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번트 리더십 세종대왕 - seobeonteu lideosib sejongdaewang

  • �̸�����
  • �󼼾ȳ�
  • �����ڷ�
  • ����ı� (0)

��ü 18 page �� 18 page���� �̸����Ⱑ �����մϴ�.

  • �̸�����
  • �󼼾ȳ�
  • �����ڷ�
  • ����ı� (0)

�Ұ���

�� �ڷ�� ��������� ����Ʈ �����ʿ� ���� ������ ������ �ڷ��, ���� ������, �Ҹ� ������, â�� ������, ���� ������, ��õ ������, �ǿ� ������ �� 6���� ����â�����Ǽ�(�٤����������)�����ʿ� ���� ���ϰ� ������ �ڷ��Դϴ�.

���۽ñ� : 2015�� 3��

����

1�� ����Ʈ �������� ����

2�� ������ ������ ����Ʈ ���� ��

3�� ����â�����Ǽ�(�٤����������)������
1. �(��) : ����������
2. ٤(��) : �Ҹ�������
3. ��(â) : â�Ǹ�����
4. ��(��) : ���븮����
5. ��(��) : ��õ������
6. ��(��) : �ǿ븮����

��������

1. ����Ʈ �������� ����

Ÿ�ο� ���� ������ ������ �⿩�� �������̶�� ��
�� �ִ�. �����鿡�� �屸�� ������Ű�� ����ϴ� �������� ���Ѵ�.
����Ʈ �����ʴ� 6������ ���� �� �ִµ�, (1)
�����ϴ� �������� ���ϵ��� ���� �ʹ�� ��� ��û
(2) ���� ���� ���� ���ؽ����� ���ϵ��� �����ϴ�
���� (3) ���ϵ��� �� ���ǰ� �����Ǵ� ġ��
(4) ���ϵ��� ���� ö���� �ڿ��� �����ϰ� ������
�� ��Ʃ��� (5) ���ϵ��� ������ ���� ���
(6) �������� ��ȣ ���� �� �� �ִ� ����ü ����
�� ����Ʈ �������� ���迡 �������̶� �� �� �ִ�.   (���� ����)

��������

����

  • �̸�����
  • �󼼾ȳ�
  • �����ڷ�
  • ����ı� (0)

서번트 리더십 세종대왕 - seobeonteu lideosib sejongdaewang
��������� ����Ʈ �����ʻ�� 9 page

4. ��������� ����Ʈ ������ �м� (3) ���������� �̲����� ��������� 7���� ������ 1) ��(�)�� ���� ���������� ������ ��û�� �з��� ���θ� �ϰ�, �������� ���� ������ ������ �����س���. �׸��� �濬�� ...

서번트 리더십 세종대왕 - seobeonteu lideosib sejongdaewang
��������� ����濵 �����ʰ� �û��� 11 page

4. ������ ������ ������ ���� ������ ������ �޸� ������� �濵�� �ʿ��ߴ�. ���� �տ��� ���� �־����� �߾� ������ �̷��� ���Ѵٸ�, �� ��� ���� ������ ������ ��ȹ���� �������� ���� �� �и��ߴ�. ������ ���� �濵�� ...

  • �̸�����
  • �󼼾ȳ�
  • �����ڷ�
  • ����ı� (0)

�ı��ۼ�����ı⸦ �ۼ��Ͻø� �������� 100 point�� ������ �帳�ϴ�.

����� ����������

����ı� (0)

��ϵ� ���䰡 �����ϴ�.

ù��° ���� �Ǿ��ּ���.

���۱� ����

�� ���� �� �Խù� ������ ���Ǽ��� ���Ͽ� ��ũ���� �������� �ƴ��ϸ�, �ش� ���� �� �Խù� ���۱ǰ� ��Ÿ ���� å���� �ڷ� ����ڿ��� �ֽ��ϴ�.
�� ���� �� �Խù� ������ �ҹ��� �̿�, ���� ���硤������ �����Ǿ� �ֽ��ϴ�.
���۱�ħ��, �����Ѽ� �� ������ �߽߰� ���������� ���۱� ħ�ؽŰ��� �̿��� �ֽñ� �ٶ��ϴ�.

