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 세계 최고 ’ 라는 말을 입에 담기란 쉽지 않다 . 호텔을 예로 들자면 국내만 하더라도 수백 개 이상인데 , 특정 호텔이 최고라고 말하면 나머지 호텔들은 어떻게 되겠는가 . 하지만 인터넷이나 언론매체들을 통해 알려진 세계 최고의 호텔을 굳이 하나 꼽자면 , 그 호텔은 바로 아랍에미레이트에 있다 . 흔히 7 성급호텔이라 칭해진 ‘ 버즈 알 아랍 ’ 호텔에 대해 알아보자 .

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버즈 알 아랍에 들어가는 길

호텔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수시로 운행되는 버기를 타고 버즈 알 아랍 호텔이 가장 잘 보이는 곳으로 이동한다 . 그 장소는 출입검사가 진행되는 호텔 정문으로 호텔 앞에 놓인 다리를 건너야 한다 . 좌우가 시원스레 뚫려있는 버기는 안전벨트가 없다 . 좀 불안하긴 하지만 빠른 속도로 달리면 굉장히 스릴이 넘친다 .

정문과 호텔 입구를 잇는 다리의 길이는 생각보다 꽤 길다 . 두바이의 뜨거운 태양 아래 이 다리를 걸어서 이동하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

그렇게 들어선 자칭 세계 최고의 호텔이라 말하는 7 성급 호텔 버즈 알 아랍 . 7 성급 호텔은 어떤 곳일까 설레는 마음으로 입구에 들어서니 왜 버즈 알 아랍을 세계 최고의 호텔이라 추켜세우는지 이해가 됐다 . 호텔 입구에는 듣도 보도 못한 멋진 고급 차량들이 보란 듯이 주차 되어 있으며 , 주변 관광지인 수크 메디나를 비롯해 해변가와 골프장 등이 들어서 있다 .

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하지만 투숙 여부에 관계없이 출입이 가능한 여타 다른 호텔과는 달리 이 호텔의 출입을 위해서는 호텔 투숙객이 되거나 , 호텔 내 레스토랑을 이용해야만 한다 . 이 두 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마지막 남은 방법은 호텔 직원이 되는 것뿐이다 .

어찌 보면 너무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투숙객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한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 이 방침에 걸맞게 호텔 출입객에 대한 경비는 굉장히 삼엄하며 , 문지기의 출입 허가를 받아야만 한다 .

살이 타들어 갈 듯 뜨거운 한여름의 두바이 썬베드에 누워있는 사람을 찾는 것은 쉽지 않지만 , 워터파크에는 사람들이 꽤 많은 듯 사람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 최고의 호텔에서의 하룻밤을 꿈꾼다면 일분일초가 아까워 여유를 가지기 어렵다 . 한껏 들뜬 마음으로 호텔 안으로 걸음을 내딛는다 .

최고급 호텔의 상징이 된 버즈 알 아랍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진 주메이라 해변에 위치한 ‘ 버즈 알 아랍 ’ 호텔은 높이가 321m( 에펠탑보다 높고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보다는 60m 가 낮다 ) 로 세계 최고의 높이를 자랑한다 . 하루 숙박비는 로얄스위트룸의 경우 무려 3500 만원에 이를 정도로 비싼데다가 외부인이 호텔을 구경하려면 입장료 200 디르함 ( 한화 약 7 만원 ) 을 내야 들어갈 수 있을 정도다 .

세계 최고층 건물인 버즈 칼리파와 더불어 버즈 알 아랍은 두바이의 대표적인 상징물이며 아랍에미레이트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

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서울 7성급 호텔 - seoul 7seong-geub hotel

1994 년 착공해 1999 년 12 월 1 일 문을 연 버즈 알 아랍 호텔은 ‘ 아랍의 탑 ’ 이라는 뜻으로 아라비아의 전통 목선인 다우 (dhow) 의 돛 모양을 형상화해 지었다 . 돛단배 모양의 호텔의 윗부분의 동그란 곳 ( 헬기장 ) 에서 타이거 우즈가 바다를 향해 샷을 날리는 장면이 신문과 뉴스에 보도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 또한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 오픈에 출전했던 테니스계의 전설인 안드레 아가시와 당시 세계 랭킹 1 위였던 로저 페더러가 헬기장을 개조한 테니스 코트에서 경기를 해 다시 한 번 큰 주목을 받았다 . 211 미터 위에 떠있는 테니스 코트는 마치 ‘ 테니스의 섬 ’ 으로 보일 정도로 아찔한 매력을 자아냈다 .

밤이면 외부 조명이 여러 가지 색상으로 30 분마다 바뀌어 황홀한 장관을 연출한다 , 바로 뒤편에는 페르시아만이 자릴 잡아서 아름답고 깨끗한 은빛 모래가 두텁게 쌓여 있는 백사장이 있어 해수욕장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곳이다 .

200m 상공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알 문타하 (Al Muntaha) 레스토랑과 바다 속에 위치한 알 마하라 (Al Mahara) 레스토랑은 버즈 알 아랍의 명물이다 .

알 문타하는 호텔에서 가장 높은 27 층에 위치한 레스토랑으로 금요일만 뷔페가 가능하며 , 다른 날은 주문을 해야 한다 . 또한 점심보다는 환상적인 야경을 바라보며 즐길 수 있는 저녁 식사를 더욱 추천한다 .

