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핀스키 삼각형 특징 - sieopinseuki samgaghyeong teugjing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와 주령구 만들기>



▲ 활동목적

1)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통하여 ‘자기닮음’ 의 개념을 알 수 있다.

2) 시에르핀스키 삼각형과 피라미드에서 수의 규칙성을 찾을 수 있다.

3) 신라시대 주사위 주령구 만들기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수학적 우수성과 독창성을 안다.



▲ 활동내용 및 수학적 원리

◎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 - 자기닮음, 반복성, 수의 규칙 찾기

1)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무엇인지 알아본다(활동지1 이용)

2) 4D프레임으로 만들어진 각 단계별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관찰하고 특징을 찾아본다. (활동지1 이용)

3) 정사면체 전개도를 이용하여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 만든다(1단계)



◎ 주령구 - 다면체, 확률의 개념

4) 주령구가 무엇이고 용도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활동지2 이용)

5) 주령구의 각 면에 적힌 14가지 내용을 알아본다. (활동지 2이용)

6) 주령구가 가진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 민족의 수학적 우수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활동지 2이용)

7) 전개도를 이용하여 주령구를 만들고 각 면을 창의적으로 꾸며 본다.



▲ 기대효과

1)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통하여 ‘자기닮음’ 도형에 대해 알고, 수의 규칙성을 찾아봄으로써 입체도형에 대해 친밀감을 갖는다.

2) 주령구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수학적 우수성을 알고 자부심을 갖는다.



▲ 실제로 해보기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

1>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란?<그림 1>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1917년경 이것을 제시한 폴란드의 수학자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Waclaw Sierpinski)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것은 점점 더 미세한 구조로 ‘자기닮음(self-similarity)’과 '반복성'의 성질을 가지는 프렉탈 형태의 기하학적인 도형이다.

이 삼각형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자.

①색칠되어져 있는 임의의 정삼각형에서

②주어진 삼각형의 변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

각형을 그려 합동인 4개의 작은 정삼각형을 만든다.

③가운데 있는 작은 정삼각형을 제거하여 3개의 정

삼각형만 남긴다.

④남아있는 3개의 색칠되어진 정삼각형들에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시행한다.

⑤ 이런 과정을 무한히 되풀이하면 평면상에 점들의 집합이 나타나는 데 이것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다



(1) 각 단계별로 생기는 정삼각형의 수를 살펴보면,

0단계 1개, 1단계 3개, 2단계 ( )개, 3단계 ( )개, 4단계 ( )개 이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n단계에서는 ( )개의 작은 삼각형들이 남는다.

(2) 0단계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1이라 하고 각 단계별로 생기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살펴보면,

1단계 , 2단계 ( ) , 3단계( ), 4단계 ( )이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n단계 후에 생기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이다.



2>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란?

위의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공간으로 확장시킨 입체도형이다. 이 입체도형은 처음에 주어진 정사면체의 모서리의 중점을 연결하였을 때 생기는 작은 피라미드 4개를 제외한 가운데 부분(정팔면체)을 제거하는 과정을 무한히 반복했을 때 생기는 프렉탈 형태의 입체도형이다.



(1)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의 각 단계별 정사면체의 수를 살펴보면,

0단계 1개, 1단계 ( )개, 2단계 ( )개, 3단계 ( )개, 4단계( )개, n단계( )개

(2) 주어진 전개도로 1단계의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 보자.



<신라시대 주사위 주령구 만들기>



1. 주령구(酒令具)란 무엇인가?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인 이 주사위는 6개의 정사각형과 8개의 육각형인 면을 가지고 있는 14면체 입체도형이다. 14면에 여러 가지 벌칙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귀족들이 모인 흥겨운 자리에서 놀이 도구로 쓰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14면에 적힌 벌칙 내용

<정사각형>

①음진대소(飮盡大笑·술 마시고 크게 웃기) ②삼잔일거(三盞一去·술 석 잔을 ‘원샷’하기)

③자창자음(自唱自飮·혼자 노래 부르고 술 마시기) ④금성작무(禁聲作舞·소리내지 않고 춤추기

⑤중인타비(衆人打鼻·여러 사람으로부터 코를 맞기)

⑥유범공과(有犯空過·여러 사람이 덤벼서 장난쳐도 참기)

