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폰 연주 다운받기 - saegsopon yeonju daunbadgi

케니지 색소폰연주 (74곡 랜덤 모음입니다) 다운자기 집에다 심어놓았다. 사실 울릉도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만병초같나는 가족들과 함께 새로운 땅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완벽하기 이를 데 없는 케니지 색소폰연주 (74곡 랜덤 모음입니다) 다보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을 내다본다는 것은 희망을 가지고 목표를 세

다. 케니지 색소폰연주 (74곡 랜덤 모음입니다) 넷째, 갓난 아기에게 TV 시청을 버릇들이면 자폐증아가 된다.

케니지 색소폰연주 (74곡 랜덤 모음입니다)

의 모습이구나.’케니지 색소폰연주 (74곡 랜덤 모음입니다) 졌다. 나는 아이들을 보고 싶 다는 충동에 휘말려 아이들 방으로 갔다. 그리고는


색소폰 벨소리 재즈라는 이름으로 "무료 벨소리"를 신중하게 선택하십시오! 키보드를 클릭하면 좋아하는 색소폰 음악 벨소리가 한 곳에서 무료로 제공됩니다. 재즈 음악의 모든 팬을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색소폰 앱 부드럽고 섹시한 느낌. 당신이 바위와 하나의 악기를 좋아한다면,이 벨소리 응용 프로그램이 당신을위한 올바른 선택입니다! 휴대 전화에서 아름다운 벨소리를 즐기는 플레이어는 색소폰의 훌륭한 사운드를 재생합니다. 펑키 음악으로 당신의 moblie를 "멋진 벨소리"에 넣으십시오. 이 벨소리를 무료로 공유하고 휴대 전화를 강력한 음악 기계로 바꾸십시오. 벨소리 메이커, 무료 벨소리 음악 벨소리, 음악 무료 벨소리, 벨소리 무료 벨소리, 다운로드 무료 MP3 음악 벨소리!

풍모:
♫ 이것은 "Top Ringtones 2016"애플리케이션 Android 전화 및 태블릿입니다!
♫ 장치, 알림 벨소리 및 알람 소리를위한 고품질 SMS 사운드!
♫ 가장 인기있는 사운드 효과에는 톱 사운드 효과, "무료 음악 벨소리", "인기있는 노래", 무료 mp3 음악 "음성 벨소리"등이 있습니다.
♫ 쉬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 소리를 듣고 한 번만 길게 누릅니다.
벨소리, SMS 알림 알림, 알람 소리로 설정하거나 특정 연락처에 할당.
♫ "실제 색소폰 벨소리"는 가지고 있어야하는 가장 놀라운 "무료 음악 벨소리"입니다!
♫ 완전히 무료입니다. 정식 버전입니다.

색소폰 벨소리 휴대 전화 나 태블릿을위한 멋진 멜로디를 만드십시오. 당신은 매일 톤을 바꿀 수 있고 항상 셀에서 뜨거운 멜로디를 가질 수 있습니다. 탐구하고 모든 톤을 듣고 나면 나중에 즐길 수 있도록 음악 폴더에 원하는 벨소리를 배치하는 추가 옵션이 있습니다. 고품질 색소폰 음악! 이 "부드러운 색소폰 벨소리"를 연락처 목록의 특정 연락처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피아노와 색소폰 튜너는 새로운 소리로 신선한 휴대폰을 공급합니다. 기기의 "최고 벨소리"를 모두 편집하고이 색소폰 멜로디에 감탄하십시오! 휴대 전화의 음악 소리를 검색하는 경우 세련된 음악 벨소리 결정을해야합니다.

최고의 벨소리를 찾고 있다면 - 색소폰 벨소리! 당신이 모든 현대 3D ringtones에 피로한 경우에, 당신은 효과적인 ringtone 소리가있는 경우에, 조금 "차가운 대중적인 대중적인 노래"로 당신의 마음을 끊는 것이 좋을지도 모른다! 당신이 하루를 응원해야한다고 생각한다면, 재미있는 벨소리 프로를 설정할 수 있지만, 중요한 회의가있는 경우이 재미있는 소리 대신에 비즈니스 벨소리 중 하나를 선택해야합니다. 재미있는 앱은 즐거움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mp3 용 무료 앱을 다운로드하고 오래된 클래식 벨소리를 삭제하십시오. 키보드를 눌러 모바일 벨소리 Cool ringtone, 연락처 벨소리, 알람 소리 또는 SMS 사운드로 다운로드하여 설정하십시오. 당신이 사랑에 빠진다면, 낭만적 인 색소폰 벨소리가 아마도 당신의 완벽한 선택 일 것입니다. 부드러운 피아노 벨소리와 최고의 "색소폰 앱"으로 자신의 감정을 보여주세요!

면책 조항 :이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 된 음악 클립은 공개 라이센스 및 / 또는 Creative Commons 라이센스로 간주됩니다. 권리를 즉시 소유하고 있다면 삭제 될 것이라고 알려주세요!

"대니 보이", 진성의 "안동역에서", 장윤정의 "초혼", 노사연의 "바램" 등 색소폰 연주자들이 사랑하는 100여 개 이상의 곡들과, 색소폰을 멋있고 세련되게 연주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본 테크닉 레슨 제공.

색소폰 송 마스터 앱으로 평소 좋아하던 음악을 색소폰으로 쉽고 빠르게 연주해 보세요. 한 곡을 마스터 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수 있는 도구들과 함께 제공해 드립니다.

+ 곡 해석 동영상 강의
+ 기본 테크닉 동영상 강의
+ 악보
+ 반주 음악
+ 연습 도구

[쉽고 간결한 동영상 강의]

- 유튜브 색소폰 송 마스터 채널을 통해 검증된 강의
- 한 곡을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구성
- 어려운 부분을 마디 단위로 나눠서 집중 해설
- 곡 연주에 자주 사용되는 기본 테크닉들을 한 번에 하나씩 집중 강의

[콘서트급 반주음악]

- 전문 연주자가 직접 제작한 고품질 음원
- 색소폰 연주에 가장 잘 어울리도록 편곡
- 연주회/콘서트에서 반주 음악으로 사용 가능
- 컴퓨터 기계음과는 차원이 다른 고품격 음질

[강의에 맞춘 전곡 악보]

- 강의 내용에 맞춰 강사가 직접 구성
- 색소폰에 최적화된 편곡 및 표기
- 확대 이동이 자유자재

[전곡 연습 기능]

- 악보가 자동으로 넘어 가면서 현재 연주 마디 위치 표시
- 빠른 곡을 느리게, 느린 곡을 빠르게, 연주 속도 조절 가능
- 고품격 반주 음악으로 연습을 더욱 재미있게
- 선생님이 직접 연주한 가이드를 반주 음악과 같이 들으면서 연습 가능
- 집중적으로 연습하고 싶은 구간을 설정하여 계속 반복 가능

[마디 연습 기능]

- 어려운 부분을 마디 별로 따로 반복 연습
- 속도 조절, 반주 음악, 가이드 연주, 메트로놈을 활용하여 재밌고 효율적인 연습
- 연습 상황에 따라 기능을 하나씩 On/Off 가능

********

* 카카오톡 친구로 추가하시고 색소폰 송 마스터와 소식을 나눠 주세요.
http://goto.kakao.com/jw5q7sg5

********

* 색소폰 송 마스터는 유료로 운영되며 한국저작권협회의 승인을 취득하고 정해진 저작권 사용료를 지불하는 서비스입니다. 고객님께서 구매해 주신 대금으로 곡을 작곡한 원저작자, 강의를 만든 강사, 반주 음악을 만든 연주자, 동영상 촬영과 음향 작업을 한 엔지니어, 앱을 만든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 등 많은 분들이 계속 더 좋은 곡을 만들어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많지 않은 우리나라의 색소폰 연주자 수를 고려하면 유료일 수 밖에 없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구글 플레이를 통해 구입하신 곡이나 강의는 구글 플레이를 통해서만 복원 및 유지됩니다. 안드로이드 계열의 기기에서는 기존에 사용하셨던 구글 아이디를 등록하시면 구입하신 내역을 계속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 대 이상의 기기에 동시 등록 불가). 하지만 애플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는 복원이 불가능 하며 다시 구매 하셔야만 합니다.

********

* 색소폰 송 마스터 앱을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접근권한에 동의해 주셔야
합니다.

[필수적 접근권한]

1. 인앱 구매 (In-App Purchase)

앱을 통해 추가 곡 및 강의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글의 인앱 구매 시스템에 접근 해야 합니다.

