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안녕하세요. ^^ 고품질 IT 설명꾼 컴알못(컴알모옷) 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아이피타임공유기의 포트포워딩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바쁘시거나 글 읽는것 싫어 하시는 분들은 굵은 글씨와 그림만 보셔도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 하시면 포트포워딩이 필요한 이유 / 사용 용례등을 아실수 있습니다. ^^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첫번째로는 공유기에 접속해서 공유기 암호 / 와이파이 설정 부터 하셔야 겠죠?^^

 

이것도 다른 포스팅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 하시면 해당 포스팅이 나타납니다.^^

ttps://tks9567.tistory.com/36

 

두번째로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에 들어갑니다.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세번째로 포트포워딩 설정을 합니다.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 같이 규칙이름은 본인이 스스로 아무거나 쓰시고 

우선순위 입력 해주시고 내부 ip주소는 내가 접속할 내부 아이피 주소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로토콜은 잘 모르시면 TCP 그대로 놔두시고 

외부포트는 외부에서 접속할 포트를 입력합니다. 

내부포트는 내부에서 사용할 포트를 입력합니다. 

정리를 해드리면 원격접속하는 포트는 3389번 입니다. (윈도우에서 정한것)

1. 황주임 아이피 192.168.0.11 외부포트3390

2. 이과장 아이피 192.168.0.7 외부포트3391

3. 오실장 아이피 192.168.0.13 외부포트3392

4. 오차장 아이피 192.168.0.15 외부포트3393번 (가정함)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msconfig 치시고 IPv4 주소를 확인 하시면 됩니다. * 혹시나 공유기 접속 주소를 모르시면 윈도우키 + R -> cmd 확인

 

자 그러면 우리회사 황주임PC에 원격으로 접속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공유기 DDNS 설정안하셨으면 아래 DDNS설정 클릭

https://tks9567.tistory.com/35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xxxx.iptime.org:3390 이런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윈도우키 + R -> mstsc 입력

 

간단하죠? 회사에서 NAS Webdav 설정을 해서 집에서 회사 나스에 접속 한다거나 하는일도 가능한거죠. 

 

이상으로 포트포워딩에 관한 기본적인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공유기 암호 설정 방법 : https://tks9567.tistory.com/36

공유기 외부 접속 방법 : https://tks9567.tistory.com/37

공유기 DDNS 설정 방법 : https://tks9567.tistory.com/35

공유기 설치 방법  : https://tks9567.tistory.com/34

공유기 펌웨어 설정 방법 : https://tks9567.tistory.com/38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명 : https://tks9567.tistory.com/39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컴알모옷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공유기 > 마. 포워딩DMZTw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기 DMZ , Twin Ip = Super DMZ 설정  (4)2019.06.27공유기 포트포워딩 설명  (1)2019.06.22

반응형

오늘은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다.

 

필자는 집에 서버용 PC를 놔두고 원격 데스크톱을 자주 쓰는 사람이기 때문에 포트포워딩이 절실하다.

 

먼저 포트포워딩에 앞서 자신의 PC ip부터 알아야 하는데, 요새는 웹 브라우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에서 "내 ip" 치면 쉽게 나온다.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근데 포트포워딩을 하기전에 외부 ip와 내부 ip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외부 ip라는 것은 말그대로 외부에서 내 pc로 접속하기 위한 주소.

내부 ip는 공유기 또는 스위치에서 발생하여 설정된 ip주소다.

 

따라서, 저기 보이는 ip 주소가 정말 외부에서 내 pc로 접속하는 주소일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만약에 자신의 현재 PC가 공유기나 스위치와 맞물려있는 PC라면 저기 보이는 주소는 Router의 주소다. 

 

쉽게 얘기해서, 외부에서 내 공유기(Router)를 거쳐서 공유기가 사전에 설정해두었던 내 PC IP로 접속시켜주는 것이다. 

말은 쉽지만 이 과정에서 분명 설정해줘야 하는 부분들이 있다.

 

그 과정 중 하나가 바로 포트포워딩(PortForwarding)이다. 

 

포트포워딩은 말그대로 특정 포트를 통해 내 PC가 외부로부터 접속이 가능하게끔 해주는 기능이다.

 

요새 왠만한 Router들은 다들 포트포워딩을 지원해주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주기 위해 공유기의 설정화면으로 접속해야 한다.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1. 웹 브라우저에 192.168.0.1 로 접속. (iptime 공유기 설정화면)

 

2. 사용자의 id와 pw를 통해 접속하면 iptime의 설정화면이 뜬다. 관리도구 탭 클릭.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대충 이런식으로 화면이 뜬다.

 

3. 왼쪽 배너창에서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Iptime 포트포워딩 원격데스크톱 - iptime poteupowoding wongyeogdeseukeutob

그럼 위와 같은 창이 출력되는데,

 

여기서 규칙이름은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

내부 IP 주소는 자신이 접속하고자 하는 PC의 내부 IP 주소로 입력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는 자신이 원하는 포트로 각각 설정해준 뒤 우측 하단에 적용 버튼을 누르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라 맨 위에 [저장] 버튼을 꼭 눌러줘야 규칙이 활성화되니 참고.

 

필자는 원격데스크톱과 SSH연결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8, 9번 항목과 같이 설정해주었다.

 

이러고 나서 다른 PC를 통해 ssh 쉘 프로그램이나 원격데스크톱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하면 원활하게 접속된다.

 

근데... 간혹 내부 IP (192.168.0 으로 시작되는 IP) 로 접속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다시 말하지만 내부 IP이기 때문에 

접속할 수가 없다.

 

이때 입력해줘야 되는 IP는 외부 IP (네이버를 통해 찾은 자신의 IP)로 입력해주고 자신이 지정해준 포트로 접속해야 한다.

 

예 ) [외부 IP]:53389 

 

이러면 포트포워딩 설정도 모두 끝!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꾸준함은 모든 것을 이긴다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개발(Dev) 이야기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utty 에서 터미널 연결 시 백스페이스(삭제되지 않는 현상) 해결 방법  (0)2022.08.04Scalability Issue를 해결하기 위한 Off-chain 솔루션 - Raiden Network (1) Geth 설치/운영  (0)2019.08.06AVX (Advanced Vector eXtensions) 란?  (0)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