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리코더 운지 정리 / 리코더 운지법정리

실제 리코더 운지

 취구

 0공 

왼엄

 ○ 

 ○ 

 1공

 2공

 3공

왼검

왼중

왼약

 4공

 5공

 6공

오검 

오중 

오약

 7공

오새

리코더운지 정리

 도

 레

 미

 파

(B/G)

 

 라

 시

 도

 ● 

 ● 

 ○ 

 ● 

 높은 레

 높은 미

 높은 파

(B/G)

 올림파

(=파#)

(B/G)

 내림시

(=시♭)

 올림도

(=도#)

 ● 

 ● 

 ● 

 ● 

 ● 

 ● 

 ● 

(B/G = 바로크식 리코더/독일식 리코더)

높은이 붙은 것은 한 옥타브 위,(높은 도는 위에 끼어 있네;;)

#이 붙은 것은 올림, ♭이 붙은 것은 내림으로 표기.

(올림파와, 내림시는 기본 옥타브에서 올리고 내린 것.

올림도는 한 옥타브 위 '도' 에서 올린 것.)

◑은 약간만 열어 표현하라는 것. = 써밍

(엄지손가락으로 조금만 열어 불라는 것.)

(첨부파일은 리코더 운지 프로그램입니다.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프라노 리코더 운지법

리코더는 운지법 몇 가지 올려드렸으니 제일 편한 걸로 보시면 된답니다.
제일 많이 사용하는 리코더가 소프라노 독일식이에요.
리코더 종류로는 운지법에 따라 독일식(저먼식)과 바로크식으로 나누어져요.
리코더 뒷부분에 G 또는 B로 적혀 있는데요. G가 독일식, B가 바로크식이에요.

구멍 크기로도 알 수 있어요. 아래 리코더 운지표에 있는 리코더 그림에 구멍 번호가 있는데 4번 구멍이 5번 구멍보다 크면 독일식이고 반대이면 바로크 식이에요. 첫 번째 운지표에 있는 리코더는 독일식, 두 번째 운지표에 있는 리코더가 바로크 리코더 그림이에요. 대부분 운지법은 동일하고 파와 파#, 높은 파, 높은 도에서만 달라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소프라노 리코더 운지법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리코더의 음역대는 도에서 두 옥타브 높은 레 까지로 약 2옥타브에요. 첫번째 그림의 운지표에는 솔까지만 나와 있는데요, 두 번째 그림에는 전체가 나와있어요. 저는 첫 번째 그림이 보기가 편하더라고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소프라노 리코더 운지법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리코더 첫걸음도 알아볼까요?
리코더는 아래 사진과 같이 몸과 약 45도가 되도록 하고 입에 물때는 너무 깊숙하지 않도록 가볍게 물어주시면 돼요.
리코더를 불때는 숨쉬듯이 숨을 내밀면 안 되고, '두두', '투투' 이렇게 내뱉듯이 불어주시면 되는데 이것을 텅잉이라고 해요, 약하게도 해보고  세게도 하면서 연습해 보세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아래사진은 왼손을 잡는 법이에요. 왼손으로만 솔부터 높은 레까지 소리를 낼 수 있어요.
처음부터 왼손, 오른손 모두 잡기가 힘들면 왼손만으로 솔부터 레까지 부는 연습을 하다가
오른손까지 막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왼손과 오른손으로 구멍을 모두 막으면 도소리가 나는데요, 구멍을 완전히 잘 막아야 이상한 소리가 나지 않아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리코더 높은음 낼 때 뒤에 있는 구멍은 약 1/3 정도로 막아주시면 되는데요. 어느 정도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높은음을 낼 수 있어요. 다음 그림은 소프라노 리코더 운지법 전체에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

시 운지법에서 붉은색으로 1과 2가 적혀있는데요. 1번은 표준적인 운지법이고 2는 변형적인 운지법이에요. 곡의 난도에 따라 변형 운지를 사용해야 할 때가 있어요.

리코더 높은 파 - likodeo nop-eun 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