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보호구역 인원출입증 - incheongonghang bohoguyeog in-wonchul-ibjeung

  • 관리책임자 보안교육)

    인천공항 상주직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본 교육은 인원 정규출입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분이 반드시 이수하여 하는 필수 교육입니다. 먼저 주요사항 안내를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보안교육은 인천공항 항공보안, 인원 출입통제, 차량 출입통제, 준수사항 및 제재조치 순으로 이루어 집니다. 교육 수강 후 평가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천국제공항 보호구역출입증규정 제25조에 의거, 인원 정규출입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분은 반드시 보안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동 규정에 따라 이 교육을 수강하시는 분은 반드시 본인이 보안교육을 이수하고 직접 시험에 응시하여야 합니다. 시험 결과 80점 이상 획득 시, 출입증이 발급됩니다. 만약 보안교육 이수자가 대리수강, 대리시험 등의 부정행위가 확인될 경우에는 출입증 발급 제한 및 출입증 회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업체 관리책임자 등 본인 아닌 자의 대리수강 및 대리시험을 엄격히 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 교육 및 시험문제에는 2022년 1월 1일 개정 시행된 인천국제공항보호구역출입증규정 제반사항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교육 대상자께서는 보안교육에 집중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관리센터 직원 및 보안요원은 여러분이 보호구역 내에서 업무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상주직원께서는 출입증관리센터 직원 및 보안요원의 업무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천공항 항공보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보안 기본사항 및 인천공항 보호구역 관리에 대해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항공보안의 기본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항공보안의 정의는 항공테러를 포함한 불법방해행위로부터 민간항공을 보호하기 위한 인적・물적 요소가 결합된 대책을 말합니다.

    이어서 항공보안 불법행위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항공기 납치 행위, 항공기 또는 인원을 인질로 삼는 행위, 항공기・공항 및 항행안전시설파괴 행위, 항공기・항행안전시설 및 보호구역무단침입행위, 도검류・폭발물・무기 등 위해물품(危害物品)을 반입하는 행위, 항공기・승객・승무원・지상 근무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거짓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 항공기를 이용한 테러 행위, 그 밖에 항공보안법에 따라 처벌받는 행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항공보안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국내외에서 유기적인 조직 체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세계 항공업계의 정책과 질서를 총괄하는 UN 산하 전문기구로서 ICAO 부속서 17은 세계 항공보안의 국제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 항공보안 정책 수립 및 항공보안 국제협력을 총괄하는 국토교통부이며, 국토교통부 산하 지방항공청이 항공보안 현장점검 및 조치 등 감독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국토교통부 및 서울지방항공청 외에도국가정보원, 법무부 인천공항출입국·외국인청인천국제공항경찰단, 인천본부세관,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육군 제17보병사단 제3경비단 등과 항공보안 강화를 위한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항공보안 관련 주요 법규는 국제 규정으로서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17이 있으며, 국내법규로는 항공보안법에서 공항시설 보호구역의 지정, 보호구역의 출입허가, 승객의 안전 및 항공기의 보안, 벌칙 등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규정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항공보안법 제12조 공항시설 보호구역의 지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운영자는 보안검색이 완료된 구역, 활주로, 계류장(繫留場) 등 공항시설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구역을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공항운영자는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임시로 보호구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보호구역의 지정기준 및 지정취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합니다.

    계속해서 항공보안법 제13조 보호구역에의 출입허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호구역의 공항시설 등에서 상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나 공항 건설이나 공항시설의 유지ㆍ보수 등을 위하여 보호구역에서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사람 그리고 그 밖에 업무수행을 위하여 보호구역에 출입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람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공항운영자의 허가를 받아 보호구역에 출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1항에 따른 출입허가의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합니다.

    마지막으로 항공보안법 제14조 승객의 안전 및 항공기의 보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운영자 및 항공운송사업자는 액체, 겔(Gel)류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항공기 내 반입금지물질이 보안검색이 완료된 구역과 항공기 내에 반입되지 아니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다음은인천국제공항 보호구역 관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항시설 보호구역이란보안검색이 완료된 구역, 활주로, 계류장(繫留場) 등 공항시설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구역을 의미합니다. 공항운영자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항공보안법 제12조에 따라 보안검색이 완료된 지역, 활주로 및 계류장 등 공항시설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구역을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운영합니다.

    인천국제공항의 보호구역 출입구역 현황입니다. A구역은 관제시설지역, B구역은 항공기탑승지역, C구역은 수하물수취지역, D구역은 부대건물지역, E구역은 항공기이동지역, F구역은 화물터미널지역에 해당합니다. 세부구역은 출입증규정 별표1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관제시설지역의 고유문자는 세부구역 또는 운영주체별로 다르게 표기할 수 있으며, 탑승교, 화물엘리베이터 등의 출입허가는 별도 승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항공보안 위협등급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평시 등급은 불법행위 위협이 낮은 단계입니다.