2. 사진/영상/파일

연습곡와 강의의 내용을 사진/영상/파일의 형태로 기기에 저장하고 필요 시 불러 올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합니다. 또한 영상이나 오디오 파일의 경우 용량이 크기 때문에 외부 저장소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선택적 접근권한]

색소폰 송 마스터 앱은 구글(Google)이 제공하는 사용자 로그 분석 서비스인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와 파이어베이스(Firebase)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여러분이 색소폰 송 마스터 앱을 방문하여 어떻게 이용하는지 분석하는 도구를 제공함에 있어, 이용자에 대한 개인식별이 불가능한 수준의 정보(성별, 대략적인 연령대, 관심사에 관한 대략적인 정보 등)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구글은 구글 광고 쿠키, 익명 식별자, 구글 애널리틱스 쿠키 등을 이용하여 인구통계 정보 및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이용자는 앱의 설정 페이지나 구글 애널리틱스 Opt-out Browser Add-on 을 이용하여 스스로를 구글의 프로그램에서 배제(opt-out)시킬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Opt-out Browser Add-on 은 https://tools.google.com/dlpage/gaoptout/ 를 방문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저 데뷔 이후 2016년에 이르기까지의 총 판매량은 정규 앨범 1270만장 싱글 1664만장으로 총합 2934만장을 기록하고 있다. 총 판매량 수치 하나만을 놓고 단편적으로 보면 제이팝 아티스트 역대 16위에 해당하는 준수한 기록이지만 B'z나 미스치루 Glay와 같은 밴드들이 라르크의 데뷔 시점이자 제이팝 시장 규모가 신장되어 가고 있던 1994년부터 제이팝 시장 규모가 절정에 이르렀던 1999년 이 시기에 앨범 한 두개며 싱글 몇 개만 반짝 잘 파는 정도가 아니라 모든 곡을 통털어 평균 45~50만장씩을 판매해 냈던 것에 비하면 악곡의 수를 감안하여 계산한 실제적인 판매량은 같은 록 밴드인 저 세 팀에 비해서도 그렇고 타 장르 아티스트들을 포함 다른 유수의 제이팝 아티스트들에 비해서도 유난할 정도로 판매량이 쳐지는 편이다. 흔히 비교 대상으로서 자주 거론되는 Glay의 경우 저 시기에 한 악곡 당 평균 49만장 이상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고 같은 시기의 아무로 나미에 역시 1995년부터 1999년에 이르기까지 총 47개의 악곡으로 23261049장의 앨범을 판매하여 악곡 별 평균 494916장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며 B'z와 미스치루 역시 각각 평균 50만장선과 47만장선으로 거의 비슷한 정도의 판매량들을 기록한 것으로 나오는 반면 유독 라르크 앙 시엘은 저 준수한 총 판매량과는 달리 악곡 별로 나눈 실제적인 판매량은 같은 시기에 전성기를 누렸던 타 제이팝 아티스트들의 악곡 별 판매량의 평균치에 속하는 47만장의 절반에도 못 미쳤을 정도로 판매량에 있어서의 그 내실이 매우 빈약한 편에 속한다. [39]

5. 커리어[편집]

5.1. 수상 내역[편집]

수상일

수상 작품

1997.12.24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97 BEST GROUP CLIP

PV 虹(무지개)

1998.11.21

31회 일본 유선 방송 대상 최다 리퀘스트상

1998.11.21

31회 일본 유선 방송 대상

싱글 HONEY

1998.12.04

40회 일본 레코드 대상 우수 작품상

싱글 HONEY

1999.03.01

36회 골든 애로우상 음악상

1999.03.01

36회 골든 애로우상 대상

1999.03.03

1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SONG OF THE YEAR

싱글 HONEY, 花葬(화장), snow drop

1999.03.03

1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ALBUM OF THE YEAR

앨범 HEART

1999.12.07

1999년도 베스트 드레서 상

1999.12.24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99 BEST VIDEO OF THE YEAR

PV Pieces

2000.03.15

14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SONG OF THE YEAR

싱글 HEAVEN'S DRIVE

2000.03.15

14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ROCK ALBUM OF THE YEAR

싱글 NEO UNIVERSE, 앨범 ark, ray

2000.12.23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00 BEST GROUP VIDEO

PV STAY AWAY

2000.12.23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00 BEST VIDEO OF THE YEAR

PV STAY AWAY

2001.03.13

15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ROCK ALBUM OF THE YEAR

앨범 REAL

2002.03.13

16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ROCK ALBUM OF THE YEAR

앨범 Clicked Singles Best 13

2006.03.17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06 ART DIRECTION VIDEO WINNERS

PV 叙情詩(서정시)

2006

2005년도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엔터테인먼트 부문 심사위원회 추천 작품

PV 叙情詩(서정시)

2007

J-MELO Awards 1회 아티스트 1위

2008.02.22

Yahoo! 뮤직 어워드 2007 베스트 그룹 최우수상

2008

J-MELO Awards 2회 아티스트 1위

2009

J-MELO Awards 3회 아티스트 1위

2011

J-MELO Awards 5회 아티스트 1위

5.2. 각종 기록[편집]

연도

기록

1997

앨범 True로 6주만에 1위를 달성. 9주간 오리콘 TOP10을 유지하면서 등장 횟수만 110주로 롱 셀러 앨범으로 기록[40]

1997

도쿄돔 55,000석 4분만에 매진

1998

일본 최초 싱글 3장 동시 발매(세 싱글 모두 1,2,4위로 오리콘 TOP5에 진입)

1998

싱글 3장 동시 발매로 浸食(침식), 花葬(화장)은 각각 역대 오리콘 3위와 4위의 최고 초동 판매량 기록

1998

1주 간격으로 싱글 2장 연속 발매(역시 1, 2위 기록)

1999

일본 최초 앨범 2매 동시 발매 및 아시아 7개국 동시 발매(일본, 대만, 홍콩,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폴)

1999

6개소 12공연의 전국 투어 65만명 동원. 파이널 공연은 채널V를 통한 아시아 생중계로 1억명이 시청.

2000

4대 돔 투어로 40만명 동원 및 도쿄돔 공연에서는 전체 채널과 멤버별 채널로 5개 채널 생중계

2003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1개소 연속 7회 공연으로 10만명 동원

2005

통산 26장의 싱글, 8장의 앨범 합계 2500만장으로 일본 전체 아티스트 판매량 14위 기록

2005

L'Arc~en~Ciel ASIALIVE 2005 첫 내한공연 티켓 오픈 30분만에 매진

2006

결성 15주년 기념 도쿄돔 양일 110,000석 2분만에 매진

2006

초기 싱글 15타이틀 12cm화 재발매로 15싱글 모두 TOP30에 진입하여, 동일 아티스트의 TOP30 진입 기록을 새로이 갱신

2007

펜타포트 락페스티벌 일본 아티스트 사상 첫 헤드라이너 공연

2008

첫 파리 공연을 포함한 월드 투어

2011

20주년 라이브 DVD 발매 후, DVD 판매량이 밀리언을 돌파. 밴드/그룹으로는 Mr.Children(155.9만)와 B'z(143.3만) 이어 3번째 기록[41]

2012

동양인 아티스트 최초로 메디슨 스퀘어 가든 단독 공연

2012

록밴드 최초로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경기장 단독 공연

2012

2012 WORLD TOUR로 10개국 14도시 17공연으로 총 45만명 동원

2014

국립경기장 양일 16만명을 동원하여 국립경기장 사상 최다 동원 기록. 국립경기장의 마지막 단독 공연을 장식

2014

SAYONARA 국립경기장 이벤트의 헤드라이너 공연을 가지면서 국립경기장의 마지막을 장식

2015

오사카항의 인공섬 유메시마에서 최초의 음악관련 라이브로 이틀간 10만명을 동원

2017

결성 25주년 기념 공연을 도쿄돔에서 4월 8,9일 이틀간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10개국에서 라이브 뷰잉으로 진행

5.3. NHK 홍백가합전 출전 경력[편집]

연도

출연 횟수

곡명

출연 순서

1998

HONEY

11 / 25번째

1999

2

HEAVEN'S DRIVE

15 / 27번째

2000

3

STAY AWAY

15 / 28번째

2010

4

BLESS

11 / 22번째

2011

5

CHASE

09 / 25번째

5.4. CM 출연[편집]

  • NTT 퍼스널 칸사이 (1998년, DIVE TO BLUE)

  • NTT 퍼스널 칸사이 (1998년, HONEY)

  • 산토리 BOSS 7 (1999년)

  • 캐논 WonderBJ (1999년, LOVE FLIES)

  • 캐논 WonderBJ (2000년)

  • 산토리 펩시 넥스 (2010년, I Love Rock'n Roll)

  • 소니 MDR-1000X (2016년, Don't be Afraid)

5.5. 타이업[편집]

방송기간

타이틀

타이업

1994.10.07 ~ 12.23

Blurry Eyes

애니메이션 D.N.A 2기 OP

1995.04.11 ~ 06.27

Brilliant Years

닛폰 테레비 신드라 ED

1995.07.02 ~ 09.24

Vivid Colors

닛폰 테레비 구루구루 나인티나인 ED

1995.10.06 ~ 11.24

夏の憂鬱 [time to say good-bye]

TBS 테레비 M-Navi ED

1996.07.01 ~ 07.31
1996.08.01 ~ 08.31

風にきえないで

CX 맹렬 아시아 타로ED
닛폰 테레비 뮤직 파크 ED

1996.10.01 ~ 1997.03.10

flower

후지TV 프로야구 뉴스 테마송

1996.12.02 ~ 12.30

Lies and Truth

TX TOWER COUNTDOWN 테마송

1997.02.12 ~ 03.05

the Fourth Avenue Cafe

애니메이션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4기 ED[42]