2 층 로비 중앙에 있는 분수대 좌측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수중레스토랑 알 마하라가 보인다 . 마치 물속에서 식사를 하는 듯한 신비한 느낌으로 수족관에 있는 물고기에 대한 안내 책자도 받아볼 수 있다 .

202 개의 객실은 모두 해변을 바라보는 전망에 복층 구조다 . 가장 작은 객실이 169 ㎡ , 가장 큰 객실은 780 ㎡ 에 이른다 . 1 박에 350 만원 정도나 하는 전층이 스윗트룸으로 가장 비싼 방은 1 만 5 천달러 이상으로 2,000 만원이 넘는다 . 흔히 7 성 호텔로 불리지만 , 세계 여행 가이드와 호텔 등급 시스템에서는 5 성이 최고 기준이다 . 호텔 측의 공식 설명 역시 5 성급의 ‘ 호화 ’ 호텔임이 맞지만 , 내부의 시설이나 서비스 등 모든 면에서 그만큼 호화롭고 쾌적하기 때문에 조금은 과장해서 7 성급 호텔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

"▶국가마다 평가기준 천차만별

“특급 호텔이라고 해서 기대했더니 너무 실망했다”며 고객 불만을 받아 당혹스러우셨던 경우 있으신가요? 분명 같은 등급인데도 각 호텔의 시설과 서비스가 천차만별인 것은 국가마다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호 ‘공부합시다’에서는 호텔 등급의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대부분의 여행인들이 인지하고 있듯 국가마다 호텔 등급을 평가하는 기준은 다릅니다. 물론 별표(★)로 등급을 구분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것도 국제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한국의 경우, 관광진흥법 시행령에 의거해 한국관광 호텔업협회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가 호텔 등급을 특1등급, 특2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무궁화를 심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등급 심사는 한국관광협회중앙회와 한국관광호텔업협회에서 맡고 있으며 현관, 로비, 객실 등의 시설과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이 평가항목이 됩니다. 현재 심사 대상은 ▲신규 등록 60일 이내의 업체 ▲심사를 받은 지 정확히 3년이 경과된 업체 ▲최근 개보수(renovation)를 마친 업체들로 한국의 경우 심사에 강제성을 두고 있습니다. 호텔의 관리 및 유지에 소홀했던 일부 업체들은 심사를 받고 등급이 떨어질 것을 염려해 심사를 회피하기도 합니다. 강제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전합니다.

일부 국가의 경우 심사 자체가 없거나 있다 해도 강제성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미국은 국가가 아닌 미국자동차협회(AAA)와 모빌 여행가이드가 심사를 하고 있고, 일본은 국가에서 평가를 하고 있지만 별표 등의 심볼을 부여하지는 않습니다.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등은 이색적이게도 호텔 등급제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도 전세계를 누비고 다니는 한국 여행객들을 위해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할텐데요. 이와 관련해 월드호텔센터 강선진 과장은 “국가마다 평가기준이 다르고 전 세계의 각 호텔이 자체적으로 내세우는 등급이 있긴 하지만 철저하게 한국 고객의 성향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재평가하고 있다”면서 “고객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해 호텔 등급을 낮게 평가한 경우도 많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호텔 등급 기준에 얼마만큼 고객의 냉정한 평가가 반영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일부 업체들은 자사의 호텔을 기성 호텔과 차별화하기 위해 6성급, 7성급과 같은 수식어를 붙이기도 합니다. 브루나이 임페리얼호텔이나 두바이 버즈알아랍호텔이 대표적이지요.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채우기 위해 이들을 능가하는 8성급 호텔이 나오지 말라는 법도 없는 셈입니다.

최승표 기자

■ 꼼꼼하게 풀어보는 관광용어
이제는 알고 말하자
<가나다순> 자료제공=한국관광공사

▶엘더호스텔 elder hostel
미국과 캐나다에 있는 900개의 대학 조직망으로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교육과 모험이 혼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인생경험의 기회를 부여해 보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숙식은 대학 구내 기숙사에서 제공되고 특별 교육과정이 개설된다.

▶유로텔 eurotel
유럽호텔의 약어로서 분양식 리조트 맨션의 체인경영이다. 호텔의 객실과 가구·집기·비품 등도 구입하여 자기가 이용하지 않는 동안 타인에게 임대를 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유로텔 체인의 다른 호텔을 분양받는 오너가 분양받지 않은 일반 이용자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호텔 시스템이다.1959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그 후 유럽 각국에 보급되었으며 가격은 나라에 따라 차이가 난다. 유로텔을 구입한 사람은 방의 규모에 따라서 정해진 관리비를 부담해야 한다. 호텔은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객실에서 스스로 취사할 수도 있고 호텔 내의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할 수 있다.

▶인디펜던트 호텔 independent hotel
체인계열에 속하지 아니하고 자사 운영되는 독립경영의 호텔이다. 최근에는 체인호텔과의 경쟁으로 예약시스템 구축, 컨소시엄의 가입 등 경영의 독립성을 보유한 채 체인의 잇점을 누리려는 경향이 현저하다. 그리고 인터넷에 의한 독자적인 홈페이지 개설 등의 경향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