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음식물 쓰레기 - olaedoen eumsigmul sseulegi

반응형

고추장도 음식물이다보니 음식물쓰레기로 오해하실수가 있는데요.

고추장은 염도가 높아 가축사료나 거름용으로 활용이 어렵습니다.

짠맛이 강하기 때문에 가축들이 먹으면 해롭습니다.

그래서 고추장은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즉.. 음식물쓰레기가 아닌 "일반쓰레기"로 버리셔야합니다.

일반쓰레기로 버리실때 되도록이면 비닐로 한번 더 싸서 버리시면 됩니다.

(일반쓰레기봉투의 경우 찢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다른 쓰레기와 섞여버리면 그 또한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닐봉지에 담아서 밀봉한 후 종량제 봉투에 버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양이 소량이라면 물로 녹여서 싱크대로 버리셔도 무방하나

양이 많은경우 배수관이 맊혀 문제가 될수 있어요.

고추장은 염도가 높아 일반쓰레기

일반쓰레기는 종량제 봉투~!

반응형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선 비린내 제거 청소 프라이팬 냄세 제거  (0) 2021.05.12
오복(五福) 여러가지  (0) 2021.05.06
주식 이름 앞에 붙은 기호표는?  (0) 2021.05.06
감자는 당 수치가 높은 식품인가?  (0) 2021.05.06
기명날인과 서명날인의 차이점  (0) 2021.05.06

오래된 음식물 쓰레기 - olaedoen eumsigmul sseulegi

한창 햇볕이 뜨겁던 8월 초, 은평시민신문 직원들과 먹고 남은 식빵이 며칠 동안 실온에 방치되어 하얀 꽃이 피어버렸다. 쓰레기 통으로 들어갈 운명이 된 ‘곰팡이가 핀 식빵’의 처리방법을 두고 은평시민신문 사무실에서는 때 아닌 논쟁이 벌어졌다. ‘곰팡이가 피었으니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리면 안 된다’와 ‘곰팡이가 피었어도 식빵은 음식물이니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해도 된다’로 의견이 갈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처리방식에 따라 건조하여 동물들의 사료로 쓰이는 사료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염분을 제거하여 퇴비로 사용하는 퇴비화로 나뉘게 된다. 은평구에서도 음식물을 자원화 처리하여 100% 재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가장 쉬운 방법은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준에서 보자면 곰팡이가 핀 식빵처럼 상한 음식은 동물들이 못 먹지 않느냐는 의견이 생긴다. 과연 ‘곰팡이가 핀 식빵’은 어디로 가야하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완전히 상하지 않은 음식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해도 무방하다. 즉, ‘곰팡이가 핀 식빵’은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들어가는 것이 맞다. 크게 상하지 않은 음식의 경우 자원화 처리를 통해 사료나 퇴비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수대에서 과하게 부패된 음식찌꺼기나 완전히 상한 음식물은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한다. 알면 알수록 헷갈리고 어려운 생활 쓰레기 분류하기. 제대로 알고 골라서 버리는 방법을 알아보자.

오래된 음식물 쓰레기 - olaedoen eumsigmul sseulegi

음식물 쓰레기 VS 일반 쓰레기

앞서 말했듯이 음식물쓰레기의 분류기준은 바로 ‘동물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다시 활용이 가능 한가’이다. 뼈다귀나 달걀껍질처럼 단단한 물질이나 갑각류의 껍데기 등 석회질이 포함된 것은 동물의 사료가 될 수 없으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한다. 호두, 밤, 땅콩 껍질같이 딱딱한 껍데기도 마찬가지이다. 채소 뿌리나 껍질의 경우에는 부드럽지만 섬유질이 많아 분쇄가 어렵고 동물들이 소화시키지 못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통무나 통호박, 통배추 등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지만 잘게 썰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이 가능하다. 절인 무나 배추, 김치 등 짠 기가 남아 있는 음식물의 경우 과거에는 일반 쓰레기였지만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된다. 대신 고춧가루나 소금 등을 헹구고 물기를 최대한 제거해야 한다. 또 생선의 내장이나 고기의 비계는 포화지방산이 많아 자원화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꼭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무엇보다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하는 것이다. 나무젓가락이나 병뚜껑, 노끈 등은 음식물과 혼합돼 버려지기 쉽다. 이러한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로 들어가게 되면 재활용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원화 시설의 기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젖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따로 분리배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최대한 물기를 없애는 것이 좋다.

오래된 음식물 쓰레기 - olaedoen eumsigmul sseulegi


VPB192kb 정보/생활 정보

[ 생활 ] 조리하지 않은 생선, 상한 생선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음식물쓰레기?

2021. 2. 26. 12:56

냉동실에 넣어놨다가

너무 오래된 생선이나,

먹을려고 했는데

생선이 상했을 경우,

일반쓰레기 일까요~?

분리수거 일까요~?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정답은 이렇습니다.

[ 왠만해선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

[ 머리, 몸통 할거 없이 음식물쓰레기 ㄱㄱ ]

보통 생선 가시나

생선 뼈다귀,

생선 머리는

일반 쓰레기로

버리라곤 하는데요.

조리하지 않은

생선 통째로 버리는 방법은.

환경부에서 딱히 자세한

지침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대한 폐기물 협회에서

통째로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도

좋을것 같다!

라고만 나와있습니다.

대한 폐기물협회에서

이렇게 말했으니.....

익히지 않은 생선은

그냥 통째로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세요.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런데 생선이 상했을때는

과연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약간 상한 정도는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세요.

만일 심하게 곰팡이

피었을 경우,

곰팡이 핀 부분만

따로 뜯어내서~

일반 쓰레기로 버리고,

나머지 부분은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도 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광고도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이렇게 재활용이

된데요.

한번 다시 가열합니다.

엄청난 멸균 과정을 거칩니다.

그 후 한번 말립니다.

그후 가루로 만듭니다.

그후 사료로 만듭니다!

뜨겁게 다시 한번

가열한 음식을~

멸균 과정을 거쳐서

말린뒤, 사료로 만든데요.

이래서

쬐끔 상하거나 조금 썩은

부분 정도는 싹다 멸균시켜~

사료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다만 음식물이 너무

썩어서 곰팡이가 심하게

핀 부분에 대해선......

동물 사료로써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해당 부분만 따로 뜯어,

신문지나 주방용 타올로

잘 감싸서~

일반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버리면 된답니다.

[ 저의 모든 쓰레기 분리수거 내용은 ]

[ 환경부 지침, 서울시 분리수거 처리 기준에 따릅니다. ]

광고 한번씩 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