1997.12.20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유신지사에게 바치는 진혼곡 OP

1998.01.14 ~ 03.11

winter fall

아사히TV 시카고 메디컬2 이미지송

1998.03.02 ~ 03.30

milky way

TBS 원더풀 테마송

1998.05.06 ~ 09.30

shout at the Devil

다이하츠공업 다이하츠 무브 "무브 에어로다운 커스텀" CM송

1998.04.08 ~ 09.16
1998.06.06 ~ 09.30

DIVE TO BLUE

TBS 특수! 예능 폴리스군 ED
NTT Personal CM송

1998.05.02 ~ 09.30
1998.06.06 ~ 09.30
2016.07.02 ~ 09.24

HONEY

TBS 슈퍼 사커 테마송
NTT Personal CM송
애니메이션 ReLIFE 4화 ED

1998.07.04 ~ 09.12

花葬

아사히TV 진상규명! 소문의 그 파일 ED

1998.07.11(공개)

浸食 ~lose control~

영화 고질라 삽입곡

1998.10.11 ~ 1999.03.21

forbidden lover

닛폰 테레비 알고있는거야?! 테마송

1998.10.13 ~ 12.22

snow drop

후지TV 드라마 달려라 공무원! POLICE WOMAN 테마송

1999.03.29 ~ 2000.09.29

What is love

BS 엑스프레스 테마송

1999.06.19 ~ 07.04

It's the end

PlayStation용 소프트 GRANDIA CM 이미지송

1999.06.30 ~ 12.19

Driver's High

애니메이션 GTO 1기 OP, 44,45화 ED

1999.07.24 ~ 09.30

Pieces

e-one 433 CM송

1999.10.16 ~ 12.11
1999.10.25 ~ 12.05

LOVE FLIES

아사히TV 드라마 파랑새 증후군 주제가
캐논 Wonder BJ CM송

1999.10.16 ~ 12.11

いばらの涙

아사히TV 드라마 파랑새 증후군 테마송

2000.01.01 ~ 03.20

NEO UNIVERSE

시세이도 립스틱 브랜드 삐에누 CM송

2000.01.22(공개)
2000.03.16 ~ 09.30

finale

영화 링 0 - 버스데이 주제가
캐논 Wonder BJ CM송

2000.01.22(공개)

hole

영화 링 0 - 버스데이 OP

2000.06.01 ~ ??

STAY AWAY

시세이도 립스틱 브랜드 삐에누 CM송
PlayStation용 소프트 격돌 토마라르크 TOMARUNNER VS L'Arc~en~Ciel CM송

2001.08.29(공개)

Spirit dreams inside

파이널 판타지: 더 스피릿 위딘 ED

2004.01.10 ~ 03.27

READY STEADY GO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 2기 OP

2004.02.25 ~ ??

瞳の住人

포케메로JOYSOUND CM송

2004.05.12 ~ 12.31

自由への招待

다이하츠 공업 MOVE CUSTOMCM송

2005.01.05 ~ 03.31

Killing Me

아사히TV Matthew's Best Hit TV ED

2005.04.01 ~ 07.23

New World

닛폰 테레비 야구 중계 프로그램 THE LIVE 2005 ED

2005.04.11 ~ 06.27

叙情詩

닛폰 테레비 슈퍼 텔레비전 정보 최전선 ED

2005.06.01 ~ 06.07

AS ONE

GyaO 사커 프리미엄 이미지 송

2005.07.01 ~ 09.30
2005.07.23(공개)

Link

포케메로JOYSOUND CM송
강철의 연금술사: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OP

2005.07.23(공개)

LOST HEAVEN

강철의 연금술사: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ED

2007.04.01 ~ 06.03

SEVENTH HEAVEN

닛폰 테레비 스포츠 우루구스 테마곡

2007.04.07 ~ 09.29

SHINE

NHK 애니메이션 정령의 수호자 OP

2007.05.16 ~ 2008.05.08

MY HEART DRAWS A DREAM

SUBARU 레가시 TV-CM 이미지송

2007.10.06 ~ 2008.01.05
2008.03.29
2009.03.29

DAYBREAK'S BELL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 1기 OP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 1기 25화 ED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 2기 ED

2007.11.16 ~ 12.25
2008.11.26 ~ 12.25

Hurry Xmas

텐진의 Xmas로 가자 2007 공식 테마송
SUBARU 레가시 TV-CM 이미지송

2008.01.31(공개)

DRINK IT DOWN

PS3·Xbox360용 게임 소프트 데빌 메이 크라이 4 테마

2008.05.09 ~ 11.25

NEXUS 4

SUBARU 레가시 TV-CM 이미지송

-

BLESS

NHK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방송 테마

2010.03.02

I Love Rock'n Roll

산토리 PEPSI NEX CM송

2011.07.02(공개)

GOOD LUCK MY WAY

강철의 연금술사 극장판 미로스의 성스러운 별 주제곡

2011.12.21(공개)

CHASE

영화 WILD7 테마송

2016.10.17

Don't be Afraid -English version-

소니 Wireless MDR-1000XCM송

2016.12 23

Don't be Afraid

바이오하자드: 더 파이널 일본 더빙판 주제가
PlayStation VR for PV Don't be Afraid -Biohazard × L' Arc-en-Ciel

5.6. 라이브 콘서트 투어[편집]

5.6.1. 인디즈 (1991~1994)[편집]

타이틀

일자

장소

비고

1991년

Live at YANTA鹿鳴館

4월 18일

YANTA 로쿠메이칸

시크릿 밴드

L'Arc~en~Ciel Live

5월 30일

오사카 난바 로켓츠

결성 후 첫 라이브

L'Arc~en~Ciel Tour '91

6월 27일
8월 2, 6, 26, 31일
9월 14, 27일
11월 5일
12월 3, 25, 31일

오사카 난바 로켓츠
YANTA 로쿠메이칸
숲의 궁전 플래닛 스테이션
十三 FANDANGO
이치카와 CLUB GIO
오사카성 야외 음악당

총 11회 공연

1992년

L'Arc~en~Ciel
VIDEO PRESENT GIG

3월 10, 16일

오사카 난바 로켓츠
신주쿠 LOFT

총 2회 공연

L'Arc~en~Ciel Tour '92

4월 5일
5월 22일
6월 12, 25일
7월 22, 24, 30일
8월 3, 5, 7, 8, 27, 29일
10월 3, 10, 11, 27일
11월 26일
12월 1, 16, 26, 28, 30일

관동, 관서 지역

총 23회 공연

1993년

SONIC GIG

3월 11일

에비스 GUILTY

華麗なる魔性

3월 14일

시부야 공회당

Subliminal Vision

5월 3일

시부야 공회당

Close by DUNE

6월 14, 15, 20, 22, 23, 25, 26, 29일
7월 1, 3일

일본 전역

총 10회 공연

Close by DUNE FINAL

8월 1일

닛신 파워스테이션

SHOCK AGE

10월 19일

시부야 공회당

록 페스티벌

Because the Night Vol.1

10월 21일

시부야 공회당

FEEL OF DUNE

11월 9, 11, 12, 14, 15, 19, 20, 27, 29일
12월 10, 12, 17, 18, 20일

일본 전역

총 14회 공연

1994년

ノスタルジーの予感

4월 3, 13, 15일

시부야 공회당
나고야시 예술창조센터
오사카 우편저금회관

총 3회 공연

5.6.2. 메이저 (1994~현재)[편집]

타이틀

일자

장소

비고

1994년

L'Arc~en~Ciel
Tour Sense of time '94

7월 14, 15, 18, 20, 22, 25
8월 3, 27일

일본 전역

총 8회 공연

L S B

8월 20일

삿포로 예술의 숲 특설 스테이지

록 페스티벌

1995년

Ciel/winter '95

1월 24, 25, 30일
2월 4일

오사카 국제교류센터
오사카 난바 로켓츠
시부야 공회당

총 4회 공연

L'Arc~en~Ciel
in CLUB '95

5월 21, 23, 26, 27, 29
6월 2, 3, 5, 7, 9, 11, 13, 14, 16, 18, 20, 21, 24, 26, 27일

일본 전역

총 20회 공연

SHOCK AGE SPECIAL '95

7월 22일

시부야 공회당

록 페스티벌

L'Arc~en~Ciel
DAY 「RendezVous」前夜祭

7월 29일

시부야 공회당

L'Arc~en~Ciel
TOUR heavenly '95

9월 8, 10, 12, 14, 16, 18, 19, 21일
10월 4일

일본 전역

총 9회 공연

L'Arc~en~Ciel
The other side of heavenly '95

12월 12, 13, 25일

오사카 베이사이드 제니
THE BOTTOM LINE NAGOYA
닛신 파워스테이션

총 3회 공연

L'Arc~en~Ciel
TOUR heavenly '95 final

12월 27일

일본무도관

1996년

L'Arc~en~Ciel
Kiss me deadly heavenly '96

4월 3, 6, 7, 14, 15, 17, 18, 23, 24, 26, 27일
5월 1, 3, 5, 6, 8, 10, 12, 13, 15, 16, 21, 23, 29일

