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13 황제 되는법 - samgugji13 hwangje doeneunbeob

삼국지13 황제 되는법 - samgugji13 hwangje doeneunbeob

Hjh8874

2017-10-16 21:03:29 12602 0 0

http://cafe.naver.com/sam10/540480

삼국지 도원결의 카페의 이벤트 모음입니다.

무미건조한 삼국지 세상에 다양한 이벤트를 추가해서 해보시는 건 어떤가요?

입맛대로 골라서 이벤트를 적용 시키면

최근까지 하던 게임도 적용이 되니까

참고해주세요.

http://cafe.naver.com/sam10/535364

이벤트 적용 방법입니다.

신고하기

작성자
제목

신고사유 선택

욕설/비하 음란성 게시글/댓글 도배 홍보성 콘텐츠 타인의 개인정보 유포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관련 기타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숨김처리 될 수 있으며, 해당 글의 작성자는 사이트 이용제한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결과에 대해 별도의 통지/안내를 하지 않으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3

자유게시판

현재 전적 [10]

뮌헨의왕자티아고

10-17

1. 도원결의
▶ 조건
시나리오/황건적의 난 시작시 자동발생.
▶ 결과
유비, 관우, 장비가 각각 특수 인연 “도원결의” 상태가 됨.

2. 황건적 평정
▶ 조건
184년 10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황건적(장각) 세력이 아닐  것
▶ 타세력, 무장조건
장각, 장보, 장량이 사망한 상태.
하진이 군주상태로 존재.
손견이 군주상태로 존재.
유언이 군주상태로 존재.
유비 3형제가 유언 소속무장일 것.
▶ 도시조건
다음 도시가 공백지 또는 하진 세력 또는 황건적 세력일 것.
 양평, 계, 북해, 남피, 북평, 업, 하비, 소패, 한중, 완, 양양, 강하, 장사, 자동, 성도. 
▶ 그 외 조건
하진 세력이 영제를 옹립하고 있을 것.
영제의 소속도시가 낙양.
▶ 선택지에 의한 영향 (이벤트 마지막에 논공행상이 발생)
플레이어가 하진
  포상으로 도시를 수여하지 않을 경우, 결말의 세력 변동이 발생하지 않음.(장로, 공손도는 발생)
플레이어가 유언
  논공행상에 참가하지 않을 경우, 배치전환이 발생하지 않음.
플레이어가 유비
  논공행상에 참가하지 않을 경우, 배치 전환이 발생하지 않음.(군주로 독립하지 않음)
결말
▶ 세력변동
황건적 세력이 멸망.
동탁 세력에 일부 재야무장이 사관함.
손견 세력이 장사로 이전.
유언 세력이 자동, 성도로 이전.
유비가 평원에서 독립.
원소가 남피에서 독립.
원술이 완에서 독립.
유표가 양양, 강하에서 독립.
도겸이 하비, 소패에서 독립.
유우가 계에서 독립.
한복이 업에서 독립.
공융이 북해에서 독립.
장로가 한중에서 독립.
공손도가 양평에서 독립.
하진 세력이 위의 도시를 지배하고 있을 경우 몰수함.

3. 영제서거
▶ 조건
189년 4월이후, 또는 역사 이벤트/ 황건적 평정 발생 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하진이 군주상태로 존재.
원소가 군주, 또는 하진 소속으로 존재.
조조가 하진 소속으로 존재.
▶ 그 외 조건
하진 세력이 영제를 옹립하고 있음.
영제의 소속도시가 낙양.
▶ 결과
영제가 사망하고, 소제가 후한황제로 즉위.

