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공격력 계산 - meipeul gong-gyeoglyeog gyesan

안녕하세요 areviewer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메이플 데미지 적용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보스전, 크리티컬 확률 100% 기준입니다. 무기 상수는 직업마다 달라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사냥 시에는 데미지%만 적용됩니다. 

일단 메이플 총 데미지 공식은 (주스탯+마력/공격력) x (데미지%+보스 공격시 데미지%) x 최종 데미지% x 크리티컬 데미지%입니다.

1. 주스탯, 공격력/마력%

주스탯, 공격력/마력%는 모두 합적용입니다.

주스탯 산출 공식 (공격력/마력%도 동일합니다.)

(레벨업으로 받는 스탯 + 아이템으로 올라가는 스탯) x 스탯%(잠재능력, 에디셔널 잠재능력, 추가 옵션의 올스탯% 등) + 메이플 용사, 아케인 심볼, 유니온 등의 고정 스탯

ex) 총 스탯%가 100%인 상황에서 9% 아이템을 2개 추가로 착용했을 때, 100 x 1.09 x 1.09가 아닌 100 x (1+0.09+0.09)의 형태로 적용됩니다.

2. 데미지, 보스 공격력 데미지%

메이플 공격력 계산 - meipeul gong-gyeoglyeog gyesan

보스전에서 데미지, 보스 공격력 데미지%는 합적용입니다. 제 데미지와 보스 데미지의 합은 381%입니다.

ex) 데미지와 보스 공격력 데미지의 합이 0일때 1줄당 1억의 데미지를 준다고 가정하면, 합이 381일때는 1줄당 3.81억의 데미지를 주게 되는 것입니다.

ex2) 스탯, 공격력 마력%와 마찬가지로 보스 공격력 데미지 30%가 추가로 더해진다 했을 때, 1억 x 3.81 x 1.3이 아닌 1억 x (3.81+0.3)의 형태롤 적용됩니다.

이렇게 합적용이다보니 기본 데미지나 보스 공격력 데미지%가 높은 직업은 보스 공격력 데미지의 효율이 떨어집니다.

무기류(무기, 보조무기, 엠블렘)에서 데미지%가 잡옵 취급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레전드리 잠재옵션 기준 무기와 보조무기에서는 (엠블렘에서는 보스 공격력%가 나오지 않습니다.) 보스 공격력 데미지%가 20~40%의 수치로 나오지만 데미지%는 9~12%입니다.

그래서 무기류를 구성할 때, 무기와 보조무기에서는 보스 공격력 데미지% 공격력/마력%를 엠블렘에서는 공력력/마력%와 방어율 무시%를 챙기는 게 일반적입니다.

3. 크리티컬 데미지%

메이플 공격력 계산 - meipeul gong-gyeoglyeog gyesan

크리티컬 데미지는 곱적용입니다.

크리티컬 데미지가 0%일때, 크리티컬이 발동하면 일반 공격의 120~150%의 데미지를 줍니다. 그런데 아이템 옵션이나 스킬 등으로 크리티컬 데미지 수치를 올리게 되면 190(120+70)~220(150+70)%의 데미지를 주게 됩니다.

ex) 보공 30% 크리티컬 데미지 10%의 비교, 크리티컬은 135%로 고정

보공 30% : 1억 x 4.11 x 2.05(1.35+0.7) = 약 8.42억

크리티컬 데미지 10% : 1억 x 3.81 x 2.15(1.35 + 0.8) = 8.19억

기본 데미지와 보스 공격력 데미지 수치가 낮아 보스 공격력 데미지의 효율이 높은 플레임위자드임에도 크리티컬 데미지 10%는 보스 공격력 데미지에 30%에 약간 못미치는 효율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ex2) 보공 30%, 크리티컬 데미지 10% 비교, 크리티컬은 135%로 고정 (엔젤릭버스터 링크 데미지 45%, 버닝 리전 데미지 50%, 기타 링크 53%) 조건에서는

보공 30% : 1억 x 5.59 x 2.05 = 약 11.45

크리티컬 데미지 10% : 1억 x 5.29 x 2.15 = 약 11.37

거의 비슷해지게 됩니다. 기본 데미지와 보스 공격력 수치가 더 높은 직업이거나 파티 버프 등으로 데미지%가 추가로 상승하게 되면 이 효율은 역전됩니다.

*크리티컬 데미지도 과도해지면 효율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데미지, 보스 데미지보다 수급처가 한정적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크리티컬 데미지가 효율이 더 좋은 편입니다.*

4. 최종 데미지%

메이플 공격력 계산 - meipeul gong-gyeoglyeog gyesan

이 또한 크리티컬 데미지%처럼 곱적용입니다. 스킬이나 파티 버프만 수급할 수 있습니다. 곱적용이므로 높을 수록 좋습니다.