일본 전역

총 25회 공연

L'Arc~en~Ciel
Kiss me heavenly deadly '96 REVENGE

5월 26일

도쿄 베이 NK홀

L'Arc~en~Ciel
BIG CITY NIGHTS ROUND AROUND '96

8월 26, 27일
9월 1, 3, 4일

일본 무도관
나고야 시민회관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총 5회 공연

Carnival of True Eve

12월 19일

닛신 파워스테이션

1996년 ~ 1997년

L'Arc~en~Ciel
FRESH LIGHT presents
TOUR '96~'97 Carnival of True

12월 23, 26, 27일
1월 10, 11, 13, 22, 24, 26, 29일

일본 전역

총 10회 공연

1997년

Live Tour
NIGHTMARE BEFORE CHRISTMAS EVE

12월 16, 17, 18일

아카사카 BLITZ
오사카 난바 로켓츠
우메다 HEAT BEAT

총 3회 공연
the Zombies 명의

L'Arc~en~Ciel
1997 REINCARNATION

12월 23일

도쿄 돔

1998년

L'Arc~en~Ciel
Tour '98 ハートに火をつけろ! (前半)

5월 1일 ~ 7월 21일

일본 전역

총 56회 공연

L'Arc~en~Ciel
Tour '98 ハートに火をつけろ! (後半)

9월 3일 ~ 10월 21일

1999년

L'Arc~en~Ciel
1999 GRAND CROSS TOUR

7월 17, 18, 24, 25, 31일
8월 1, 7, 8, 14, 15, 21, 22일

오사카 코스모스퀘어 특설 무대
후쿠오카 마리노아
이와테 아피 고원 스키장 특설 무대
삿포로 마코마나이 오픈 스타디움
포트 멧세 나고야 특설 무대
도쿄 빅사이트 주차장 특설 무대

총 12회 공연

L'Arc~en~Ciel
Tu-Ka PRESENTS RESET>>LIVE *000

12월 31일

도쿄 빅사이트 동관 전시장

2000년

L'Arc~en~Ciel
CLUB CIRCUIT 2000 REALIVE

10월 8, 9, 16, 17, 19, 20, 23, 24, 26, 27일

아카사카 BLITZ
Zepp Sendai
Zepp Tokyo
Zepp Sapporo
Zepp Osaka

총 10회 공연

L'Arc~en~Ciel
Yahoo! JAPAN presents TOUR 2000 REAL

11월 4, 5, 11, 12, 18, 19일
12월 2, 3, 5, 6일

나고야 돔
오사카 돔
후쿠오카 돔
도쿄 돔

총 10회 공연

2003년

Akasaka Zero day

6월 25일

아카사카 BLITZ

L'Arc~en~Ciel
Shibuya Seven days 2003

6월 28, 29일
7월 1, 2, 4, 5, 6일

요요기 제1체육관

총 7회 공연

2004년

Sony Music Fes.
2004 スペシャルライブ
L'Arc~en~Ciel
『SMILE TOUR 2004』前夜祭

5월 8일

요요기 제1체육관

L'Arc~en~Ciel
SMILE TOUR 2004

5월 11, 12, 15, 16, 22, 23, 29, 30일
6월 9, 10, 12, 13, 18, 19, 23, 24, 26, 27일

요코하마 아리나
나고야 종합체육관 레인보우 홀
센다이시 체육관
홋카이도립 종합체육센터
오사카성 홀
마린 멧세 후쿠오카
요요기 제1체육관

총 18회 공연

POCARI SWEAT BLUE WAVE
THE ROCK ODYSSEY 2004

7월 24, 25일

오사카 돔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총 2회 공연
록 페스티벌

L'Arc~en~Ciel
Live in USA

7월 31일

(미국)볼티모어 아레나

2005년

AWAKE TOUR
2005前夜祭 「今夜奇跡が起きる!?」

7월 28일

시부야 LIQUIDROOM

L'Arc~en~Ciel
AWAKE TOUR 2005

8월 6, 7, 8, 17, 18, 20, 21, 27, 28, 30, 31일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레인보우 홀

오사카성 홀

요요기 제1체육관

총 11회 공연

L'Arc~en~Ciel
ASIALIVE 2005

9월 3일(대한민국)
9월 10일(중국)
9월 24, 25일(일본)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상하이 체육관
도쿄 돔

총 4회 공연

2006년

L'Arc~en~Ciel
15th L'Anniversary LIVE

11월 25, 26일

도쿄 돔

총 2회 공연

2007년

L'Arc~en~Ciel Are you ready?
2007 またハートに火をつけろ!

6월 11일 ~ 8월 30일

일본 전역

총 39회 공연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2007

7월 28일(대한민국)

송도시민공원 대우자동차판매 부지

록 페스티벌
헤드라이너

2007년 ~ 2008년

L'Arc~en~Ciel
TOUR 2007-2008 THEATER OF KISS

12월 22, 23일
1월 9, 10, 12, 13, 30, 31일
2월 6, 7, 9, 10, 16, 17일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오사카성 홀
닛폰가이시 스포츠 플라자
요요기 제1체육관
마린멧세 후쿠오카

총 14회 공연

2008년

L'Arc~en~Ciel
TOUR 2008 L'7 ~Trans ASIA via PARIS~

4월 19일(중국)
4월 26일(대만)
5월 9일(프랑스)
5월 17일(대한민국)
5월 24일(홍콩)
5월 31일, 6월 1, 3, 7, 8일(일본)

상하이 포동원심 체육관
타이페이 중산족구장
파리 루 제니트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도쿄 돔, 오사카 쿄세라 돔

총 10회 공연

2010년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Starting Live
"L'A HAPPY NEW YEAR!"

12월 31일

마쿠하리 멧세 국제전시장

2011년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LIVE

5월 28, 29일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총 2회 공연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TOUR

9월 10, 11, 17, 18일
10월 1, 2일
11월 2, 3일
12월 3, 4일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마린멧세 후쿠오카
북해도립 종합체육센터
닛폰가이시 스포츠 아레나
오사카 쿄세라 돔

총 10회 공연

tv asahi DREAM FESTIVAL 2011

9월 23일

일본 무도관

음악 페스티벌

2012년

LE-CIEL会員限定ライブ

2월 22, 23일

요코하마 아레나

총 2회 공연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WORLD TOUR 2012

3월 3일(홍콩)
3월 7일(태국)
3월 10일(중국)
3월 17일(대만)
3월 25일(미국)
4월 11일(영국)
4월 14일(프랑스)
4월 28일(싱가폴)
5월 2일(인도네시아)
5월 5일(대한민국)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방콕 임팩트 아레나
상하이 메르세데스 벤츠 문화센터
타이페이 세계무역중심 난강전시관
뉴욕 메디슨 스퀘어 가든
런던 indigO
파리 루 제니트
싱가폴 인도어 스타디움
자카르타 Lapangan D Senayan
서울 잠실체육관

총 10회 공연

一夜限りのL'Arc~en~Ciel
Premium Night

4월 20일

시부야 LIQUIDROOM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WORLD TOUR 2012 THE FINAL

5월 12, 13일
5월 19, 20일
5월 26, 27일

닛산 스타디움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경기장

총 6회 공연

L'Arc~en~Ciel
20th L'Anniversary Year Live in Hawaii

5월 31일

하와이 호놀룰루 와이키키 셸

LE-CIEL Presents
ハワイ アン シエル Special Live

6월 1일

하와이 호놀룰루 와이키키 셸

2014년

L'Arc~en~Ciel
LIVE 2014 at 国立競技場

3월 21, 22일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경기장

총 2회 공연

SAYONARA 国立競技場 JAPAN NIGHT

5월 29일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경기장

음악 페스티벌
엔딩 공연

2015년

L'Arc~en~Ciel
LIVE 2015 L'ArCASINO

9월 21, 22일

유메시마 야외 특설 무대

총 2회 공연

2017년

L'Arc~en~Ciel
25th L'Anniversary LIVE

4월 8, 9일

도쿄 돔

총 2회 공연

2018년

L'Arc~en~Ciel
LIVE 2018 L'ArChristmas

12월 19, 20일

도쿄 돔

총 2회 공연

2020년

L'Arc~en~Ciel
ARENA TOUR MMXX

1월 9, 10, 12, 13일
1월 18, 19일
2월 8, 9일
2월 28, 29일
3월 4, 5일

오사카성홀
아이치현 국제전시장
사이타마 슈퍼아레나
요코하마 아레나 (팬클럽 한정)
국립 요요기 경기장

총 12회 공연
→ 총 8회 공연[43]

2021년

L'Arc~en~Ciel
30th L'Anniversary Starting Live
"L'APPY BIRTHDAY!"