    그리고 관심 등급은 민간항공 불법행위 가능성이 평시보다 높다고 판단되거나 민간항공에 대한 불확실한 위협정보가 접수될 경우 그리고 전쟁, 지역 간 분쟁 등으로 테러행위가 예상될 때 해당되는 등급이며,

    주의 등급은 시위유발 혹은 국가 상징물 공격 등의 정치적 긴장상태 또는 민간항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민 소요의 가능성이 있을 경우, 항공테러분자의 국내 입국정보가 존재하거나 테러위협지역 군부대가 파견 된 경우 입니다.

    경계 등급은 항공테러관련 신빙성 있는 정보 입수로 대책이 필요하거나 국제분쟁으로 민간항공에 심각하게 영향을 줄 경우 그리고 기타 민간항공 안전에 영향을 주는 중요사태가 발생할 경우의 등급입니다.

    마지막으로 심각 등급은 민간항공에 대한 불법행위가 발생 또는 발생이 임박한 경우, 실행가능성 있는 항공테러의 정보가 입수되고 이에 따른 대책이 필요할 경우 그리고 국빈 등 VIP테러의 가능성이 높을 때 입니다.

    인천국제공항의 보호구역 관리로서, 보호구역 출입증을 발급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인원/차량 출입증 발급 및 관리 업무, 상업촬영 승인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인원정규출입증 발급절차는 출입증관리시스템을 통한 관리책임자의출입증 신청,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할 인천광역시경찰청에 신원조사 의뢰,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에 의한 구역심사 및 출입증발급대상자 본인의 보안교육 및 사진촬영,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출입증 발급 및 관리책임자에 의한 출입증 수령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인천공항 보호구역 관리를 위하여 항공보안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외곽침입감지시스템은 공항 외곽울타리의 침입시도를 감지하는 시스템이고 보안센터시스템은 경비보안시스템의 통합 및 지휘통제를 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영상감시시스템은 공항의 전 지역을 실시간으로 영상관제하는 시스템이며, 출입통제시스템은 공항 내 보안구역 출입의 통제를 담당합니다. 차량하부검색시스템은 보호구역 출입차량 하부를 스캔하여 검색하는 시스템이며, 대인검색시스템은 상주직원초소 출입 간 휴대품 검색을 실시하는 시스템입니다.

    인천국제공항 보호구역 출입증을 발급받아 보호구역에 출입하고자 하는 모든 인원은상주직원 전용 출입구를 이용해야 합니다. 여객터미널 상주직원 전용 출입구의 위치는 그림의 네모 모양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인천국제공항 외곽 출입초소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보호구역 차량출입증을 발급받아 보호구역에 출입하고자 하는 모든 인원 및 차량은 외곽 출입초소를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동영상을 통하여 인천공항의 보호 구역 위치를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레이 버튼을 클릭하면 영상이 시작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천공항 항공보안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인원 출입통제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지금부터 출입증별 세부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정규출입증은 보호구역내에서 상시 업무수행자를 대상으로 하며 자격제한은 5년 이내로 한정합니다. 그리고 상주임시출입증은 정규출입증 발급대상자의 허가 외 구역 출입자나 외교 및 의전용, 기관대여, 행사 및 훈련 참가자를 대상으로 발급되며 인솔자는 필요치 않습니다. 비상주임시출입증은 단기간 업무 수행자나 기관에 대여하는 것으로 인솔자가 필요한 출입증입니다. 순찰출입증은 감사, 점검 등 항공보안 및 안전의 확보를 위하여 공무상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발급되는 것으로 이 출입증의 경우 인솔자는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비표가 있는데요, 비표는 종이와 리본으로 되어 있습니다. 해당 대상으로는 훈련, 취재, 교육, 국가 행사 등 사장이 인정하는 경우로 종이 출입증의 경우 인솔자가 필요하고 리본 출입증의 경우 인솔자가 필요치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방문증은 당일 24시간 이내에 보호구역내 업무 수행자에게 발급되는 출입증으로 인솔자가 필요한 출입증입니다.