5. 방어율 무시%

메이플 공격력 계산 - meipeul gong-gyeoglyeog gyesan

제 방어율 무시 수치는 엠블렘 30%, 스피릿오브 플레임 30%, 하이퍼스탯 30%, 유니온17%, 무기 20%, 아케인셰이드 세트효과 10%, 보스 장신구 세트 효과 10%, 루미너스 링크 15%, 제로 링크 10% 입니다.

그냥 더하면 100%가 넘는 수치지만 방어율 무시% 적용 방식은 곱적용입니다.

30(100x0.3) + 21(100-30)x0.3 + 14.7(100-51)x0.3 ... 이런 식으로 더해서 표기된 방어율 무시 수치는 91이 됩니다. (스킬에 있는 방어율 무시 수치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이퍼 스킬 이그노어 가드에 20%, 4차스킬 코어 강화 40렙 효과로 20%를 추가로 받으므로 제 최종 방어율 무시 수치는 약 94~95% 사이가 됩니다.

*방어율 무시도 많아질수록 효율이 감소하므로 적정 방어율 무시 수치는 표기 92~94, 최종 95~97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ex)

상위 보스의 방어율은 보통 300%입니다. 제 방어율 무시 수치는 약 95%이므로 300% x 0.05 = 15% 즉, 15%만큼 데미지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위의 1~4를 곱한 값에 0.85를 곱한 값이 제가 보스에게 주는 최종 데미지가 됩니다.

이 포스팅을 작성하며 제 캐릭터를 점검해보니 방어율 수치가 약간 부족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유니온 8000을 달성해 방어율 무시%를 올려야겠습니다.

제 직업인 플레임위자드를 기준으로 작성한 포스팅이니 적절히 참고하시어 데미지 효율을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세줄요약
1. 일차원적으로 보면 공/마 효율과 주스텟은 별개의 문제다.
2. 경향성은 무시못하지만, 생각보다 복병이 많다.
3. 투자효율 따질 때 자존심(나는 고스펙이 될거야) 세울 필요는 없지만, 목표에 맞출 풀요는 있다.

*스스로 템세팅을 해보려는데 추옵, 잠재, 스타포스가 어쩌구하는 것에서 정신나갈 거 같은 분들을 위해
*디테일한 계산을 최대한 배제했습니다.

메이플의 스펙업 요소는 꽤 다양합니다. 장비, 코강, 유니온, (농장) 등 어느하나 빼놓고 말하기 힘듭니다.

솔직히 잘 몰라도 됩니다. 다양한 만큼 어느 하나 불완전해도 딴 게 남들보다 좋으면 되니까요. 유니온이 짱짱해서 템이 부실해도 부캐로 카루타를 잡는 메으른들이 이걸 잘 역이용한 셈이죠. 높은 유니온 점령효과와 링크스킬로 싸구려 템과 낮은 코강을 상쇄시킨거니까요. (그래놓고 주스텟 사기치는 사람도 많지만)

여튼 다 말하긴 복잡하니까 추옵에 대해서만 살펴보려 해요. 다시 말하지만 잘 몰라도 행메는 됩니다. 고스펙도 일일이 안따지고 대충 뭉개는 경우 많고, 솔직히 그 편이 실용적이에요. 왜 그렇게 됐는지 한 번 따져는 보자는 거죠. 그리고 추옵만 봐도 꽤나 복잡한게 메이플 스펙업이라-

Q. 공/마 효율, 올스텟 효율은 어떻게 따지는 걸까?

추옵을 볼 때 70급, 80급, 130급 이런 말 많이 합니다. 방어구/장신구의 공격력(마력), 올스텟을 주스뎃으로 환산해서 더한 값이 몇이냐를 두고 하는 얘기죠.
흔히 공격력을 5~4, 올스텟을 10으로 두고 환산하죠. (올스텟은 뭐 팔때는 10 살때는 8로 계산한다는 농담도 있지만요) 왜죠?

간단해요. 대충 비교해보니까 그쯤되더라, 에요. 딴 거 다 똑같고 공격력이 5 높은 장비랑 주스텟이 25 높은 장비랑 비교했더니 차이가 거의 없더라 이거죠.

Q. 근데 왜 사람마다 다름?

기존 스펙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다 똑같은데 모든 방어구/장신구의 에디셔널 잠재에 공격력+10이 달린 사람과, 주스텟 4%가 달린 사람이 있다고 생각해봐요. 앞 사람이 대충 100정도 공격력이 더 높은 상태지만, 거칠게 봤을 때 둘의 현스펙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때 한 부위를 새로 사려고 합니다. 두 사람에게 공격력 추옵의 가치가 같을까요? 아뇨. 뒷 사람에게 더 큽니다. 극단적인 비교를 해보죠. 총공격력이 200인 사람에게 공격력 10은 5% 쎄지게 합니다. 총공격력이 100인 사람에게 공격력 10은 10% 쎄지게 합니다. (여기에 뒷사람 주스텟이 더 높은걸 감안하면 순공격력의 가치 차이는 더 커집니다) 너무 극단적으로 보이지만, 부위당 공격력 10만 해도 100정도 차이나는데 스타포스까지 생각하면 이런 차이 꽤 흔합니다.