4. 수도대란
▶ 조건
역사 이벤트/ 황건적 평정과 영제서거가 발생했고 186년 1월이후 
▶ 플레이어 조건
하진, 하씨, 정원이 아닐 것.
▶ 타세력, 무장조건
하진이 군주상태로 존재.
정원이 군주상태로 존재.
동탁이 군주상태로 존재.
원소가 군주, 또는 하진 소속으로 존재.
조조가 하진 세력소속으로 존재.
여포가 정원 세력소속으로 존재.
이유, 이숙이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장양(張譲)이 존재.
▶ 도시조건
하진 세력이 낙양, 장안, 홍농을 지배하고 있음.
정원 세력이 진양을 지배하고 있음.
동탁 세력이 천수를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하진 세력이 명품 ‘옥새’를 소유.
동탁, 또는 동탁세력이 명품 ‘적토마’ 를 소유.
하진 세력이 소제를 옹립하고 있음.
소제의 소속도시가 낙양.
헌제가 존재하고 있음.
▶ 결과
세력변동
  하진, 하씨가 사망하고, 하진 세력이 멸망함.
  하진 세력의 낙양, 장안, 홍농 이외의 도시는 공백지가 됨.
  동탁 세력이 낙양, 장안, 홍농을 지배함.
  정원이 사망하고, 정원 세력이 멸망함.(일정조건을 만족하면 정원 세력이 멸망하지 않음)
무장관련
  동탁의 관위가 ‘승상’이 됨.
  여포가 정원 세력에서 동탁 세력으로 변경. 명품 ‘적토마’를 소유함.
  노식이 재야로 변경.
▶ 그 외
장양(張譲)이 사망.
소제가 사망하고, 헌제가 황제로 즉위.
명품 ‘옥새’가 행방불명이 됨.
▶ 세력이동
정원 세력이 존속하는 조건
  장양(張楊)이 정원 세력소속으로 존재하고, 상당이 공백지일 경우, 정원 세력은 상당으로 이동하고, 장양(張楊)이 군주가 됨.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 할 경우, 정원 세력은 동탁에게 흡수됨.
왕광의 독립
  왕광이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하내가 공백지일 경우 하내에서 독립함.
포신의 독립
  포신이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제북이 공백지일 경우 제북에서 독립함.
장초의 독립
  장초가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광릉이 공백지일 경우 광릉에서 독립함.
장연의 독립
  장연이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진양이 공백지일 경우 진양에서 독립함.
유대의 독립
  유대가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복양이 공백지일 경우 복양에서 독립함.
공주의 독립
  공주가 하진 세력소속 또는 재야이고, 초가 공백지일 경우 초에서 독립함.

5. 조조거병
▶ 조건
시나리오/ 반동탁연합의 오프닝으로 발생. 또는 역사이벤트/ 수도대란이 발생 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조조, 여포, 왕윤이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진류가 공백지, 또는 동탁 세력이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왕윤이 명품 ‘칠성보도’ 를 소유.
▶ 결과
세력변동
  조조가 진류에서 독립함.
무장관련
  동탁이 명품 ‘칠성보도’ 를 소유함.
  조조 휘하에 많은 무장들이 들어옴.(조인, 조순등 일족무장들과 하후돈, 하후연, 이전, 악진 등등)

6. 반동탁연합 결성
▶ 조건
시나리오/ 반동탁연합의 오프닝 후 발생. 또는 역사이벤트/ 조조거병이 발생 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손견이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이유, 여포, 화웅이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낙양, 홍농, 장안, 천수, 안정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범용이벤트 반XX연합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조조일 경우
  격문을 보내지 않으면 연합이 결성되지 않음.
플레이어가 참가군주일 경우 연합 참가 여부를 선택가능.
  참가세력: 원소, 조조, 손견, 유비, 원술, 한복, 공융, 마등, 도겸, 공손찬, 장양, 왕광, 포신, 유대, 공       주, 장초
  비참가세력: 유언, 사섭, 유표, 장로, 유우, 공손도, 장연.
▶ 결과
동탁 세력에의 연합이 결성됨.
연함에 참가한 세력은 전부 12개월 정전이 맺어짐.