세종대왕의 리더십

세종대왕은 우리가 익히 알기를 한글 창제의 주역(세종이 주도했다는 것이 정설이라고 하며, 최근 개봉한 ‘나랏말싸미’는 다른 의견을 기초로 한다.)이시기도 하고, 장영실의 등용을 비롯한 많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루어낸 분이시다. 하지만 본인의 형을 타의에 의하긴 했지만 밀어내고 권좌에 오른 장본인 이기도 하며, 집권 후반기에는 세대 교체에 실패하여 제대로 된 개혁을 하지 못한 오점을 남기기도 하였다.

세종대왕의 리더십을 통해서 현재 시대에서 리더가 되기 위한 준비사항과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세종대왕의 ‘과업지향’ 측면

세종대왕은 ‘역할과 목표의 명확한 정의’, ‘구체적 계획 수립에 의거한 업무활동 추진’, ‘운영 및 성과에 대한 상세한 점검’을 중심으로 과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1. 역할과 목표의 명확한 정의
    • 무엇보다 백성이 먹고 사는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어, 고을 수령들이 지역의 농사현황등을 상세히 파악하도록 지시
  2. 구체적 계획 수립에 의거한 업무활동 추진
    • 농업 개량 및 구조 혁신(측우기, 수차등을 통한 생산성 증대)을 도모
    • 각종 규제를 완화 및 세법을 정리(양반 시대에 세금 문제의 정리는 매우 어려웠던 일)
  3. 운영 및 성과에 대한 상세한 점검
    • 적극적인 의견 수렴
    • 결과에 대한 엄정한 관리 및 피드백

세종대왕의 ‘관계지향’ 측면

세종대왕은 ‘과업 지향’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관계지향’ 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많은 신경을 쓰신 분이다.

  1. 발전적 전망을 갖게 하는 ‘관계’의 리더십
    • ‘잠든 신숙주에게 옷을 덮어준 일화’(절제된 친근감)
    • 언행 일치와 커뮤니케이션
  2. 부하 능력의 개발
    • 집현전 강화(학문전념)
    • 질책 대신 동기부여(일식 예측 실폐 사례)
    • 적극적인 권한 위임(북방지역 국경 지휘권 및 인사권 현장 이양)
  3. 칭찬, 인재등용
    • 임현사능(任賢使能) : 유능한 인재를 적절하게 등용하여 적재적소에 배치
    • 신상필벌(信賞必罰) : 잘한 일에는 상을 주고, 못한 일에는 벌 내리는 데 엄정함 지향
    • 강거목장(綱擧目張) : ‘하나의 벼리를 들면 만개의 크물코가 모두 펼쳐진다.’. 이는 그물의 줄기를 통해 다수의 그물코를 편다는 것으로, 어떤 사안에 대한 핵심을 정확하게 알고 이해
    • 위임책성(委任責成) : 인재에게 일을 맞겨 일을 성취게 하라는 뜻으로 다음의 사례에서 그 성향을 볼 수 있음. 위임을 받는 부하가 해당 문제에 더 가까이 있고 전문성이 있을 경우 의사결정의 질이 향상됨
1
2
3
4
5
6
7
[의정부 참찬(정2품) 김점(태종의 장인) 과 예조판서(정2품) 허조 간의 논쟁 中]
김점 : 금상 황제의 법도를 따라야함
명나라의 영락제처럼 친히 죄수도 심문하고 잘못한 신하들에게 벌도 주어야함. 온갖 정사를 전하께서 친히
통찰하시는 것이 당연하옵고 신하에게 맡기시는 것은 부당함
허조 : 관을 두어 직무를 분담시켰으니 각기 맡은 바가 있음.
임금이 친히 일의 크고 작음을 가리지 않고한다면 관을 두어 무엇하나
세종 : ‘허조를 옳게 여기고 김점을 그르게 여겼다’.