<육각형>

⑦추물막방(醜物莫放·더러워도 버리지 않기)

⑧양잔즉방(兩盞則放·술 두 잔을 빨리 마시고 다른 이에게 돌리기)

⑨임의청가(任意請歌·아무나 지목해 노래 청하기)

⑩곡비즉진(曲臂則盡·팔을 구부리고 술을 다 마시기)

⑪농면공과(弄面孔過·얼굴을 간지럽게 해도 참기)

⑫자창괴래만(自唱怪來晩·‘괴래만’이라는 노래를 부르기)

⑬월경일곡(月鏡一曲·‘월경’이라는 노래 부르기) ⑭공영시과(空詠詩過·시 한 수 읊기)



2. 주령구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실제 주령구의 각 면의 넓이를 계산하면, 정사각형의 넓이는 6.25 , 육각형의 넓이는 6.265 이다. 넓이의 비에 따른 확률이 14면 주사위의 수학적 확률이므로 주사위를 굴렸을 때 각 면이 나오는 확률이 거의 같다.

실제로 이강섭 단국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1987년, 제자들과 함께 안압지 주사위 복제품을 만들어 7000번 던지는 실험을 하여 각 면이 나올 확률이 평균적으로 500번(7000번÷14면=500번)에 수렴(收斂)함을 확인했다.



3. 주령구가 갖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면체는 정4면체, 정6면체, 정8면체, 정12면체, 정20면체 5개 뿐이다. 그런데 신라의 장인들은 정다면체 아닌 14면체의 각 면 넓이를 거의 똑같이 만들어, 각 면이 나올 확률이 동일한 주사위를 만들었다.

이런 주사위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다. 따라서 주령구는 수학과 관련된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유산이다.







<자료제공 : 전주교육청 수학동아리 ‘동심원’, 평가위원 모임 ‘실마리’>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시어핀스키 삼각형 특징 - sieopinseuki samgaghyeong teugjing

김장천

댓글 0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0 / 4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확인

×

최신순 추천순


최신기사

  • ‘폭발물 설치’ 허위글 올린 20대 대학생 법정행

    ‘폭발물 설치’ 허위글 올린 20대 대학생 법정행
  • 전주을 재선거 예비후보등록과 함께 점화…민주당 무공천 초미관심

    전주을 재선거 예비후보등록과 함께 점화…민주당 무공천 초미관심
  • “국비 확보 열 올리면 뭐 하나” 전북 지자체 지출 못한 예산만 6조1천억

    “국비 확보 열 올리면 뭐 하나” 전북 지자체 지출 못한 예산만 6조1천억
  • “도로가 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주지역 제설함 관리 부실

    “도로가 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주지역 제설함 관리 부실
  • 인력 시장 ‘보릿고개’… 건설현장 올스톱과 한파로 찬바람 쌩쌩

    인력 시장 ‘보릿고개’… 건설현장 올스톱과 한파로 찬바람 쌩쌩
  • 전주의 ‘대장동’ 이라고?…전주대대 이전 및 부지개발사업 특혜의혹 명확히 밝혀야

    전주의 ‘대장동’ 이라고?…전주대대 이전 및 부지개발사업 특혜의혹 명확히 밝혀야
  • 전북대병원,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1등급 받아

    전북대병원,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1등급 받아

반응형

정삼각형의 각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정삼각형들 중에서 가운데 것을 지워 나가는 일을 한없이 되풀이하면 시어핀스키 삼각형이 생겨난다.

시어핀스키 삼각형 특징 - sieopinseuki samgaghyeong teugjing

시어핀스키 삼각형 특징 - sieopinseuki samgaghyeong teugjing

이 삼각형에서 제거되는 삼각형들의 넓이는 공비가  $\frac{3}{4}$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맨 처음 주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a라고 한다면 제거되는 삼각형들의 넓이의 합은 등비수열의 합과 같다.

시어핀스키 삼각형 특징 - sieopinseuki samgaghyeong teugjing

   
그러므로 시어핀스키 삼각형은 넓이는 없고 무한길이를 가지는 도형이 된다.

여기(click) 방문해보세요.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나 코흐곡선등을 구경해 볼 수 있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수학과 사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