7. 호로관 전투
▶ 조건
역사이벤트/ 반동탁연합결성으로 연합이 결성되어 있음.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화웅, 방열이 아닐 것.
플레이어가 다음의 군주일 경우, 연합 참가를 거절하지 않음.
 원소, 조조, 손견, 유비, 원술, 한복, 공융, 마등, 도겸, 공손찬, 장양, 왕광, 포신, 유대, 공주, 장초.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손견이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이유, 여포, 화웅이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관우와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낙양, 장안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결과
화웅, 방열이 사망함.

8. 장안 천도
▶ 조건
역사이벤트/ 호로관 전투 발생 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손견이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이유, 여포가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조홍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낙양, 장안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동탁일 경우.
장안으로 천도를 하지 않을 수 있음.
▶ 결과
장안으로 천도할 경우.
  세력변동
    연합이 해산함.
    낙양이 공백지가 되고, 폐허 상태가 됨.
무장관련
  낙양소속의 동탁 소속무장이 전부 장안으로 이동함.
  조조가 부상을 입음.
  손견 세력이 명품 '옥새' 를 소유함.
장안으로 천도하지 않았을 경우
  연합이 해산함.

9. 손견, 죽다
▶ 조건
역사이벤트/ 장안 천도가 발생 했고 189년 2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손견이 군주로 존재.
유표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원술이 군주로 존재.
손책이 손견 세력소속으로 존재.
황조가 유표 세력소속으로 존재.
손견과 유표가 동맹 또는 정전상태가 아님.
원술과 유표가 동맹 또는 정전상태가 아님.
▶ 도시조건
손견 세력이 장사를 지배하고 있음.
유표 세력이 양양,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손견 세력이 명품 ‘옥새’를 소유함.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손견일 경우
  원술의 요청을 거절하면 이벤트 진행이 중지됨.
    손견의 사망과 세력멸망을 회피가능.(이후 손씨관련 이벤트가 없어지고 광정 전투가 조건을 만족할시 193년 1월 이후 발생)
▶ 결과
세력변동
  손견이 사망하고, 손견세력이 멸망. (※손책으로 이어하기 가능)
무장관련
  손견 소속의 무장은, 원술 소속이 됨.
그 외
  명품 ‘옥새’는 행방불명이 됨.

10. 광정 전투
▶ 조건
역사이벤트/ 장안 천도와 손견, 죽다가 발생했고, 189년 3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원술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원술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 도시조건
원술 세력이 완을 지배하고 있음.
원술 세력의 지배도시가 2개 이하.
조조 세력이 복양, 진류를 지배하고 있음.
수춘이 공백지 상태.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원술일 경우
  출진을 취소할 수 있음.
플레이어가 왕랑, 유요, 엄백호일 경우.
  독립하지 않을 수 있음.
▶ 결과
원술이 출진한 경우.
  세력변동.
    원술 세력의 지배도시가 수춘으로 바뀌고, 완과 기존도시는 공백지가 됨.
      여강이 공백지일 경우, 여강도 원술 세력의 지배도시가 됨.
건업이 공백지고, 왕랑이 군주가 아닌 신분으로 존재할 때, 건업에서 독립.(플레이어가 군주인 세력소속일 경우 독립하지 않음.)
회계가 공백지고, 유요가 군주가 아닌 신분으로 존재할 때, 회계에서 독립.(플레이어가 군주인 세력소속일 경우 독립하지 않음.)
오가 공백지고, 엄백호가 군주가 아닌 신분으로 존재할 때, 오에서 독립.(플레이어가 군주인 세력소속일 경우 독립하지 않음.)
원술이 출진하지 않았을 경우.
  세력변동이 일어나지 않음.

