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평면의 방정식과 D의 의미

게임엔진공부

by 뿡뿡이형 2019. 12. 19. 21:00

본문

평면의 방정식

ax + by+ cz + d = 0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위 그림의 n벡터를 <a,b,c>라고 할 때 평면 방정식에 넣으면

0 = <a,b,c> · (x - x0 , y - y0 ,z - z0) 

= a(x - x0) + b(y - y0) + c(z - z0)

= ax + by + cz - ax0 - by0 -cz0

평면의 방정식의 a,b,c는 평면의 노말을 뜻한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loBqLpgK9c0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D의 의미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GBhH1UNr1VI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관련글 더보기

  • 벡터 내적과 외적을 응용한 왼쪽과 오른쪽의 판별

    2019.12.19

  • 카메라의 뷰 좌표계와 LookAt 행렬 유도하기

    2019.12.19

  • 오일러각 입력에 따라 Forward, Up, Right 벡터를 구하고 이를 토대로 3차원 회전 행렬 구하기

    2019.12.19

공간에서 직선을 방정식으로 표현할수 있듯이

평면도 방정식으로 표현할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두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은 평면 위의 점이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은 평면 p와 수직인 벡터입니다.

여기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법선벡터(Normal Vector) 라고 부릅니다.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평면 p와 수직이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도 수직입니다.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그러므로 평면의 벡터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평면의 벡터방정식-

한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인 평면의 벡터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일때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하면 평면의 벡터방정식에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얻습니다.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되고

이것을 전개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됩니다.

간단하게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하면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됩니다.

-평면의 방정식-

한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인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간단하게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 하면 평면의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의 형태로 나타낼수 있다.

위 식을 보면 평면의 방정식은 x,y,z에 대한 일차식임을 알수 있습니다.

만약 평면이 세 점 A(a,0,0) , B(0,b,0) , C(0,0,c) (abc≠0) 을 지난다면

다음과 같이 구할수 있습니다.

주어진 평면의 법선벡터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라 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와 수직이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와 수직입니다. 즉, 동시에 수직이죠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그리고 평면은 점 A를 지납니다.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전개해서 정리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고 양변을 abc로 나누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나옵니다.

따라서 다음을 얻습니다.

-정리 1-

세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ex1) 한 점 (2,4,-1)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인

평면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리시오.

(풀이)

한 점 (2,4,-1)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인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므로

전개하면 2x+3y+4z=12 이다.

그래프를 그리면 아래와 같다.

ex2) 세 점 P(1,3,2) , Q(3,-1,6) , R(5,2,0) 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풀이)

주어진 평면의 법선벡터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라 하면

법선벡터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에 동시에 수직이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주어진 평면은 점 P를 지나므로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ex3) 직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과 평면 4x+5y-2z=18 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풀이)

주어진 직선을 매개변수 형태로 쓰면

x=2+3t , y=-4t , z=5+t 이다.

이것을 평면에 대입하면

4(2+3t)+5(-4t)-2(5+t)=18 이므로 t=-2

t=-2 이면 x=-4 , y=8 , z=3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4,8,3) 이다.

ex3) 두 평면 x+y+z=1 , x-2y+3z=1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풀이)

두 평면의 법선벡터는 각각 두 평면에 수직이므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법선벡터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θ라 하면

두 평면의 법선벡터는 각각 <1,1,1> , <1,-2,3> 이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직선과 직선이 이루는 각

평면과 평면이 이루는 각

이것은 두 방향벡터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습니다.

그런데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을 구할떄는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평면의 법선벡터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과 직선의 방향벡터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θ라 하면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가 됩니다.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를 이용해서 cosθ를 구했으면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알기 위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의 값을 알아야 합니다.

벡터의 외적을 이용하면 두 평면의 교선의 방정식을 쉽게 구할수 있습니다.

일단 직관적으로 생각할수 있는 사실이지만

두 평면은 두 평면의 교선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두 평면의 법선벡터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하고

교선의 방향벡터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하면 교선과 방향벡터는 평행하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에 동시에 수직입니다.

그러므로 교선의 방향벡터는 두 법선벡터의 외적입니다.

-정리 2-

법선벡터가 각각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인 두 평면의 교선의 방향벡터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 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ex4) 두 평면 x+y+z=1 , x-2y+3z=1 의 교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풀이)

두 평면의 법선벡터는 각각 <1,1,1> , <1,-2,3> 이므로 교선의 방향벡터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한편 두 평면에 z=0 을 대입하면 x+y=1 , x-2y=1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x=1 , y=0 이 나온다.

따라서 교선은 점 (1,0,0)을 지난다.

그러므로 교선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아래 그림에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할 때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D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에 있는 평면을 ax+by+cz+d=0 이라고 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는 평면 위의 점 이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θ라고 하면

위 그림에서 길이가 D인 선분과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 이루는 각의 크기도 θ가 됩니다.

따라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입니다.

-정리 3-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과 평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사이의 거리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ex5) 평행한 두 평면 10x+2y-2z=5 , 5x+y-z=1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풀이)

두 평면이 평행하기 때문에

한 평면 위의 점을 하나 잡아서 그 점과 다른 평면 사이의 거리를 구해도 된다.

10x+2y-2z=5 위의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잡고

이 점과 평면 5x+y-z=1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ex6)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풀이)

두 직선은 꼬인 위치에 있으므로 교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두 직선 L₁, L₂를 포함하는 평행한 두 평면 p₁,p₂를 만들수 있다.

두 평면이 평행하고 그 평면은 직선을 포함하므로

두 평면의 법선벡터는 두 직선의 방향벡터와 동시에 수직이다.

두 직선의 방향벡터는 각각 <1,3,-1> , <2,1,4> 이므로 법선벡터는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따라서 L₁을 포함하는 평면은 점 (1,-2,4) 을 지나므로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그리고 직선 L₂위의 점은 (0,3,-3)

점 (0,3,-3) 과 평면 13x-6y-5z-5=0 사이의 거리는

두 직선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구하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다.

내용출처 : Calculus 6E-James Stewart

P.S : 직선의 경우에는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공식화되어 있는데

평면의 경우에는 세 점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이 공식화 되어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세 점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공식화시킨게 너무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세 점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라고 할 때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렇게 나옵니다. 

복잡하네요....ㄷㄷ

삼각형 PQR의 넓이를 구하는 것도 공식화되지 않은 이유는 위와 같습니다.

'복잡해서' 입니다.

쓰는 김에 삼각형 PQR의 넓이도 그 결과만 쓰면

평면의 방정식 d - pyeongmyeon-ui bangjeongsig d
 

이렇게 나옵니다.

이거 외울 용자분 계시나요?

위 식은 벡터의 외적을 이용하면 모두 유도할수 있습니다.

심심하면 저 공식 유도해보세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