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 색소 사용되는 식품 - taleu saegso sayongdoeneun sigpum

어린이가 주의해야 할 식품첨가물 이야기

식품첨가물과 품질인증제품

어린이기호식품 중 “안전하고 영양을 고루 갖춘 제품”을 ‘품질인증제품’이라고 합니다. 품질인증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직접 전문가, 소비자단체 등으로 심사반을 구성하여 엄격한 기준(안전에 관한 기준, 영양에 관한 기준, 식품첨가물의 사용에 관한 기준)을 만족한 제품만을 심사하여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어린이기호식품 품질인증을 받기 위한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식용타르색소 14종*의 사용이 금지되며, 합성보존료를 비롯한 기타 식품첨가물 사용을 금지합니다.

※ 금지된 식용타르색소 14품목: 식용색소녹색제3호, 식용색소녹색제3호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적색제102호, 식용색소적색제3호, 식용색소적색제40호, 식용색소적색제40호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청색제1호, 식용색소청색제1호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청색제2호, 식용색소청색제2호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황색제4호, 식용색소황색제4호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황색제5호, 식용색소황색제5호알루미늄레이크

타르색소

합성착색료의 하나인 타르색소는 식품 고유의 색을 유지함으로써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식품첨가물로서, 식품을 더 먹음직스럽고 보기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타르색소는 석탄의 부산물인 석탄타르에 들어 있는 벤젠이나 나프탈렌으로부터 합성한 것인데 식품에 사용하는 타르색소는 안전성을 고려해 독성이 낮은 수용성 산성 타르색소가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009년 어린이들이 많이 먹는 과·채가공품류, 캔디류, 초콜릿류, 빙과류, 혼합음료, 시리얼류에는 식용타르색소 14품목의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품질인증 어린이기호식품에 금지되어 있는 식품첨가물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심사 제·개정 연혁
구분식품첨가물
합성보존료
빵류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어육가공품 어육소시지 소르빈산, 소르빈산칼슘, 소르빈산칼륨
음료류 과·채주스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과·채음료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탄산음료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유산균음료 안식향산, 소르빈산, 소르빈산칼슘, 소르빈산칼륨
혼합음료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즉석섭취식품 김밥, 햄버거, 샌드위치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소르빈산, 소르빈산칼슘, 소르빈산칼륨
조리식품 제과·제빵류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슘
햄버거, 피자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소르빈산, 소르빈산칼슘, 소르빈산칼륨
기타 식품첨가물
어육가공품 어육소시지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면류(용기면만 해당) 유탕면류 및 국수 L-글루타민산나트륨

어린이가 주의해야 할 음료 이런 게 있어요

탄산음료, 에너지음료, 과채음료, 혼합음료 등 어린이들이 주로 마시는 음료수에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탄산음료

콜라와 사이다로 대표되는 탄산음료는 물과 당분으로만 이루어지고 다른 영양성분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탄산음료와 같이 당류 함량만 높은 식품은 에너지만 생성할 뿐 다른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서 ‘빈 열량식품(empty food)’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식품을 많이 먹으면 비타민이나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가 부족하여 저영양이 될 수 있고,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에너지음료

최근 에너지음료로 불리는 음료가 청소년 사이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데, 에너지음료는 카페인 함량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의 경우, 에너지음료 1병만 마셔도 어린이의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권고량(몸무게 1kg당 2.5mg으로 몸무게가 30kg인 어린이의 경우,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권고량은 75mg에 해당)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카페인의 과다섭취는 성장기 어린이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과채음료나 혼합음료

과채음료나 혼합음료 중에도 일부 제품은 당류 성분이 지나치게 높고 다른 영양소가 거의 없고 색과 향으로만 맛을 낸 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음료는 탄산음료처럼 ‘빈 열량식품’일 수 있습니다. 특히 “~맛”, “~향”이라고 표시된 음료 중에는 물과 당류, 식품첨가물만으로 가공된 제품들도 있습니다. 이 음료는 일단 먹기 시작하면 빠른 시간 안에 바로 먹어서 변질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해당 정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바로 알고 먹고, 바른 식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알고 먹으면 보약, 모르고 먹으면 독약이다! 이 책 『우리 집 밥상에서 더할 음식 & 뺄 음식』에서 다루는 내용은 지금까지 필자가 요리분야에 몸담고 있으면서 알게 된 지식과 현장에서 요리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우리의 건강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상식들을 모았다는 데 남다른 의미를 두고 있다. (전도근 강남대 교수, 평생교육학 박사, 한식조리기능사 외에 45개의 자격증 취득)