11. 미녀연환계 전편
▶ 조건
역사이벤트/ 장안천도가 발생 했고, 장안으로 천도한 상태에서 192년 1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이유, 이숙, 왕윤, 동민, 우보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장양이 군주로 존재.
여포, 이유, 이숙, 왕윤, 동민, 우보가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초선이 미등장, 또는 동탁 세력 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장안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여포의 배우자가 없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동탁일 경우
  왕윤의 연회 초청을 거절하면 미녀연환계 후편이 발생하지 않음.
▶ 결과
왕윤의 초청을 수락함.
역사이벤트/ 미녀연환계 후편으로 이어짐.
왕윤의 초청을 거부함.
  여포와 초선이 부부가됨.
  초선이 미등장일 경우, 동탁 세력소속으로 등장함.(여성무장 등장일 경우)

12. 미녀연환계 후편
▶ 조건
역사이벤트/ 미녀연환계 전편이 발생 했고, 동탁이 왕윤의 초청을 수락하고 192년 3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이유, 이숙, 왕윤, 동민, 우보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동탁이 군주로 존재.
장양이 군주로 존재.
여포, 이유, 이숙, 왕윤, 동민, 우보가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초선이 미등장, 또는 동탁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동탁 세력이 장안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동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여포의 배우자가 없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여포일 경우
  마지막에 동탁을 죽일지 말지 선택할 수 있음.
▶ 결과
동탁사망
  세력변동
    동탁이 사망하고, 이각이 동탁세력을 계승함.
    장안이외의 동탁 세력의 도시가 공백지가 됨.
    장제가 홍농에서 독립함.
  무장관련
    동탁이 사망함.
    이유, 이숙, 왕윤, 동민, 우보가 사망함.
    여포와 초선이 부부가 됨.
    초선이 미등장일 경우, 여포와 같은 세력소속으로 등장.(여성무장 등장의 경우.)
    동탁소속의 다음 무장이 장양 소속이 됨.
      여포, 장료, 고순, 후성, 조성, 위속, 송헌.
동탁생존
  특별한 변화없이 이벤트 종료.

13 손책, 출진
▶ 조건
역사이벤트/ 손견, 죽다가 발생했고 193년 1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원술이 군주로 존재.
손책이 원술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원술 세력이 수춘을 지배하고 있음.
여강이 원술 세력소속이거나 공백지.
▶ 그 외 조건
명품 ‘옥새’의 소유세력이 없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손책일 경우
  옥새와 병사의 교환 요청을 하지않을 수 있음.
플레이어가 원술일 경우
  옥새와 병사의 교환을 거부할 수 있음.
플레이어가 주유, 장굉, 장소일 경우
  손책의 거병에 참가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
▶ 결과
손책과 원술이 옥새와 병사를 교환했을 경우.
  세력변동
    손책 세력이 여강에서 거병.
      여강이 원술 세력소속일 경우, 원술은 여강을 잃음.
  무장관련
    원술 소속의 손책파 무장들이, 손책 소속으로 변경.
    주유, 장소, 장굉이 손책 소속이 됨.
그 외
  원술 세력이 명품 ‘옥새’를 소유.
손책이 원술 소속으로 남을경우 원술 소속의 손책파 무장들의 충성심이 큰폭으로 저하.   


14. 서주 변천: 조조격노
▶ 조건
193년 7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도겸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장개가 도겸 세력 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복양, 진류, 제북을 지배하고 있음.
도겸 세력이 하비, 소패를 지배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도겸일 경우
  파견할 무장을 장개가 아닌 다른 무장으로 하면 조숭이 생존하며, 조조가 분노하지 않음.
플레이어가 유비일 경우
 도겸의 구원을 거절할 수 있음.
플레이어가 조조일 경우
 도겸토벌을 취소할 수 있음.
▶ 결과
조숭사망: 조조출진+유비구원
  세력변동
    유비 세력이 소패로 이동.
    유비와 도겸이 동맹체결.
    도겸 세력의 모든 도시에서 병력감소.
  무장변동
    장개가 재야로 변경.
    장개가 조조의 원수가 됨.
조숭사망: 조조출진+유비가 구원거절
  세력변동
    도겸 세력의 모든 도시에서 병력감소.
  무장관련
    장개가 재야로 변경.
    장개가 조조의 원수가 됨.
조숭사망: 조조 출진취소
세력변동 없음.
무장관련
  장개가 재야로 변경.
  장개가 조조의 원수가 됨.
조숭생존: 조조가 출진하지 않음 
  세력, 무장변동 없음

