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 정격 용량 계산 - moteo jeong-gyeog yonglyang gyesan

모터의 마력수와 KW

1]

흔히 모터의 용량을 말할 때 "OOO 마력" 이니, 아니면" OOOKW"라고 말을 합니다.

그리고 모터에는 입력이 있고 출력이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출력 용량과

입력용량이 틀립니다.

앞서 표현했지만 우리가 흔히 그저 "OOO 마력" 혹은 "OOOKW" 라는 하는 것은

모터의 출력용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터의 명판에 적혀 있는 용량은

그러한 출력용량 을 가리킵니다.

2]

"아니! 무신 모터에 출력있고 입력이 있대유"라고 하실 분이 있을 것 같은데요.

모터의 축에 펌프플 연결할 수도 있고, 아니면 환풍기 따위의 펜을 연결하기도 하고

엘리베이터를 연결하기도 하고 뭐 등등 여러가지가 연결이 됩니다.

그런 모터의 축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모터의 출력입니다.

그리고 모터에는 전기입력단자나 전기입력전선이 있습니다. 그런 입력점을 통하여

들어가는 전기가 입력용량입니다

3]

그런 입력점을 통하여 들어간 입력용량이 전부 모터의 축에 출력으로 나타날까요?

전부 나타나지 않습니다.  입력전기의 75% ~ 90% 만이 모터의 축에 회전에너지로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에는 60%만이 나타나는 모터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모터 자체 내에서 10% ~ 25%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 것입니다.

그러한 손실을 어떻게든 줄이려고 국가와 모터제조업체는 무진장 모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에너지를 줄이려 노력하는 국가기관이 바로 "한국에너지관리공단"입니다

4]

가령 모터의 입력점을 통하여 들어간 에너지가  100 이었는데 축에서 검출된 에너지는

85라고 합시다.  그러면 그 모터의 효율은

85/100 = 출력/입력 = 0.85  또는 85%입니다   즉 15%가 모터 내에서 손실이 되었습니다.

모터에 들어간 에너지가 19.6 이엇는데 축에서 검출된 에너지는 15엿다면

그 모터의 효율은 15 / 19.6 = 0.765 또는 76. 5% 입니다.    

5]

어떤 모터의 효율을 모를 때는 통상적으로 85% ( = 0.85) 로 여기고 모터의 필요용량

계산을 합니다.

그리고 학자들이 연구한 결과 1마력 =746w = 0.746 KW 라고 하는군요.

6]

귀하가 말한 5마력은 당연히 모터의 축에서 검출될 출력을 의미합니다.

5마력 = 0.746 x 5 = 3.7 KW 이고

그 모터의 효율은 통상적인 값인 0.85 로 잡으면

효율 = 출력/ 입력 이므로

0.85 = 3.7 / 입력  따라서 그 모터의 입력은 3.7 / 0.85 = 4.39 KW

따라서 5KW 정도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러나 여유분을 생각하여 6 KW ~ 7KW의

전기를 신청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5KW 정도를 신청해도 별 무??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7]

위의 계산방법은 단상이나 3상 모두에 똑같이 적용됩니다

8]

이번에는 전류값을 알아봅시다.  전류값을 구할 때는 단상과 3상이 틀린 공식을 사용

합니다.  전류값을 구하기 전에 역율이라는 것을 설명해야겠군요.  역율에 대하여

제대로 설명하려면 지면이 너무 부족하고 또한 길게 설명하는 것을 귀하도 원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이 되는군요.  아무튼

"모터에는 역율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역율은 모터에 따라서 그리고 주위

환경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 0.85 ( = 85%)를 사용한다" 정도로만 알고 계십시오.

위에서 구했던 입력용량은

단상에서는 입력용량 = 모터의 입력전압 x 모터의 입력전류 x 역율

3상에서는  입력용량 = 1.732 x   모터의 입력전압 x 모터의 입력전류 x 역율

가 됩니다.

따라서 모터의 전류는

단상의 경우  전류  = (입력용량 ) / (  모터의 입력전압 x  역율 )

3상의 경우 전류 = (입력용량 ) / ( 1.732 x 모터의 입력전압 x  역율 )

위의 5마력의 경우를 가지고 계산하여 봅시다.  5마력의 입력용량은 4.39 KW 이었으므로

그리고 4. 39 = 4390 이므로

단상의 입력전압 = 220 볼트라 하고 3상의 경우 380 볼트라 합시다 

단상의 경우 전류 = 4390 / (   220 x 0.85 ) = 23 . 476 암페어

3상의 경우 전류 = 4390 / ( 1.732 x 380 x 0.85 ) = 7.85 암페어  

-------추신--------

그러나 위에서 계산한 그 전류값은 모터의 명판에 적혀 있는 전류값과는 차이가

잇습니다. 모터의 명판에 적혀 있는 전류값이 더 정확한 값이다.

왜냐하면 모터의 역율은 개개의 모터 마다 다 틀리기 때문입니다.

단지 위의 값은 차단기나 전선 등의 설계를 위한 참고값이며,  만일 그 모터의 구입처로부터 모터의 구입전에 그러한 전류값등을 알아낼 수 있다면 그 전류값을 가지고 차단기나

전선의 굵기등을 설계하십시오. 그 모터의 전류값을 알아내려 할 때는 문서로 받아

보십시오.  입으로 하는 말은 공중에 흩어지면서 나중에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입니다 .  그 문서라는 것도 모터 판매회사나 제조회사의 상호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하여

받으십시오.         

thewj 2020. 1. 3. 12:23

모터의 사양은 electric power인 P(W:watt)로 대표된다.

P를 알면 토크를 알 수 있다.

한편

모터는 모터를 구성하고 있는 전기적, 기계적 사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회전속도가 규정되고 

정격, 최대의 2가지 항목으로 퍼포먼스에 대한 사양을 규정한다.

그럼 모터사양에 있어 출력과 토크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이제부터, 출력과 토크관계에 있어 알고 있어야 할 내용을 기술해 보겠다.

SI단위계에서 일률(W)은 에너지를 시간으로 나눈값으로 정의한다.

에너지는 국제단위로 J(=N·m)이고,

이를 수식으로 정리해보면,

1W = 1 J/s

      = 1 x N·m x 2π rad/s

      = 1 x N·m x 1Hz

이걸 식으로 정리해 보면

P=ωT

P : 모터 출력  W

ω : (각)속도  rad/s

T : 토크  N·m

이 된다.

이제, 위 공식으로 출력, 토크, 회전수 간에 관계를 알고 있으니

적어도 2가지를 알면 하나를 구할 수 있다.

[문제] 50W 서보모터의 정격토크는 얼마인가?

[답안] 0.15915494 N·m

[풀이]

P=ωT

T = P / ω

ω=각속도 (rad/s) - 초당 회전속도

   =3000 rpm = 50 rps = 18000 deg/s = 314.15927 rad/s

P = 50W = 50J/s = 50N·m/s

T=50(N·m/s) / 314.15927(rad/s) = 0.15915494(N·m)

<정격회전수란?>

왜 AC서보모터의 정격회전수는 3000rpm 일까?

정격회전수는 전력사양에 기인하는데, 공식은

N = 120f/P

N : 동기회전수 rpm

120 : 정수 

P : 모터의 극수

f : 주파수 Hz

가령,

50Hz전력사양이라 보면

1 Hz = 2π rad/s 이므로, 1Hz는 곧 1 rpm(rev/min) 과 같기 때문에,

120 x 50 rev/min / 2 로 바꿔 쓸 수 있고

계산해 보면, 3000rpm 이 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