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저축은행을 넘어섰다. 높아진 금리에 시중은행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5대 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은 800조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정기예금(12개월) 최고금리가 저축은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기준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최고금리는 연 4.55%다. 이는 은행연합회가 공시하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중 가장 높다. 이어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가 연 4.50%로 뒤를 이었다.

5대 시중은행 모두 정기예금에 4%대 금리를 제공한다. KB국민은행의 'KBstar 정기예금'과 하나은행의 '하나의정기예금'은 최고금리가 각각 연 4.23%, 연 4.15%다. NH농협은행의 'NH왈츠회전예금II'의 최고금리는 연 4.00%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저축은행권을 넘어섰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12개월, 단리) 중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DB저축은행의 'M-정기예금'으로 금리는 연 4.51%다. 우리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0.04%포인트 더 높다. 신한은행 정기예금과의 차이도 0.01%포인트에 불과하다. 이날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12개월) 평균 금리는 연 3.94%다.

은행의 고금리 예금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역머니무브' 흐름은 강해지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월 한 달 만에 30조원 이상 늘어났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은 799조8141억원으로 800조원에 육박한다. 정기예금 잔액은 760조5044억원으로 전월보다 30조6838억원이 증가했으며 정기적금은 39조3097억원으로 5869억원 늘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 달 만에 정기예금이 30조원 이상 늘어났다는 것은 사실상 시중의 모든 자금이 은행으로 들어오는 것"이라며 "앞으로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되면서 정기예금 금리는 연 5%대로 오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가파른 금리 상승에 만기가 짧은 예금상품의 수요가 커지면서 1년 만기 상품의 금리가 2~3년 만기보다 높은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의 만기 24·36개월 금리는 연 4.30%로 12개월 만기 금리(연 4.55%)보다 낮다.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의 만기 24·36개월 금리는 연 4.20%로 12개월 만기 금리(연 4.50%)가 더 높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는 만기가 짧을수록 금융 소비자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며 "한국은행이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연내 두 번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만기가 긴 상품은 가입하지 않는 추세다. 은행들도 이에 맞춰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으로 한은도 다가오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두 번째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연내 기준금리를 0.75~1.0%포인트 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중은행들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후 이를 반영해 수신금리를 인상해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4대 시중은행 정기예금 최고 금리…저축은행 평균 넘어적금 금리는 연 10% 돌파기준금리 인상·예대금리차 공시 등 영향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서울 시내에 주요 은행들의 현금인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연합뉴스]

고금리 시대가 활짝 열렸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연 4%를 돌파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계속 인상될 전망이라 연말이나 내년 초에 연 5%대 정기예금 상품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銀 ‘쏠편한 정기예금’ 금리 최고 연 4.35%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연 4%를 돌파하기 시작했다.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은 우대금리를 포함해 최고 연 4.35%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외국계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금리다.

  4%대 금리를 주는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은 ▶우리은행 ‘원(WON)플러스예금’ 연 4.25%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4.15% 등이다. 대구은행은 특판으로 연 4.30% 금리를 주는 창립55주년특판정기예금을 판매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민은행의 ‘KB 스타(Star) 정기예금’은 최고 연 3.99%, 광주은행의 ‘스마트모아 드림(Dream)정기예금’은 연 3.91%를 제공하고 있어 조만간 4%대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사진 신한은행 홈페이지 캡처]

4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저축은행도 뛰어넘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9월 29일 기준으로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3.85%를 기록했다. 일부 저축은행이 정기예금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지만 최고 금리는 4대 중반으로 시중은행과 큰 차이가 없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만 아니라 적금 금리도 높아지면서 연 10%를 넘었다. 신한은행의 ‘신한 플랫폼 적금(야쿠르트)’은 최고 연 11.0% 금리를 제공한다. 우대금리로 적금 만기 5영업일 전까지 hy(한국야쿠르트) 온라인 쇼핑몰 ‘프레딧’에서 20만원 이상 결제해야 연 8.0%포인트를 제공한다.