15. 서주변천: 유비 서다
▶ 조건
역사이벤트/ 미녀연환계: 후편이 발생하여 동탁사망.
               / 서주변천: 조조격노가 발생 했고, 조조가 도겸을 침공 유비가 구원승낙 193년 7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도겸이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도겸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여포가 재야, 또는 타세력 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복양, 진류, 제북을 지배하고 있음.
도겸 세력이 하비를 지배하고 있음.
유비 세력이 소패를 지배하고 있음.
▶ 결과
세력변동
  도겸이 사망하고 도겸 세력은 유비 세력이 흡수함.
  여포 세력이 복양, 진류에서 독립함.
  조조세력이 복양, 진류를 잃음.
    복양, 진류소속 조조 무장은 조조 세력으로 돌아옴.
무장관련
 도겸이 사망함.

16. 여포 패주
▶ 조건
역사이벤트/ 서주변천: 유비 서다가 발생했고, 193년 7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여포, 장막이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가 군주로 존재.
여포가 군주로 존재.
조조와 여포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제북을 지배하고 있음.
유비 세력이 하비, 소패를 지배하고 있음.
여포 세력이 복양을 지배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유비일 경우
  여포의 요청을 거절할 수 있음.
▶ 결과
유비가 여포를 도와줄 경우.
  세력변동
    여포 세력이 소패를 지배함.
      유비 세력은 소패를 잃음.
    유비와 여포가 동맹을 맺음(6개월)
유비가 여포를 도와주지 않을 경우.
  세력변동
    여포 세력의 지배도시가 바뀜.
      북해, 여남, 수춘이 공백지면 그 중 한 곳으로 이동함.
      북해, 여남, 수춘이 공백지가 아닐 경우 여포 세력은 멸망함.
  무장관련
    유비의 의리실적이 큰 폭으로 떨어짐.

17. 허창 천도
▶ 조건
역사이벤트/ 여포 패주가 발생했고, 195년 7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주인공이 이각이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이각이 군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세력이 진류, 허창을 지배하고 있음.(허창이 공백지여도 가능)
이각 세력이 장안을 지배하고 있음.

낙양이 공백지거나, 조조 세력이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이각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조조일 경우
  헌제를 도와주지 않을 수 있음.
▶ 결과
조조가 헌제를 도와줄 경우.
  세력변동
    조조 세력이 낙양, 허창을 지배함.
    그 외의 세력 변동이 발생함.
  무장관련
    조조의 관위가 ‘사공’이 됨
  그 외
    헌제가 허창으로 이동하고, 조조 세력이 헌제를 옹립함.
그 외의 세력변동
  공융이 플레이어 무장이 아닐 경우, 공융 세력이 멸망하고 조조 세력에게 흡수됨.
  장제가 군주로 존재하고 소속무장으로 장수가 있을 경우, 장제가 사망하고 장수가 세력을 계승함.
  장수 세력이 완으로 이동하고 홍농이 공백지가 됨.
조조가 헌제를 도와주지 않을 경우
  헌제의 소재가 낙양으로 이동.