5월 29일, 30일

마쿠하리 멧세 국제전시장

총 2회 공연

L'Arc~en~Ciel
30th L'Anniversary TOUR

9월 5, 7, 8일
10월 2, 3일
10월 6, 7일
10월 15, 16일
10월 22, 23일
12월 4, 5일
12월 9, 10일
12월 22, 23, 25, 26일

오사카 성 홀
마린멧세 후쿠오카
일본 가이시 홀
아이치현 국제전시장
마쿠하리 멧세 국제전시장
사이타마 슈퍼아레나
요코하마 아레나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 1 체육관

총 19회 공연

2022년

L'Arc~en~ciel
30th L'Anniversary LIVE

5월 21일, 22일

도쿄 돔

총 2회 공연

6. 여담[편집]

6.1. L'Arc~en~Ciel VS GLAY?[편집]

  • 일각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Glay와 전성 시절 동급의 라이벌 관계였다는 말을 하기도 하나 사실 이런 평은 적절치가 못한 것이 실제 저 당시 두 팀의 앨범 판매량이며 라이브 콘서트 투어 규모에서는 그 차이가 거의 두 배 혹은 그 이상에까지도 이를 정도로 매우 커다란 격차가 있었다. 데뷔 시점부터 두 팀의 전성 시절로 일컬어지는 1999년까지의 앨범 판매 기록과 라이브 투어 기록을 살펴보면 해당 기간 동안 양팀의 앨범 총 판매량은 Glay가 32746389장 라르크 앙 시엘이 19430191장으로 약 1.7배에 가까운 차이가 났었고 악곡의 수를 감안하여 계산한 실제적인 판매량은 Glay가 한 악곡 당 496157장 라르크 앙 시엘이 한 악곡 당 234099장으로 약 2.1배에 가까운 차이가 났었으며 라이브 콘서트 투어의 규모는 Glay가 연간 최대 120만 규모 라르크 앙 시엘은 연간 최대 60만 규모로 약 2배에 가까운 차이가 났었는데 보다시피 이는 동등한 라이벌 관계라는 평이 도저히 성립이 될 수가 없을 만큼의 커다란 격차로서 당시 투 팀이 구가하던 인기의 격차는 매우 현격했다.

  • 데뷔 이래 전성 시절 동안 두 팀 사이에는 음반사의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하여 서로가 라이벌 관계라는 그런 류의 이야기가 자주 거론되었었는데 저 라이벌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한 때는 양 팀 팬들 간의 대립이 과거 H.O.T.와 젝스키스 팬덤들 사이에서 벌어지던 그것 조차 저리가라 할 정도로 꽤나 치열했었다고 한다. 여튼 시간이 지나 저 당시 두 팀 사이에서 행해졌던 라르크 앙 시엘 VS 글레이 라이벌 마케팅의 여파는 결과적으로 라르크 앙 시엘 측의 이미지에 있어 보다 더 플러스가 되는 그러한 방향으로 작용이 되었고 또 유지가 되었다.[44] 근데 사실 저러한 라이벌 마케팅 행보를 통해 보여주기 식으로 내세우던 것들과는 달리 실제 라르크와 글레이 멤버들은 예전부터 꽤 친한 사이였다. 인디즈 시절의 타쿠로는 라르크의 As if in a dream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타쿠로와 테루는 2005년에 라르크 내한공연을 보기 위해 몰래 한국까지 방문했으며 JACK IN THE BOX 2007에 초대받아 하이도와 함께 글레이의 히트곡 誘惑(유혹)과 라르크의 히트곡 HONEY를 열창했다. DAIGO의 결혼식에는 하이도가 보컬, 글레이 멤버 전원이 세션 밴드로 서서 함께 축가를 불러주었고, HALLOWEEN PARTY에서는 2013년에는 테루와 타쿠로가, 2014년에는 타쿠로와 히사시가 초청받기도 했다. 하이도는 SNS를 통해 글레이 멤버들과 사석에서 술을 마시는 사진을 올렸다. 2017년, 히사시가 방송에서 1990년대 활동 당시 라르크의 곡을 좋아했지만 음반사의 라이벌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그 마음을 밖으로 표현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6.2. 그 외 기타[편집]

  • 일본 현지에서는 라르크 팬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도에루(ドエル)'가 있다. 이전에는 '라르오타(ラルオタ)'도 함께 썼으나, 오타쿠에 대한 안좋은 뜻 때문인지 테츠야가 '도에루'만 쓸 것을 명령요청했다. 물론 한국에서도 도에루와 함께 라르오타와 비슷한 뜻인 '라덕'이란 말을 쓰고 있다.

  • 코어팬이 많은 아티스트치고는 팬층의 성비율이 비교적 고른 편이고 세대교체도 잘되는 몇 안되는 중견급 아티스트다. 전성기 시절에는 여자팬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2004년 전후로 남자팬도 많이 늘어났으며, 젊은 팬들은 2007~2008년에 많이 유입되었다 한다. 라르크와 같은 시대에 활동한 아티스트들의 최근 라이브를 보면 꽤 중년 코어팬들이 많이 보이는데 비해 라르크는 젊은 코어팬들이 비교적 자주 보이는 편이다.

  • 국내에도 팬이 상당히 많은 록밴드. 국내판 베스트 앨범에는 국내 팬들이 선정한 베스트곡 2곡이 추가되어 발매되기도 하였고,[45] 국내 인기에 힘입어 내한 공연만 4번이나 하였다. 멤버 전원이 작사, 작곡을 하는데 워낙 뛰어난 멜로디 메이커들이라 이들의 음악팬도 남녀 구분이나 한쪽으로 편중되는 점이 없는게 특징. 애니메이션 관련으로 싱글컷이 된 곡들이 히트하며 일본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국내에서 잘 알려진 애니메이션 곡으로는 Driver's High(GTO), READY STEADY GO, Link 外(강철의 연금술사), DAYBREAK'S BELL(기동전사 건담 00), SHINE(정령의 수호자)등이 있다.

  • 세계적인 재패니메이션 붐으로 인지도가 높은 편이며 2004년 볼티모어 OTAKON에 초청되어 최초의 미국공연을 성공리에 마쳤다. 20주년 콘서트는 세계 각국의 영화관에서 생중계되고 있었으므로 영어, 프랑스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로 인사를 했다.[46] 프랑스 공연 때는 그들의 공연 며칠 전부터 팬들이 공연장 앞에서 노숙을 하면서 줄을 서있는 것이 프랑스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2005년 9월 3일, 2008년 5월 17일 서울 올림픽 공원 체조경기장, 2012년 5월 5일 잠실 실내 체육관에서 세 차례 내한 공연이 있었다.[47] 2007년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당시에는 일본의 밴드가 해외의 락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이너로 출전하는건 처음이라, 일본 언론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 라르크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연예인의 연예인 축에 속한다. 일본에는 Acid Black Cherry의 yasu[48], BREAKERZ의 DAIGO, 키타가와 케이코[49], GLAY[50], NEWS의 테고시 유야, GACKT[51], 아오키 류지[52], 코무로 테츠야[53], Yoshiki[54], 쿠리야마 치아키[55]카노 에이코[56], 스피츠의 보컬 쿠사노 마사무네[57], 토가시 요시히로[58],야자와 아이, 신조 마유[59], AKB48의 와타나베 마유[60], 키시단의 아야노코지 쇼, SID의 마오[61], 오오츠카 아이[62], 범프 오브 치킨[63] 등이 있다. 국내에는 EXO의 찬열[64], 슈퍼주니어의 희철[65], JYJ의 김재중[66], 장근석, FT아일랜드의 오원빈[67], 샤이니의 종현, NCT의 유타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SM 연예인이나 SM 출신들이 많이 좋아하는 편.

  • 언더 시절에는 하이도가 잡지에 공동 연재를 할 정도로 쿠로유메의 키요하루와 친분이 있었으나, 메이저 데뷔 후 애니메이션 노래 등을 많이 부르게 되자 키요하루가 이를 신랄하게 까는 바람에 사이가 틀어졌다는 루머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카더라가 왜곡되고 또 왜곡되어 마치 사실인마냥 알려졌던 이야기로 당시에는 밴드의 활동범위나 방향이 달랐기 때문에 교류가 끊겼던 것 뿐이었다. 이후 하이도의 할로윈 라이브에 참여할만큼 돈독한 관계를 회복했다.(서로 파자마 선물 등 부녀자 자극 요소가 꽤 있었다) 하이도와 키요하루와 사이가 안좋다는 루머는 라디오를 통해 확실하게 아니라고 언급하였으며, 과거부터 퍼포먼스 위주의 보컬이었던 자신과 달리 보컬로서 충실한 칠색의 노래실력이 부러웠고 자신은 메인스트림과 언더그라운드의 중간에 있지만, hyde는 메인스트림의 록스타라며 그 대단함에 대해 극찬했다. 이후 VAMPS 활동에서 키요하루의 SADS와 공연을 하였다. 개썅마이웨이인 키요하루의 성격 상 라르크는 거의 키요하루와 동년배 밴드맨들 중에서 유일하게 사이가 좋은 사람들이다. 라르크와 함께 예외라면 X-JAPAN의 Yoshiki와 LUNA SEA의 SUGIZO 정도. 켄이 대학생일때부터 알게되어서 켄이 키요하루의 첫번째 앨범에서 기타를 쳐준 적이 있고, 키요하루는 리더 tetsuya를 극찬한 적이 있다.

  • 초기에는 당시의 여느 일본밴드와 다르지 않게 메르헨한 느낌을 가진 UK락과 글램록의 성향을 띄었으나, 전성기 시절부터 하드록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장르를 도입하며 자신들만의 음악적 세계관을 구축했다. 이들이 음악적으로나 음악외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밴드는 DEAD END이다.