  광주은행 ‘행운적금’ 금리는 최고 연 13.2%에 달한다. 매주 월요일 행운번호를 배정하고 추첨해 당첨되면 1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 연 5%도 가능하다”

시중은행의 수신금리 인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금리가 오르는 만큼 은행들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데다, 자금 유치를 위해 은행 간에 금리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고강도 금리 인상 조치로 인해 연말 중에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 금리 역전이 커질수록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고자 한은이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를 맞출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은행들의 금리 인상에 따라 시중자금이 은행으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8월 말 정기예금 잔액은 729조8206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17조3715억원 늘었다. 반면 금리가 거의 없는 요구불예금은 659조6808억원으로 13조6794억원 줄었다. 은행들의 수신금리 인상 경쟁에 따라 자금들이 정기예금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이다.

  기준금리 인상 외에도 금융당국이 매달 은행별 예대금리차 공시를 하기 시작하면서 은행 입장에서 예·적금 금리를 다른 은행보다 낮춰 운용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그만큼 은행권이 수신금리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된다며 조만간 정기예금 금리는 연 5%도 될 것으로 본다”며 “4%대 금리는 이제 흔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우대조건 까다로워 '그림의 떡' 지적도…저축은행은 이미 5%대 상품이 대세

시중자금, 은행 정기예금에 몰려…이달에만 16조원 증가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금리 인상에 몰려든 시중 자금, 9월 은행 정기예금 32.5조원 늘어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기준금리 연속 인상으로 예금(수신) 금리가 오르면서 9월 은행권 정기예금이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천245조4천억원으로 8월 말보다 36조4천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은 32조 5천억이 늘었으며 이는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사진은 13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붙은 정기예탁금 아내 현수막. 2022.10.13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오주현 기자 = 광화문에 직장을 둔 40대 남성 A씨는 요즘 주식 거래창을 들여다본 지 오래다.

지난해 초 여유자금이 생긴 A씨는 당시 연 1%대 이자를 주던 은행 예금에 돈을 넣어두느니 최소 예금 금리 이상을 기대하고 업종 대표주인 삼성전자[005930]와 네이버 주식을 매수했다.

그러나 지난해 중반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랠리가 시작됐고, 올해 들어 속도가 가팔라지면서 A씨의 얼굴도 어두워졌다.

삼성전자 수익률은 -20%, 네이버는 반 토막이 났다. 반면 최근 한은이 두 번째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시중은행 예금 금리는 연 5%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A씨는 "업종 대표주인 만큼 안정성이 있으면서도 최소 예금 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하고 삼성전자와 네이버 주식에 투자했다"면서 "막상 주식은 마이너스 수익률이 난 반면, 은행 예금금리는 5%대로 오른 걸 보니 지금이라도 자금을 옮겨야 하나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이 부진한 가운데 한은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수신(예금) 금리가 따라 오르면서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되돌아오는 '역(逆) 머니무브'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 주요 시중은행 예금 금리 5% 눈앞…저축은행은 이미 '5% 시대'

지난 12일 한은이 사상 두 번째 빅 스텝을 밟자 주요 시중은행들은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0.3∼1%포인트(p) 상향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시중은행에서는 누구나 최고금리를 받을 수 있는 대표 예·적금 상품 기준으로 금리가 연 5%에 육박하고 있다.

일단 지난 14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대표 예금 상품 중 가장 높은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곳은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이다.

하나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하나의 정기예금'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 전후로 시장금리를 반영해 1년 만기 기준 연 4.60%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별개로 하나은행은 오는 20일부터 예·적금 등 총 29종 수신상품의 금리를 최대 0.95%포인트 인상해 적용할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역시 별다른 우대조건 없이도 연 4.60% 금리를 제공한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의 1년 만기 금리는 연 4.55%다. 불과 한 달 전인 지난달 14일(연 3.55%)과 비교하면 1%포인트 올랐다.

우리은행은 한은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지난 13일부터 19개 정기예금과 27개 적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1%포인트 인상했다.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기본금리만으로도 1년 만기 기준 연 4.52%를 적용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대표 예금 상품인 'KB Star 정기예금' 금리는 연 4.18%다.

국민은행은 매달 1회 이상 시장금리 변동을 점검해 기본금리에 반영하는데, 한은 빅 스텝을 고려해 다음 주 중 수신상품 금리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이미 연 5%대 예금 금리 상품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JT친애저축은행은 지난 13일부터 비대면 정기예금 금리를 1년 만기 기준 0.6%포인트 올린 연 5.0%를 적용하고 있다.

다올저축은행의 'Fi 리볼빙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 14일 0.85%포인트 상향조정되면서 현재 연 5.20%까지 올랐다.