18. 유비, 서주를 버리다
▶ 조건
역사이벤트/ 허창 천도가 발생 했고 195년 8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조표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여포가 군주로 존재.
원술이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 조표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하비를 지배하고 있음.
여포 세력이 소패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허창을 지배하고 있음.
초가 공백지거나 조조 세력이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조조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유비일 경우
  원술 토벌을 거절할 수 있음.
▶ 결과
유비가 원술 토벌에 출전할 경우.
  세력변동
    유비 세력이 초로 이동함.
    여포 세력이 하비를 지배함.
    유비와 여포가 동맹, 정전중일때 동맹, 정전이 파기됨.
    유비와 조조가 동맹을 맺음(24개월)
  무장관련
    유비의 관위가 ‘좌장군’이 됨.
    여포의 관위가 ‘주목’이 됨.
    조표가 사망함.
    진규, 진등이 유비 소속일 경우, 여포 소속이 됨.
유비가 원술 토벌에 출전하지 않을 경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19. 관우, 항복하다
▶ 조건
200년 1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원소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관우,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장료 또는 서황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초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낙양, 진류, 허창, 복양을 지배하고 있음.
원소 세력이 업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조조 또는 조조세력의 무장이 명품 ‘적토마’를 소지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원소일 경우
  유비를 받아들일지 선택가능.
▶ 결과
원소가 유비를 받아들일 경우.
  세력변동
    유비 세력이 멸망함.
  무장관련
    유비, 손건, 간옹이 원소 소속이 됨.
    관우, 감씨, 미씨가 유비 소속 무장일 경우, 조조 소속이 됨.
    장비가 재야가 됨.
  그 외
    플레이어가 유비, 관우, 장비일 경우, 서로 방문 할 수 없음.
원소가 유비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세력 변동
    유비 세력이 멸망함.
  무장관련
    유비, 손건, 간옹, 장비가 재야가 됨.
    관우, 감씨, 미씨가 유비 소속무장일 경우, 조조 소속이 됨.

20. 백마, 연진 전투
▶ 조건
역사이벤트/ 관우, 항복하다가 발생했고 200년 3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안량, 문추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공손찬, 또는 공손찬의 후계 세력이 멸망함.
원소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관우가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유비가 원소 세력소속으로 존재.
안량, 문추, 전풍이 원소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진양,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원소 세력이 업, 남피, 북평, 계, 진양을 지배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원소가 조조 토벌을 그만 둘 수 있음.
▶ 결과
원소가 조조토벌을 시작함
  안량, 문추가 사망함.
원소가 조조토벌을 하지 않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21. 손책, 죽다
▶ 조건
역사이벤트/ 손책, 출진이 발생했고 200년 5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손책이 군주로 존재.
손권, 주유가 손책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손책 세력이 여강, 건업, 오, 회계,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손책일 경우
  우길을 처단을 선택할 수 있음.
▶ 결과
손책이 우길을 처단했을 경우.
  손책이 사망하고 손권이 계승함
손책이 우길을 처단하지 않았을 경우.
  손책이 부상을 입음.

22. 관우 천리행
▶ 조건
 역사이벤트/ 백마, 연진 전투가 발생했고, 200년 5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관우가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유비가 원소 세력소속 또는 재야로 존재.
장비가 재야로 존재.
장료가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여남이 공백지일 것.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관우일 경우.
  조조 세력에 남을 수 있음.
▶ 결과
관우가 조조를 떠날 경우.
  세력변동
    유비가 여남에서 독립함.
  무장관련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무장이 유비 세력에 사관함.
    변희, 배원소가 플레이어 무장이 아닐 경우 사망함.
  그 외
    주창이 사관했을 경우, 관우와 특수 인연 ‘무신의 시종’ 상태가 됨.
    관평이 사관했을 경우, 관우와 부자지간이 됨.
관우가 조조의 밑에 머무를 경우
  세력변동
    유비가 여남에서 독립함.
  무장관련
    특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무장이 유비 세력에 사관함.
    변희, 배원소가 플레이어 무장이 아닐 경우 사망함.
    관우의 의리 실적이 큰 폭으로 떨어짐.
유비 세력에 사관하는 무장과 그 조건.
  관우
    플레어어 무장으로 조조의 밑에 머무름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사관함.
  장비
    반드시 사관함.
  감씨, 미씨
    플레이어가 관우고 조조의 밑에 머무를 경우는 사관하지 않음.
  손건, 간옹
    원소 세력소속일 경우 사관함.
  미축, 미방
    재야일 경우 사관함.
  요화, 유벽, 공도
    재야이거나 미발견 상태일 경우 사관함.
  조운, 관평, 주창
    반드시 사관함.
    단, 플레이어가 군주인 세력소속일 경우는 사관하지 않음.