  • 음악적 변신을 거듭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상업적 측면에서는 99년 시절 ark와 ray 앨범을 동시발매했을 때가 전성기였다는 평.

  • 데뷔 이래 활동기 내내 지속적으로 이런 저런 색다른 시도들을 많이 해왔던 편으로 전성기 시절이었던 1998년에는 같은 시기에 데뷔한 GLAY와 함께 당시로서는 이례적이었던 싱글 동시 발매 전략을 폈고[68] 이듬해에는 앨범 2개 동시 발매라는 역시 색다른 행보를 보여주기도 했다. 그 외에도 발매될 싱글의 TV CM에 자신들이 등장하지 않고 공익광고나 정치인의 기자회견과 같은 형태의 다소 보기드문 형태의 CM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2011년 싱글 'XXX'의 프로모션에서 또한 유명인의 스캔들을 다루는 '프라이데이'와 협력해 보컬 hyde와 나머지 멤버들 간의 밀회를 기사로 내보내는 충격적인 프로모션을 펼치기도 했다.[69] 이어 2012년에 발매한 앨범 'BUTTERFLY'의 광고에서는 유명 가수 키무라 카에라의 동명곡 'Butterfly'의 뮤직비디오와 노래가 라르크의 뮤직비디오와 번갈아가며 나오고 정작 본인들의 수록곡은 한번도 흘러나오지 않는(?) 색다른 앨범 광고로 또 눈길을 끌기도 했다.

  • 멤버들 전원 모든 포지션 체인지가 가능하다. 밴드맨을 하면서 모든 악기를 다룬다는 것은 그렇게 드물지는 않은 일이지만 무엇보다 솔로 활동의 경험이 풍부하여 모두 보컬 플레이도 가능하다. 그런 멀티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만들 수 있었던 프로젝트 유닛이 P'UNK~EN~CIEL이다. P'UNK~EN~CIEL[70]은 밴드의 기존 곡들을 어레인지한 뒤 각 멤버들의 역할을 서로 바꾸는 형식. 보컬의 T.E.Z P'UNK(tetsuya), 기타의 HYDE P'UNK(hyde), 베이스 YUKI P'UNK(yukihiro), 드럼의 KEN P'UNK(ken)를 맡고 있다. 2004년 自由への招待부터 2011년의 GOOD LUCK MY WAY에 이르기까지 과거의 노래들을 위의 포지션으로 펑크버전의 편곡을 하여 싱글의 커플링 곡으로 발매하고 있다. 이렇게 편곡한 곡들은 2012년 새 앨범(BUTTERFLY) 초회한정반에 들어가는 보너스 디스크 형식으로 출시되었다.

  • 1999년 팝잼(MUSIC JAPAN 개편 이전의 명칭)에 출연하여 사전녹화로 HEAVEN'S DRIVE를 포함 두 곡을 연주하기로 되어있었으나 첫번째 곡을 마친 시점에서 돌아가버렸다는 내용이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된 적이 있다. 당시 MC들이 라르크 앙 시엘을 비주얼계라고 소개한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있다.[71] 후일 tetsuya의 해명에 의하면 원래부터 두 곡을 연이어서 연주할 예정은 없었다. 그러나 멤버들과 소속사, 방송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들의 의견이 MC들에게까지는 전달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그들을 비주얼계라고 잘못 지칭하는 일이 발생하여 이대로는 기분좋게 연주를 할 수 없다는 판단에 스태프와의 회의를 거쳐 첫 번째 곡만 연주하기로 결정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 것이며 절대 무단으로 이탈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한 자신들을 비주얼계라고 지칭한 MC들에게 화가 난 것이 아니라, 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한 소속사를 비롯한 환경에 화가 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비주얼계라는 용어에 대해서 tetsuya는, 밴드를 음악이 아닌 외견으로 판단하는 차별용어라고 한 바 있다. '자신들의 음악을 제대로 들어주지 않는다는 증거'라나. 그러나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tetsuya가 비주얼계라는 장르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여담으로 이 사건은 '테츠 팝잼 사건'이라 불린다.(영상)[72] 본인들의 이러한 관점이나 음악적 행보의 변화 때문인지, 현재는 비주얼계로 인식하는 이는 거의 없다. 이와는 별도로 '라르크 앙 시엘은 비주얼계라고 호칭되는 것을 싫어한다.'라는 인식에 대해 hyde는 당시에는 비주얼적으로도 눈에 띄지 않으면 곡 그 자체를 들려주기 힘든 경향이 있었고 그런 부분에서 자신들을 비주얼계라고 인식한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중요한 것은 tetsuya의 말에 의하면, 라르크가 초기에 화장하고 다닐 당시, 비주얼 계란 용어 자체가 없었다고 한다.[73]

  • 그러나 당시 일본락계를 보면, 비단 라르크뿐만이 아닌 동세대의 LUNA SEA, 한두 세대 위의 BUCK-TICK과 X JAPAN 혹은 더 올라가 DEAD END 등을 보아도 이미 화려한 화장과 중성적인 이미지메이킹을 앞세운 밴드는 여럿 존재했고, 이미 일종의 경향 내지는 하위 씬을 형성하고 있었다.[74] 비록 당시는 정확히 비주얼계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해도, '화장밴드', '흑복계' 등으로 불리던 스타일이 현재 비주얼계로 불리는 밴드들의 효시임을 생각하면, 당시 흑복, 화장, 중성적 이미지를 모두 갖추고 있었던 라르크가 훗날 비주얼계라고 지칭되는 것도 무리는 없는셈. 실제로 위에 언급한 동세대 및 앞서 활동한 팀들도 비주얼계와의 연관성을 크게 부정하지 않는 편이며 각종 비주얼계 이벤트성 공연에도 다수 참가해오고 있다. 물론 후기 비주얼계가 외모만 앞세운 나머지 음악적 내실은 갖추지 못한 팀들의 난립에 의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얻게 되자 '탈비주얼' 선언을 한 밴드도 여럿 있긴 하다. 그러나 단순히 '당시는 비주얼계라는 말 자체가 없었거든요?'라는 이유로 비주얼계와 초기 라르크의 연관성을 철저히 부정하려는 듯한 tetsuya의 주장은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이러한 이유로 불쾌감을 표출하며 무단이었든 스탭과의 상의를 거쳤든 당초 약속된 두 곡을 부르지 않고 한 곡만 부른채 돌아간 라르크의 행동은 프로뮤지션으로서의 자세를 갖추지 못한 미성숙한 행동이며, 당시 인기를 등에 업고 방송가에 휘두른 갑질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2011년 10월에 발매한 싱글 XXX부터는 P'UNK~EN~CIEL의 곡을 하지 않고 -L'Acoustic ver-이라는 이름으로 과거의 곡들을 편곡하여 c/w로 발매되고 있다.[75]

  • 하이도, 켄, 테츠야가 킨키 지방 출신이어서 칸사이벤이 심한 편이다. 방송은 물론이고 라이브 MC에서도 사투리가 자주 나오며 오사카에서 공연할 때가 제일 심하다. 한 때, 도쿄 출신인 사쿠라가 하이도의 사투리 교정에 들어갔지만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하이도 본인은 표준어를 잘쓴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칸사이벤이 무의식적으로 섞인 표준어를 구사한다.

  • 황혼기에 접어들었을 때부터 음악 방송에는 잘 나오지 않지만 뮤직 스테이션만큼은 왠만하면 출석하는데[76] 항상 4명 다 올 블랙 의상에 선글라스까지 끼고 나와 엄청난 포스를 풍긴다. D'Ark~en~CIel 심지어 타모리가 말 시키기 전까지는 말도 안하고 맨날 구석에서 조용히 오라를 풍기고 있으니 건들면 정말 다칠 것 같다. 하지만 그 속에는 켄의 개그본능과 하이도의 사투리섞인 재치있는 입담으로 무장한 친근한 이미지가 숨겨져 있다. 유키히로는 컨셉과 일치하게 거의 말을 안한다

  • 리더인 테츠야를 제외한 하이도, 켄, 유키히로에 사쿠라까지 다 흡연자였으며 잡지 화보에는 항상 손에서 담배가 빠지지 않았다. 간접흡연 최대의 피해자 테츠야 특히 켄은 도쿄돔에서 유일하게 흡연할 수 있도록 허가된 사람이다. 하지만 지금은 하이도와 유키히로는 금연에 성공하고, 금연에 실패한 켄이 유일한 흡연자다.

  • 테츠야가 밴드결성 당시 하이도를 영입한 일화는 꽤 유명하다. 하이도의 특출난 외모와 음색이 보컬로서 적임이라 생각했던 테츠야는 예루살렘 로드의 라이브에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찾아가 하이도에게 "오늘은 어때?" 라고 계속 안부 인사를 물었고 테츠야는 이를 짝사랑이라 표현했다. 테츠야는 예루살렘 로드가 해산하자마자 하이도와 세션 일정을 잡고 라르크를 결성했다.