화려한 유혹, 색소

색소는 원래 음식물에 넣어 음식의 색깔을 보기 좋고 먹기 좋은 색으로 만드는 식품첨가물이다. 우리 주변에서 보기 좋은 색깔을 띤 음식 치고 색소가 들어가지 않은 식품은 없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천연색소로 색깔을 낸다면 괜찮지만 사람이 먹지 못하는 색소들 사용한 경우 심각하게 문제가 되고 있다. 

색소를 첨가하는 음식에는 우리가 자주 먹는 치즈,버터,아이스크림,과자류,캔디,소시지,통조림,푸딩 등이 있다. 착색제는 인체에 치명적이지 않을 정도의 양을 사용한다고 하지만 가랑비에 옷이젖듯이 우리 몸에 쌓여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소는 타르색소이다. 타르색소는 석탄을 원료로 하며,이 윈료들은 원래 옷감에 물을 들일 때 사용하는 염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적색 2호 등 9종의 식용 타르 색소가 허용되어 있다. 회학구조 상으로 아조계 색소(적색 2호,황색 4호,황색 5호,적색 40호,적색 102호.), 키산테계 색소(적색 3호),트리페닐메탄계 색소(녹색 3호,청색 l호),인디고이드계 색소(청색 2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타르색소는 음식을 붉게 만드는 색소로서 흰 빛깔의 케이크를 더욱 희게,초콜릿을 더 갈색으로 보이게 하려는 이유로 많은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타르색소는 면류,겨자,단무지,과일 주스,젓갈류, 천연식품,고춧가루,소스,잼,케첩,식육제품,버터,마가린 등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과자류,젤라틴,코코아,캔디,푸딩,잼,젤리,요구르트,수프,시리얼,아이스크림,과일 주스류,소다음료수,비타민정제,화장품,기침약 등에는 사용된다. 

대한약사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영 · 유아용으로 약국에서 판매되는 '시럽형 일반감기약' 10개 중 7개에 소아들에게 약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의미로 타르색소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국과는 달리 색소 사용 여부를 제품에 전혀 표시하지 않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타르색소는 인체 내의 소화효소 작용을 저해하고 간이나 위 등에 장애를 일으키며 최근에는 타르색소에 의한 발암성이보고되고 있다.

적색 2호와 적색102호 

적색 2호와 적색 102호의 경우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이를 근거로 소비자단체나 언론 및 국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4호와 황색 5호는 알레르기와 천식,체중감소,설사 등을 유발하는 인공색소로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이들 색소를 첨가할 경우 제품에 사용상의 주의를 표기토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자와 껌에 첨가하는데 황색 4호와 5호에 대한 주의나 권고의 규정이 전혀 없다.

녹색3호 

녹색 3호는 EU에서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과자,청량음료 등에 5~10ppm을 사용한다. 멜론색은 황색 4호 87%에 녹색 3호12%를 혼합한다.

과일 맛 음료의 비밀 

과일 맛이 나는 음료의 성분표시를 보면 과일이 전혀 들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바나나 우유의 단맛은 액상과당과 백설탕으로,노란색은 치자황색소로,바나나맛은 바나나향으로 낼 수 있다. 바나나 우유에 들어가는 치자황색소(바나나우유는 일본에선 위험 등급 3급으로 분류됨)와 화학물질로 만든 바나나향도 식품첨가물이다. 다른 과일 맛 음료의 새콤달콤한 맛도 여러 가지 화학물질의 혼합만으로 만들어진다.과일향 역시 화학적 향료를 추가해 만든 것이다. 과일 맛 음료를 살 때는 꼭 성분표시를 확인하여 되도록 식품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