23. 관도 전투: 전반
▶ 조건
역사이벤트/ 백마, 연진 전투가 발생했고 200년 7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원소, 허유, 전풍, 순우경, 여위황이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원소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순욱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허유, 심배가 원소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진류,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원소 세력이 업, 남피, 북평, 계, 진양을 지배하고 있음.
▶ 결과
변화없음.

24. 관도 전투: 후반
▶ 조건
역사이벤트/ 관도 전투: 전반이 발생하고 한달 뒤.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조조가 군주로 존재.
원소가 군주로 존재.
원소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순욱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허유, 장합, 곽도가 원소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진류,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원소 세력이 업, 남피, 북평, 계, 진양, 평원을 지배하고 있음.
▶ 결과
세력변동
  유비 세력이 여남을 지배하고 있고, 신야가 공백지일 경우 신야로 이전함.
무장관련
  허유, 장합이 조조 세력에 사관함
  전풍, 순우경, 여위황이 원소 세력에 있을 경우 사망함.
그 외
  원소 세력 모든 도시에서 병사수가 감소.

25. 삼고초려: 초반
▶ 조건
207년 11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서서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 서서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제갈량, 제갈균이 어느 세력에도 사관하고 있지 않음.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신야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건업, 오, 회계,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조조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결과
서서가 조조세력에 사관함.

26. 삼고초려: 중반
▶ 조건
역사이벤트/ 삼고초려: 초반이 발생하고 한달 뒤.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제갈량, 제갈균이 어느 세력에도 사관하고 있지 않음.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신야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건업, 오, 회계,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조조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결과
변화없음.

27. 삼고초려: 후반
▶ 조건
역사이벤트/ 삼고초려: 중반이 발생하고 한달 뒤.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관우, 장비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제갈량, 제갈균이 어느 세력에도 사관하고 있지 않음.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신야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낙양을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건업, 오, 회계,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 그 외 조건
조조 세력이 헌제를 옹립하고 있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유비일 경우
  제갈량 처소의 방문을 취소할 수 있음.
▶ 결과
유비가 방문할 경우.
  무장관련
    제갈량, 제갈균이 유비 세력에 사관함.
    황월영이 유비 세력에 사관함. (단, 플레이어가 군주인 세력 소속일 경우는 사관하지 않음.)
그 외
  유비와 제갈량이 특수인연 ‘수어지교’가 발생함.
  황월영이 사관했을 경우, 제갈량과 황월영은 부부관계가 됨.
유비가 방문하지 않았을 경우.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고 종료. (이벤트와는 별개로 제갈량을 평범한 수단으로 등용할 수 있음.)

28. 장판파 전투
▶ 조건
208년 2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유표, 미씨가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유표가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유표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관우, 장비, 조운,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미씨가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여성무장 등장일 경우.)
유기, 유종, 채모가 유표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신야를 지배하고 있음.
유표 세력이 양양, 강하, 강릉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허창, 복양, 진류, 업, 남피, 계, 평원, 낙양, 북해를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여남이나 완을 지배하고 있음.
▶ 결과
세력변경
유표 세력이 멸망하고, 조조 세력이 흡수.
  조조 세력이 신야를 지배하고, 유비 세력은 강하로 이전함.
신세력이 독립함.
무장관련
  유표가 사망함.
  미씨가 사망함.
  이적, 곽준, 상랑, 반준, 유기가 유표 세력소속일 경우, 유비 세력에 사관함.
  유반이 유표 세력소속일 경우 재야가 됨.
  감녕이 유표 세력소속일 경우 손권 세력에 사관함.
  그 외의 유표 세력소속의 무장은 조조 세력에 사관함.(한현, 금선, 조범, 유도 제외)
  하후은이 플레이어 무장이 아닐 때 사망함.
그 외
  조조 세력이 명품 ‘청강검’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조운이 ‘청강검’을 입수함.
  유비와 조운이 특수인연 ‘충렬일도’ 상태가 됨.
신세력 독립.
  한현, 금선, 조범, 유도가 사망상태가 아니고, 장사, 무릉, 계양, 영릉이 유표 세력지배하에 있거나 공백지일 때, 각각의 도시에서 독립하고 조조와 동맹상태가 됨.

