 그래픽카드인데요,

일단... 현재 해킨토시에서 인식되는 그래픽카드는

라데온 그래픽카드밖에

없으니 라데온을 예로 들겠습니다.

만약에 본인이 RX570을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폴라리스 아키텍처죠?

그럼 그에 맞추어 2017년 아이맥이나 2019년 맥프로를 SMBIOS로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나비 아키텍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요.

물론 이게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건 아니라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닌데

그래도 본인 하드웨어와 가장 비슷하게 하는게 오류를 단 하나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일단, 저의 경우에는 CPU가 리얼맥에 사용된 적 있는

웨스트미어 제온이라 단순하게 맥프로 5,1로 설정하면 됩니다만... 맥프로 5,1은 macOS Monterey를

정식지원하지 않으므로, 최소 맥프로 6,1 이상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맥프로 7,1... 그러니까 치즈그라인더 맥프로라고

불리는 맥프로 2019 신형으로 해도 되지 않을까?

하고요.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ㅋㅋㅋㅋㅋㅋㅋ 1초 고민하다가 바로 신형 맥프로의 정보를 받아왔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바로 PlatformInfo>Generic 부분에 정보를

기입해줍니다.

위의 Type>SystemProductName, Serial>SystemSerialNumber

BoardSerial>MLB SmUUID>SystemUUID에 넣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여기 나와있는 모델 표대로 ID를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맥프로 2019의 경우에는 j160으로 그대로 입력

해줬습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자, 그 다음에는 이제 설치 디스크를 만들어 줘야

합니다.

먼저 macOS를 USB에 넣어 줘야겠죠?

저는 Install Disk Creator로 이렇게 몬터레이 디스크를 만들어줬습니다.

이제 이게 다 되었다면, 아까 저희가 만든 오픈코어

파일을 부팅 가능하게 씌워 주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MBR/Legacy가 아닌 EFI/GUID 파티션의 경우에는 따로 'EFI'라는 400MB 가량의 파티션 안에 부트섹터가 들어갑니다.

하지만, 그 파티션은 마운트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따로 마운트를 해줘야 하는데...

그때 사용하는게 mountEFI입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mountEFI.command를 실행시켜 주면,

이렇게 디스크 목록이 나옵니다.

저기서 1번. OS 설치 디스크를 마운트 시켜줍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그러면, 이렇게... EFI 파티션이 마운트가 됩니다.

...그, 저기 텍스트 파일들은 삽질의 흔적... 이라고나

할까요?

로그 파일들이고, 원래는 비어 있는게 맞습니다.

이제 저기서 아까 만든 EFI폴더를 그대로 집어놓고,

UEFI라면 그대로 부팅하면 되지만, 저희는 Legacy 부팅을 해야하기에 하나 더 작업을 해줄겁니다.

잠깐 설명을 하자면, 모든 Mac은 EFI를 사용하기 때문에 UEFI 이전의 컴퓨터들이 사용하는

BIOS는 Mac OS X를 부팅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Clover나 Unibeast같은 프로그램들이 EFI를

에뮬레이션하여 부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해킨토시를 구현하였습니다.

그런데 UEFI가 등장한 이후에는 EFI 부팅을 지원하게 되면서, 맥의 환경에 한층 더 가깝게 바뀌었지요.

거기다가 UEFI나 맥의 EFI는 GPT라는 파티션 테이블을 이용하여 따로 있는 EFI 파티션의 부트섹터로 부팅을 하였고, BIOS는 MBR이라는 파티션 테이블에 따로 디스크 내에 부트섹터가 존재하는 방식으로 부팅이 되었습니다.

이는 설치 디스크도 똑같아서, GPT로 포맷된 디스크에는 EFI 폴더밖에 없기 때문에, 거기에다가 오픈코어 파일을 넣고 BIOS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부트섹터를 심어줘야 합니다.

오픈코어 0.7.5 폴더에 보면 여러가지 유틸들이 있는데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Utilities>LegacyBoot 폴더에 보면 저렇게 BootInstall_X64.tool이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32비트로 부팅하는 경우에는 32로, 저의 경우에는 64비트이니 64로 실행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디스크 목록이 쫙 뜨면서 어디다가 부트섹터를 심을 것인지 물어보는데...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보시면 이렇게 몬터레이가 심어진 디스크를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이 디스크의 마운트 위치가 /dev/disk4이므로 4번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그전에!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무결성 보호를 해제해줘야 합니다.

말그대로 시스템 파일을 보호해주는 프로그램인데요,

딱히 어려운 것은 아니고, macOS를 복구 모드로 부팅한 다음(부팅시 CMD+R)

유틸리티>터미널로 들어가서

Csrutil disable만 입력해주시면 무결성 보호가 해제됩니다.

해킨토시 몬테레이 설치 - haekintosi montelei seolchi

정상적으로 작업이 되었다면, 이렇게 EFI 파티션에 boot가 올려져 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설치 디스크는 준비가 완료되었고요,

이제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론을 넘어가서 실제 설치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