한국투자·키움·고려·HB 저축은행 등도 지난 13∼14일 연 5%대 수신 상품을 선보였다.

저축은행 업계 1위와 2인인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은 현재 내부적으로 수신 금리 인상을 검토한 뒤 조만간 5%대 상품을 선보일 것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예대금리차 공시를 의식해 과도하게 수신 금리를 올리는 것 같다"면서도, 저축은행 업계 역시 금리 인상 대세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하나은행 영업점포 내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 우대금리 시 7% 상품도…달성 조건은 까다로워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은행 예·적금 상품의 경우 이미 연 5%를 넘어 연 7∼8% 고금리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급여를 신한은행에 처음으로 입금하고 적금 상품에 신규 가입하는 등 첫 거래 고객을 위한 '신한, 안녕 반가워 적금'의 금리를 지난 14일 연 4.8%에서 연 5.2%로 인상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에 함께 가입하고 연말까지 특별금리 적금 이벤트에 응모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신한 마이홈 적금' 금리는 기존 연 5.5%에서 연 5.8%로 상향 조정됐다.

하나은행의 '내집마련 더블업적금'은 기본금리 연 1.75%에 각종 우대금리를 더하면 연 5.5%까지 금리가 높아진다.

우리은행의 '우리페이 적금'은 기본금리 연 2%에 우대금리 연 5%를 더하면 1년 만기 기준 최고 연 7%의 금리가 적용되고, NH농협은행의 'NH걷고싶은 대한민국 적금'은 14일 기준 연 7.1%, 'NH1934월복리적금'은 연 6.6%의 고금리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런 고금리 상품은 우대금리 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실제로 최고 금리를 받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하나은행의 '내집마련 더블업 적금'은 연 5.50% 금리를 주지만, 하나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날 단 하루만 가입할 수 있어 가입 조건 자체가 까다롭다.

'우리페이 적금'은 적금 신규일부터 만기일까지 우리페이 계좌결제서비스를 200만원 이상 사용하고 급여이체 실적을 10개월 이상 충족해야 하는데, 우리페이 가맹점 자체가 많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공원공단과 함께 출시한 'NH걷고싶은 대한민국 적금'의 최고금리를 적용받으려면 설악산과 올레길 등에서 위치인증을 받고, 국립공원에서 자원봉사를 한 뒤 확인서를 받아야 한다.

이벤트성으로 고금리를 주는 은행도 있다.

케이뱅크는 오는 31일까지 케이뱅크 앱을 통해 입출금통장에 신규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금리 룰렛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홈페이지 혜택존에서 룰렛을 돌릴 경우 연 5%와 6%, 8%, 10% 네 종류 중 하나의 특별금리에 당첨돼 이를 '코드K자유적금'에 적용한다.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신한은행, '신한 안녕, 반가워 적금' 금리 연 5.2%로 상향조정

[신한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5대 은행 예금 수신액 보름도 안돼 16조 증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잇달아 더 올리는 추세인 만큼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되돌아오는 '역(逆)머니무브' 흐름은 더 빨라질 전망이다.

역머니무브는 시중자금이 증시 등 위험자산에서 빠져나와 은행 등 안전한 투자처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은행 내에서도 금리가 낮은 수시입출식예금에서 정기예금 등으로 자금이 옮겨가고 있다.

한은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천245조4천억원으로 8월 말보다 36조4천억원 늘었다.

특히 정기예금이 32조5천억원이나 급증했다.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반면 수시입출식예금에서는 3조3천억원이 빠져나갔다. 자금이 정기예금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은행 정기예금 금리 - sinhan-eunhaeng jeong-giyegeum geumli

[그래픽] 정기예금·가계대출 잔액 증감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천245조4천억원으로 8월 말보다 36조4천억원 늘었다.
특히 정기예금이 32조5천억원이나 급증했다.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10월 들어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3일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776조2천859억원으로 전달 말(760조5천44억원)과 비교하면 보름도 안 되는 기간에 15조7천815억원 증가했다.

이달 빅 스텝에 이어 오는 11월 한은 금통위에서도 추가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만큼 안정성과 함께 5%대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은행 정기예금으로 자금이 더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수신상품 금리를 신속하게 올렸다"면서 "금리 상승기에 시장금리를 상품에 즉시 반영해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0/16 06:1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