  • 업계에서는 모범생 밴드로 유명하다. 전 멤버 사쿠라의 치명적인 "약물문제"로 휴지하는 동안에도, 그 사이에 다른 멤버가 대학에 다녀 단위를 따거나, 곡을 모아 놓고 나중에 3곡 동시에 발매하는 등 꽤 빈틈없이 하고있다. 그리고 록밴드라 하면 마약, 술, 담배, 여자와 결코 떨어지지 않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라르크 앙 시엘은 팝잼사건 때문에 더더욱 나쁜 쪽으로 오해받기 쉬운 케이스. 하지만 겉모습과 반대로 리더 테츠야는 원래부터 담배를 피지 않고, 드러머 유키히로는 술은 일절 마시지 않는다. 보컬 하이도는 멤버 중에서 가장 먼저 가정을 이루었고, 켄도 학생 시절에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한다. 켄은 학창 시절 당시에 모범생으로 유명했으며, 입시 생활때문에 밴드를 잠시 그만두고 공부에 매진했던 적도 있었다. 하이도의 경우에는 입시에 있어서는 모범생은 아니지만 조용하게 학교 생활을 보냈으며, 전성기 시절에는 노래가 만들어지면 초등학교 은사에게 CD를 보내드리고 의견을 물어보는 일화가 유명하다. 그리고 하이도는 연예계에서 이름난 효자로 손꼽힌다. 음방 토크쇼를 보면 가끔 부모님과의 에피소드를 밝히기도 한다.

  • 전성기 시절에는 만화를 찢고 나온듯한 하이도의 외모탓에 대해 혼혈설, 성형설 등의 말이 많았다. 하지만 하이도의 과거 사진, 하이도의 부모님 사진이 공개됨에 따라 이 근거없는 소문은 자취를 감춘다. 하이도는 혼혈이 아니며 오키나와 문명권에 있는 가고시마 아마미 군도 기카이지마 출신의 아버지의 외모를 많이 닮은듯 보인다.[77] 하이도의 외모가 가끔 달라보이거나 외국인처럼 보이는 것은 안그래도 서양인처럼 쌍커풀이 유독 짙은데다 눈썹, 렌즈, 화장의 영향이 꽤 크다. 특히 눈썹을 다듬냐 안다듬냐에 따라 하이도의 외모가 엄청나게 달라진다. 메이크 업을 풀면 전형적인 동양인 미남의 외모. 굳이 성형을 했다고 한다면 2007년에 치아 교정을 했다는 점.

  • 2015년 7월경에는 TETSUYA의 팬클럽인 CELUXE의 창단 이벤트, CELUXE NIGHT에서 원년 멤버인 hiro와 pero와 함께 무대를 가지기도 했다. 탈퇴 이후 22년만에 함께 한 첫 무대였다. hiro와 pero는 여전히 Ange∞Graie에서 활동하고 있다.

  • 1998~2000년 초까지 하이도가 낀 철조망 목걸이가 사실 사쿠라의 탈퇴 후, 집행유예 기간동안 꼈다는 소문이 있는데 날짜는 거의 들어맞으나 정확한 사실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

  • 라르크의 뮤직 비디오에서는 '나비'가 수시로 등장한다. 짧게는 싱글 flower부터 시작해서 虹(무지개), 浸食(침식), HEAVEN'S DRIVE 그리고 11번째 앨범은 아예 제목이 BUTTERFLY이다. 그리고 거의 최근 라이브인 월드 투어에서는 HONEY를 부를 때 스크린에 아예 나비가 나온다. 영화 감독 샘 레이미의 작품마다 등장하는 노란색 자동차처럼 라르크만의 이스터에그라고 볼 수 있다.

  • 켄이 타모리의 열렬한 팬으로 유명하다. 켄과 같이 타모리도 상당한 댐 덕후다. 뮤직 스테이션에서는 타모리와 1분넘게 댐 이야기만 할 정도(..) 구글에서 '라르크 켄 토크'로 검색하면 볼 수 있다. REAL때는 타모리에게 기타를 선물받아 그걸로 a silent letter를 작곡했는데 임시제목도 타모리 송(タモソング)이었다. 타모리가 진행하는 와랏테이이토모에도 출연하고 타모리구락부에도 1년에 1번씩 켄이 정기적으로 출연을 한다.

  • 2014년 8월 13일, 국립경기장 공연에서 선 공개한 EVERLASTING을 기간한정 발매형식으로 발표했다. 이후에는 음원 출시.(#)

  • 2012년 월드 투어가 끝나고부터 현재도 다음 월드투어 개최지에 대한 투표가 몇년째 이루어지고 있다. 2012년 6월 1일 이후로 개설된 사이트이므로 시간나는 도에루들은 가서 투표 한 번씩 할 것을 추천한다. 언제 열릴지 모르지만 링크

  • 이들을 대상으로 일러스트를 그리는 일본인 일러스트레이터가 많은 편이다.[78]그래서 일본에서는 2016년 3월부터는 매월 7일, 17일, 27일 22시부터 23시까지 전력 60분을 트위터에서 진행했다. 해시태그는 #ラルク版深夜の真剣お絵描き60分一本勝負. 100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2017년 5월경 해체가 언급될 정도로 멤버들 사이의 불화가 심각하다는 루머가 돌았었다. 그러나 100% 신뢰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기사1, 기사2 라르크 팬들도 예전부터 수많은 루머를 접하면서 내성이 되었는지라 하이도피셜이 아니면 왠만해선 믿고 거르는 분위기였다.[79] 이와 관련하여 hyde의 인스타그램에 "VAMPS 투어 중이라도 라르크 라이브 체크해야 한다. 도에루(라르크 팬을 지칭)가 정말로 귀여워서 웃음이 나온다. 이 녀석들을 위해서 내가 라르크를 계속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다."라며 해산설을 일축했다. 그리고 스포니치에 기사화되어 많은 팬들이 안심했다.(#)

  • 2017년 12월에 열린 hyde의 연말 팬미팅인 쿠로미사에서 VAMPS 휴지 이후에 대한 답변을 하던 도중 라르크에 대해 언급되었다. 하이도는 '모두가 라르크의 활동을 기다리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혼자서는 어떻게 할 수 없다'며 2018년에도 라르크의 휴지가 계속됨을 못박았다. 사실 휴지라고는 하지만 황혼기에 접어든 수많은 밴드처럼, 해체만 하지 않고 몇년 주기로 간간히 활동만 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형태이다.