세종대왕의 ‘참여와 권한 위임’

  1. 권한위임

    • 세종대왕은 적극적인 임파워먼트(empowerment)로 국가 경영을 시행한 장본인이다. 또한, ‘태종태세문단세’라는 왕권의 변화과정에서 알수 있듯이 조선이라는 나라가 세워지고 수성의 단계에 들어설때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해낸 인물이기도 하다.
    • 권한위임도 무조건적으로 했다기 보다는 선별적인 권한위임을 추구하였고, 부하의 비전을 발견하고 등용하는 모습을 보임(노비 신분 장영실의 등용)
  2. 장기간의 안목

    • 한글창제의 과정에서도 장기간의 식견을 통해 문화적인 독립을 위해 ‘언어’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루어낸 업적이라 할 수 있다. 얼마전 이낙연 총리가 한글날 기념식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언어’의 창제의 기원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몇 안되는 혹은 유일한 언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세종대왕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리더가 되면 ‘귀는 열고 입은 닫으라’는 말이 있듯이 경청의 습관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때로는 반대의 의견을 이겨내고 과업을 달성해야 할 수도 있는데 때로는 세종대왕은 ‘독단위지(獨斷爲之)’ (반대를 무릅쓰고 추진해야 하는 일도 있다)를 발휘해 과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특히 기득권의 반대로 좌초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반대를 무릅쓰고 강행하기도 하였다.

1
“무릇 일이 의심나는 것은 여러 사람에게 의논하지마는,의심이 없는 것은 독단으로 하는 것이다”
  1. 파저강 토벌 감행 : 신하들이 모두 반대함

  2. 훈민정음 창제

1
"내가 여러가지 일에서 다수의 의논을 좇지 않고, 대의를 가지고 강행한 적이 자못 많다. 수령육기, 양계축성, 행수직을 자급에 따르는 등의 일은 남들은 다 불가하다고 하는것을 내가 홀로 여러 사람의 논의를 배제하고 행했다(세종실론 26/윤7/23)"
  1. 수령 육기제를 개혁하여 공무원 장기 근무제 시행

  2. 북방영토 경영(양계축성)

  3. 관료제의 탄력적 운영을 위한 ‘행수법’ 시행

세종대왕의 ‘포용력’

세종대왕의 리더십을 통해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리더십관리기술(https://purumir.github.io/2019/09/29/리더십-관리-기술/) 에서 밝혔듯이 ‘밀레니얼 세대’는 ‘자기자존감’을 중요시 생각하고, 또한 매뉴얼 세대로써 정확하지 않은 업무지시에는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세대와 함께 일하기 위해서 세종대왕의 리더십중 두가 항목을 적절하게 병행하여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1. 선별적 카리스마 리더십

    • 독단위지(獨斷爲之)라는 말에서 드러나듯 모든 사안에 대해서 부하의 말을 듣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할수는 없는 노릇이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은 괜히 나오는 말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그 효익이 매우 큰 사안에 대해서는 리더가 의견을 청취한 후에 방향을 설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2. 선택적 임파워먼트(Empowerment)

    • 한때 리더십의 형태로 ‘서번트 리더십’이 유행한 적이 있다. 이전 회사에서도 조직운영 표어로 ‘서번트 리더십’이 유행한 적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리더십은 보다 대등한 입장에서 권한을 위임하고 존중하는 형태의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다. 매뉴얼 세대의 특징에 맞게 강한 거부감을 느끼거나 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리더가 방향을 제시하되,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선택적 권한이양’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4자성어로 살펴보는 세종대왕의 리더십

1
2
3
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 내 몸과 마음을 대하듯 남또한 소중이 여기면 그의 마음을 얻을 지어다.
노래 소리가 듣기 싫다 하여 새를 죽이려 함은 옳지 않다.
1
2
적재적소
나뭇잎에 꽃이 달릴수 없듯 나뭇가지 끝에는 뿌리가 뻣어갈수 없다.
1
2
군자표현
들판의 한조각도 세월의 흐름을 따라 모양이 바뀌듯이 자신의 허물도 빠르고 또렷하게 고치어 올바름을 행할 지어다.

회식으로 단합을 유도하고, 회사내 유통되는 정보를 통제하여 부하를 통솔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가고 있다. 직장 상사가 보고하러 들어가면 실시간으로 카톡으로 상황이 중계되다 시피 하고, 조직내 벌어지는 수 많은 사건들이 발생과 동시에 퍼져나가는 것이 현재의 Hyper-connected 사회이다. 개방성을 강화하면서 리더십의 최선이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할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