Q. 근데 왜 고스펙일수록 낮다고 하는거임?

사실 무조건 고스펙이라고 효율이 낮진 않습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변수가 좀 많아요. 같은 모험가 도적인 듀블과 나로의 공효율은 대체로 후자가 좋다볼 수 있습니다. 둘이 "비슷한 스펙"이더라도 듀블은 단검+블레이드로 공격력을 엄청 얻는데 나로는 아대 자체가 공격력이 엄청 낮거든요.

하지만 '대체로'는 맞는 얘기입니다. 스타포스 때문이죠. 장갑과 무기를 제외한 모든 별 달린 장비는 16성을 달 때부터 공격력(마력이) 붙습니다. 그 수치는 결코 작지 않기에 별 좀 높인다고 스펙이 짱짱해지는 이유고, 반대로 별 좀 높이기가 어렵게 설계된 이유죠.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추옵-잠재능력-스타포스를 하나만 높게 맞추지 않습니다. 추옵 70도 안되는 장비에 레전이나 20성을 달지않고, 140급 장비에 9/10 12성을 달지 않죠. (ㄷㄴㅎ 빼고요)

그렇기에 어지간해서는 스펙별로 공격력/올스텟 효율이 비슷합니다. 그리고 스펙별로 주스텟도 비슷하므로 (심볼제외) 공추옵의 효율이 이쯤에선 몇이다-하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Q. 그런데 이러면 꼭 "난 O스펙인데 공추옵 1당 O이더라"하던데?

문제는 이거에요. 동스펙이라고 똑같을 확률이 생각보다 엄청 낮아요. 직업 변수도 꽤 크고, 심지어 같은 직업이어도 다릅니다.

22성 아케인 스태프를 낀 불독과 22성 앱솔 스태프를 낀 불독이 스펙이 비슷한 경우를 생각해볼께요. 누가 더 마력추옵의 가치가 클까요? 아케인?

틀렸어요. "아케인이 클 확률이 높지만 아닐수도 있다" 대체 뭔 댕소리일까요. 말했잖아요. 방어구 상태도 봐야해요. 당장 무기 마력이 아케인 쪽이 더 높다해도, 알고보니 앱솔쪽은 추옵 및 에디잠재를 죄다 마력이 달린 세팅이고 아케인쪽은 죄다 스텟퍼 둘둘이었다면요? 둘의 마력차이는 작을 수도 오히려 앱솔쪽이 총마력이 더 높을 수도 있는 겁니다. 이건 따져봐야 알아요.

위 사례는 말장난 같지만 생각보다 비슷한 사례가 많습니다. 흔히 말하는 에디 두줄도 사람마다 스텟퍼 둘둘일수도, 공마 둘둘일수도, 섞였을 수도 있죠.

추옵 얘기는 아니지만, 흔히 얘기하는 "레벨당 주스텟+2"에디잠재의 효율이 초고스펙일수록 마냥 높진 않은 것도 비슷한 이유에요. 깡추옵의 비중이 클수록 깡스텟에 들어가는 "렙당2"의 가치는 내려가는거고, 공격력 및 스텟퍼의 비중이 클수록 '동스펙 대비 깡스텟이 낮은 거니까' "렙당2"의 가치가 큰 거고요. (보통 주스텟을 높이기 위해 계산하니까 스텟퍼 둘둘이었을 수록 가치가 큰거죠) 결국 계산해봐야 알아요.

Q. 그럼 어디에 기준을 둬야댐??

스펙계산기를 쓰라-는게 일반적인 답변입니다. 맞아요. 어떤 계산기 쓰라 안해도 다 아는 계산기 좋아요. 다만 큰 그림을 보고 있다면, ""목표하는 스펙""에 맞춰 계산해보시길 권해요. 내가 당장 포도둘둘이라 공격력1이 주스텟 5여도, 내가 곧 금융치료를 통해 초록둘둘이 될 거라면 그땐 공격력의 가치가 몇인지 따져봐야겠죠. 스펙계산기로도 됩니다 방법은 대략 도핑란에 넣어도 되고, 템세팅 계산기였나 그걸로 해도 되고요. 화이팅

반대로 초고스펙이 될 게 아니라면 공격력/올스텟의 가치를 평가절하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카룻돌이 부캐 만들면서 깡추옵만 고집한다? 보이지않는 곳까지 코디하려는 당신께 정성추,, 가성비는 나빠요 그러지마요 효율 생각하신다면 제발!

이건 본캐여도 비슷하지만 뭐 모두가 마음속으론 이미 검마 격수잖아요? 가심비로 치면 공1은 주텟3.6쯤 되겠죠 허허

Q. 귀찮음 ㅅㄱ

맞아여 솔직히 귀찮음 그러니까 대충 계산해요 오차 좀 어때요. 다만 한번쯤 점검해보면 의미있다고 생각해요. 진지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