  • 2019년 10월부터 유튜브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자신들의 콘서트 영상이나 뮤직비디오 영상이 업로드 되고있다. 대부분의 뮤직비디오는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한 회원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결성 당시에는 tetsu.[2] 정확히는 프랑스어로 무지개는 하이픈으로 이어진 arc-en-ciel이고, 밴드명은 물결표로 표기되며 정관사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 발음은 라르크 앙 시엘 혹은 라컹시엘.[3] 짙은 메이크업을 탈피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장발을 자르고 평범한 의상으로 바꾸는 등의 단계[4] 후술하겠지만 이들이 인디즈에서 활동했던 당시에는 비주얼계라는 용어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다.[5] 공식 멤버 호명 순서[6] 코어 팬들은 가사, 노래만 듣고도 누가 작사, 작곡을 했는지 알 수 있다.[7] L'Arc~en~Ciel 활동 한정. hyde의 경우 솔로 활동 시에는 대문자 HYDE를 사용하는 등 표기를 달리하고 있다.[8] 원래 발음은 '하이드'가 맞으나 50음도에 따라 '하이도'로 발음한다.[9] 하이도의 할아버지부터 부모님까지는 가고시마현 아마미 제도 기카이지마 출신이다.[10] 坂フェチ. 2005년 뮤직파이터에서 흥분할 정도로 좋아한다고 말한 바 있다.[11] HONEY, HEAVEN'S DRIVE, I'm so happy, いばらの淚, 死の灰, Spirit Dreams Inside, "good-morning Hide"[12] LORELEY, Ophelia[13] flower[14] It's the end[15] Perfect Blue[16] Promised land 98년 공연, REVELATION 25주년 공연[17] STAY AWAY-formation A[18] VAMPS는 현재 활동중단 상태[19] 일본인 사상 2번째로 후버 댐을 보러간 일화는 유명하다.[20] 라르크를 탈퇴한 sakura가 드러머이다[21] 빌딩을 보러 가기 위해 홍콩이나 뉴욕도 간다. 현재, 빌딩 페티쉬에서 발전해 부동산 사업까지 하고 있다. 덕업일치[22] tetsuya 본인이 코러스를 통해 hyde의 호흡할 시간을 만들어주기도하지만, 코러스가 없는 곡에서는 무척 힘들어하는 hyde의 모습을 볼 수 있다.[23] DIVE TO BLUE, snow drop, bravery, finale, Time goes on, 瞳の住人(눈동자의 주인), 自由への招待(자유로의 초대), 砂時計(모래시계), 海辺(해변), NEXUS 4, GOOD LUCK MY WAY 등의 곡들은 물론, 자신의 솔로 곡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24] 라르크 최초의 애니메이션 타이업 곡인 Blurry Eyes 또한 작곡.[25] 업계 내에서도 개성이 강한 독특한 베이스라인의 연주자로 평가받으며 주목받았다. 테츠야의 솔로활동을 비롯해 abingdon boys school 등의 유명 뮤지션들의 베이스 세션을 맡았던 IKUO도 그의 베이스라인을 까다로워 했다고 한다.[26] 연주가 피크 피킹을 위주로 하는 타입인데 연주를 업다운 피킹이 아닌 올다운 피킹을 주법으로 사용 이걸로 속주도 가능하다.[27] 쉽게 자신의 연주를 카피하지 못하도록 의도한 것이라는 설도 있었다.[28] 라이브에서 베이스부터 시작되는 곡은 대표적으로 In the Air와 STAY AWAY가 있다.[29] 그의 본명이 오가와 테츠야인줄 알고 있었던 팬들을 카오스상태로 만들었다. 개명의 이유로는 소속사인 MAVERICK에서 오랫동안 스텝으로 있었던 코멧토(콘도 타쿠야)가 교통사고로 죽자 그를 기억하기 위해서 그의 본명에서 한 글자를 받아와 tetsuya로 개명했다. 개명을 하기 전에 멤버들에게 의견을 물었는데 만장일치로 통과했다고 한다.[30] 덕분에 tetsuya의 이름을 딴 반다이 MS IN ACTION 브랜드가 존재했었다. tetsuya가 직접 디자인한 데칼 부착 버전으로.[31] L'Arc~en~Ciel의 마케팅 부분을 도맡고 있고 개인 레이블 SPROUSE 사장이었다.[32] 직각을 보면 긴장감이 생겨서[33] 라르크의 유키히로 작곡이나 솔로 공식 표기는 '대부분' 소문자다. 큰 글자도 있고 작은 글자도 있어 들쭉날쭉한 디자인같아서 그냥 좋아한다고. 대문자는 높이나 크기도 비슷해서 재미가 없다고 한다.[34] https://japanrocks.files.wordpress.com/2010/12/yukihiro-pearl-mx-standard-maple-pure-white-lacquerremo-roto-tom-2.jpg[35] 유키히로 영입 이후 98년에 발매된 싱글들에서 그런 과도기의 흔적들을 볼 수 있다. 곡들의 장르가 되도록 겹치지 않는 양상을 띄고 있는데, 그 와중에도 곡 퀄리티는 잃지 않아 라르크의 인기가 수직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다.[36] REVELATION과 DRINK IT DOWN. 특히 REVELATION에서 반려된 멜로디를 acid android의 it's a fine day에 넣었다고 한다.[37] New World, trick, get out from the shell, a swell in the sun은 hyde와 공동작곡이다. shade of seasons는 ken과의 공동 작곡[38] 특히 I'm so happy의 코러스로 유명했다.[39] GLAY가 1994년부터 1999년에 이르기까지 총 66개의 곡으로 32746389장을 판매해 악곡 당 평균 496157.409091장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며 같은 시기의 B'z가 67개의 곡으로 33689344장을 판매해 악곡 당 평균 502826.029851장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며 미스터 칠드런이 1994년부터 2001년에 이르기까지 총 79개의 곡으로 36975017장을 판매해 악곡 당 평균 468038.189873장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며 아무로 나미에의 경우도 1995년부터 1999년에 이르기까지 총 47개의 곡으로 23261049장을 판매해 악곡 당 평균 494915.93617장을 판매한 것으로 나오며 라르크 앙 시엘은 1994년부터 1999년에 이르기까지 총 83개의 곡으로 19430191장을 판매해 악곡 당 평균 234098.686747장 정도를 판매한 것으로 나온다.[40] 이런 역주행 신화로 브레이크한 사례는 비즈, 미스치루, 도리카무 이후로 유일[41] VHS 총매상 역시 100.9만장을 기록하여 VHS+DVD 판매량은 더블밀리언 기록.[42] sakura 체포로 취소[43] 코로나19로 인해 요코하마, 요요기 공연 취소[44] 저 당시에 행해졌던 라이벌 마케팅을 통해 형성된 전성 시절 양대의 라이벌이라는 이미지로 인해 대중들 사이에서는 실제 저 두 팀이 당시 누구 하나 서로에게 크게 밀리는 바가 없었던 동급의 1대1 라이벌 관계였다고 그렇게 알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45] CD화 되지 않은 곡 Anemone가 수록되어 있는 유일한 앨범이었으나 현재 Anemone는 QUADRINITY에도 수록되어있다.[46] DVD에서 hyde가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자 객석에서 한국인 관객이 한국말로 되받아주는 음성이 잡힌 것도 백미[47] 2008년 공연에는 GLAY의 멤버 테루, 타쿠로가 관람하였다.[48] 같은 오사카 출신 록커로서 동경하기 시작했다 한다.[49] DAIGO의 영향이 가장 큰듯;;[50] 인디시절 As if in a dream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51] 라이브에서 라르크 곡을 커버하기도 했다[52] 하이도 모노마네로 유명하다.[53] 매출을 신경쓰지 않고 하고싶은 음악을 마음껏 하는 라르크의 순수한 음악정신이 마음에 든다고 하였다. 98년에는 라르크의 싱글 3장 동시발매에 영향을 받아(인터뷰에서 직접 언급) 싱글 4연속 발매를 했다.[54] 라르크를 매우 마음에 들어해 인디시절에 EXTASY RECORDS로 영입하려 하였다. 영입에 실패하자 GLAY를 데려왔는데 GLAY에게 너희들은 라르크 대타라는 망언을..[55] 꽤 예전부터 라르크의 팬으로 유명했다.[56] 고등학교때 등하교를 하면서 매일 라르크의 노래를 들었다고 한다[57] 잡지에서 여러번 라르크에 대해 언급했다[58] 그랜드 크로스 라이브에도 갔으며 라르크의 캐리커처를 그렸다. 2000년에는 직접 만났다고 한다. 클로로의 모델이 hyde라는 것은 유명한 사실[59] Blurry Eyes 때부터 좋아하기 시작해서 hyde를 모델로 삼아 주인공을 그리기도 했다[60] 강철의 연금술사를 보면서 팬이 되었다 한다[61] 고등학교때 포스터를 걸어놓고 열심히 카피했다고 한다. 사실 라르크보다 키요하루 쪽이 더 가깝긴 하다[62] 그랜드크로스 라이브에 갔을때 milky way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63] 밴드 이름을 지을때 라르크를 의식하여 지었다 한다.[64] 사진으로 설명 끝. 2007년 펜타포트 내한때부터 푹 빠졌다고 한다[65] 제일 좋아하는 곡이 Be Destined(코어팬 인증;)[66] 라르크의 하이도와 함께 작업하고 싶다고 했다[67] 15주년 라이브에도 갔다고 한다[68] 정작 본인들은 예능에 출연하여 이 전략들이 이상하다고 하소연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했다.[69] 이 기사를 정말 믿어버린 hyde의 동창이 정말 '그 쪽'이냐는 문자를 보냈고 이에 hyde가 아직 '그 쪽'은 동정(...)이라고 답장했다고 한다.[70] 싱글 The Fourth Avenue Cafe에서 D'Ark~en~Ciel이라는 P'UNK~EN~CIEL의 전신이라고 할만한 것이 있었으나 드러머 sakura의 마약 소지 혐의 때문에 싱글 발매 자체가 무산되면서 이름 그대로 흑역사가 되었다[71] 공개된 방영분에서는 편집되었다.[72] 영상에서 tetsuya는 기분이 상한 상태라 코러스 부분에서 코러스 워크를 안 하고 시종일관 땅을 보며 베이스만 친다.[73] 물론 '화장밴드'라던가 '검은옷 계통'이라는 용어는 있었다고 한다.[74] 음악적 특징과는 무관한 외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성립한 분류이기에 '장르'보다는 '경향'이 본질에 가까운 표현[75] tetsuya는 원래 멤버들의 솔로활동 곡들을 편곡하자는 의견을 냈지만 hyde가 각하시켰다고 한다.[76] 2016년 슈퍼라이브까지 58번 출연[77] 하이도의 할아버지부터 부모님까지는 가고시마현 기카이지마에 연고가 있다.[78] 국내에서는 라르크를 주제로 그림을 그린 일러스트레이터들이 거의 없다. 그나마 그렸다고 해도 거의 대부분은 hyde 위주로(...). 특이하게도 라르크가 캐리커처로 그려진 그림이 있다(...) #[79] 사실 멤버들도 25년 동안 함께 해온 세월이 있어서 서로 집에도 놀러 가고 했던 초창기에 비하면 현재는 대기실도 따로 쓰고, 멤버들 간에 전달할 말도 매니저를 통해서 하는 모습 등 멤버들 간에 선을 칼같이 그어놓는 편이라 사이가 안 좋아 보일 수밖에 없다. 예전부터 들려온 말이지만 라르크 멤버들의 관계는 '사이가 안 좋은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좋은 것도 아님. 그러나 서로의 음악성이나 의견 등은 건드리지 않고 존중하고 있음'이 어쩌면 가장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테츠야는 이런 '거리감'에 대해 "밴드를 지금까지 계속해 올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다."라고 말했다. 권태기 부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