29. 공명의 대설전
▶ 조건
역사이벤트/ 장판파 전투가 발생 했고, 208년 3월 이후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유비와 손권이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손권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주유, 노숙, 장소, 황개, 우번, 설종이 손권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10개 도시 이상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의 도시가 유비와 손권 세력의 도시 보다 많음.
▶ 결과
유비와 손권이 동맹채결. (60개월)

30. 공명, 화살을 낚다
▶ 조건
역사이벤트/ 공명의 대설전이 발생 했음.
▶ 플레이어 조건
플레이어가 조조, 채모, 장윤, 장간이 아님.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손권이 동맹중일 것.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손권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주유, 노숙이 손권 세력소속으로 존재.
채모, 장윤, 장간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10개 도시 이상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 도시가 유비와 손권 세력의 도시 보다 많음.
▶ 결과
채모, 장윤이 사망함.

31. 고육연환계
▶ 조건
플레이어가 조조, 채모, 장윤, 장간일 경우 역사이벤트/ 공명의 대설전이 발생 했을 것.
그 외의 플레이어의 경우는 역사이벤트/ 공명, 화살을 낚다가 발생 했을 것.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손권이 동맹중일 것.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손권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주유, 노숙, 황개, 감녕이 손권 세력소속으로 존재.
방통이 어느 세력에도 사관하고 있지 않음.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10개 도시 이상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 도시가 유비와 손권 세력의 도시 보다 많음.
▶ 선택지에 의한 영향
플레이어가 조조일 경우
  방통의 연환계 채용할지 선택가능.
 ▶ 결과
방통의 연환계를 채용할 경우.
  주유와 황개의 특수인연 ‘고육의 쌍륜’ 상태가 됨.
방통의 연환계를 채용하지 않을 경우.
역사이벤트/ 적벽대전이 발생하지 않음.
주유와 황개가 특수인연 ‘고육의 쌍륜’ 상태가 됨.

32. 적벽 전투
▶ 조건
역사이벤트/ 고육연환계가 발생 했음.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손권이 동맹중일 것.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손권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관우,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주유, 노숙, 황개가 손권 세력소속으로 존재.
정욱이 조조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양양, 강릉을 포함한 10개 도시 이상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 도시가 유비와 손권 세력의 도시 보다 많음.
▶ 결과
조조 세력의 모든 도시에서 병력감소.

33. 강릉공방전
▶ 조건
역사이벤트/ 적벽전투가 발생 했음.
▶ 플레이어 조건
없음.
▶ 타세력, 무장조건
유비가 군주로 존재.
손권이 군주로 존재.
조조가 군주로 존재.
유비와 손권이 동맹중일 것.
유비와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손권과 조조가 동맹, 정전상태가 아님.
조운, 유기, 제갈량이 유비 세력소속으로 존재.
주유, 노숙이 손권 세력소속으로 존재.
▶ 도시조건
유비 세력이 강하를 지배하고 있음.
손권 세력이 예장을 지배하고 있음.
조조 세력이 양양, 강릉을 지배하고 있음.
▶ 결과
세력변동
  유비 세력이 강릉을 지배함.
무장관련
  주유가 부상을 입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