    인원 정규출입증 신청 및 발급절차를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관련기관 및 업체 등의 출입증 관리책임자가 출입증관리시스템을 접속합니다. 업체의 관리책임자는 고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한 후상단메뉴 정규출입증에서 신청을 진행합니다. 신청 시 소속 직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 1부를 첨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입증을 신청하면, 공항공사는 출입증 사용자에 대해 경찰청에 신원조사를 의뢰합니다. 여기에서 관리책임자는 제출 서류를 구비하여 방문 제출해야 합니다. 필요 서류로는 신원진술서 1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약식 1부, 기본증명서 상세 1부 등이 필요합니다. 신원조사 소요기간이 약 10일 정도 소요되오니 이 점 숙지하셔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신원조사 서류 제출 후 출입증 사용자는 온라인으로 보안교육을 이수하고, 신분증을 지참하여 사진촬영을 진행해야 합니다. 출입구역 심사 및 승인은 업무와 관련여부를 심사하는데A구역의 경우 관제기관 및 부서에서 승인하고 C구역은 인천공항세관에서 승인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B, D, E, F구역은 출입증관리센터에서 승인을 담당합니다. 신원조사 서류접수 후 10일 이내에 출입증관리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것을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신원조사결과서의 결과에 따라 이상이 없을 경우 출입증을 발급합니다. 그러나 특이사항이 발생할 경우 심사 후 발급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 발급비용을 납부하고 출입증을 발급 받습니다. 출입증발급료는 1매당 20,000원이며, 출입증관리책임자가 발급료를 납부하고 출입증을 수령하여 개인에게 배부토록 합니다.

    다음으로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보안검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촉수검색이란 항공보안 위협등급별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주직원 신체를 직접 손으로 정밀검색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개봉검색이란 X-ray 판독으로도 확인이 안될 경우 소지품을 직접개봉해서 위해 물품을 확인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신발검색이란 항공보안 위협등급별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주직원의 신발을 X-ray 장비를 활용하여 위해물품을 확인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전자제품검색이란 항공보안 위협등급별로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주직원이 소지한 전자제품을 폭발물흔적탐지장비로 폭약성분을 탐지검색 혹은 직접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폭발흔적탐지 검색이란X-ray 투입구에 판독할 수 없는 대형 자재 등에 묻어있는 폭약성분 흔적여부를 탐지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휴대용금속탐지기 검색이란 휴대용금속탐지장비로서 신체 검색 시 경보음의 발생부분을 확인하여 은닉된 위해물품을 적발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X-ray검색이란휴대물품 및 위탁수하물 등을 X-ray 검색장비로 위해물품 여부를 판독하는 검색을 말합니다.

    부가적인 안내사항으로 인천공항의 보호구역 운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항에 따라 B구역을 여객터미널별로 구분 운영합니다. B구역 신청자는 반드시 본인의 업무상 출입이 필요한 지역에 한하여 출입증을 신청하여야 하며, 정규출입증 수령 시 출입이 허가된 터미널에 해당하는 보안스티커를 수령하여 출입증에 부착하여야 합니다. 모든 터미널 출입자는 스티커를 별도로 부착하지 않으며, 제1여객터미널 및 탑승동 출입자는 노란색 스티커, 제2여객터미널 출입자는 파란색 스티커를 부착하여야 합니다. 보호구역 B구역 출입 시 출입이 허가된 지역인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보호구역으로 인원이 출입하는 일반적인 절차를 동영상을 통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항공보안의 위협등급 별 출입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영상으로 살펴본 평시 및 관심 단계의 출입통제 절차부터 살펴볼까요? 먼저 바구니에 소지한 모든 소지품을 꺼내 담은 후 휴대물품 검색대에 투입합니다. 인사를 나누고, 출입증 및 허가지역을 -2 확인합니다. 신체 검색을 마친 후에는 X-ray를 통해 휴대물품을 검색합니다. 모든 절차가 끝나면 보호구역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주의 단계에서 진행되는 출입통제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의 단계에서는 평시 및 관심 단계의 절차에서 추가적으로 강화가 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먼저, 휴대물품 투입 과정에 신발 검색이 추가되어 높이가 3.5cm 이상인 신발은 벗어서 검색하게 됩니다. 신체 검색에서 촉수 검사 등이 강화가 되며, 전자제품에 대해 폭발물 탐지가 50%의 비율로 보안검색을 하는 과정이 추가 됩니다.

    다음은 경계 단계에서 진행되는 출입통제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계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강화되는 절차로는 먼저, 휴대물품 투입 과정에 신발 검색이 추가되는데 출입자 전원은 신고 있는 신발을 벗어서 검색하게 됩니다. 신체 검색에서는 주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촉수 검사 등이 강화되며, X-ray 검색에서 전자제품에 대해 폭발물 탐지가 75%의 비율로 보안검색을 하는 과정이 추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심각 단계에서 진행되는 출입통제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각 단계에서는 가장 통제가 강화되는 절차입니다. 먼저, 경계 단계와 마찬가지로 휴대물품 투입 과정에 신발 검색이 추가되는데 출입자 전원은 신고 있는 신발을 벗어서 검색하게 됩니다. 신체 검색에서는 촉수 검사 등이 대폭 강화되며, X-ray 검색에서는 모든 전자제품에 대하여 폭발물 탐지가 이루어집니다.

    지금 보시는 것은 각각의 보안검색과 출입절차를 항공보안의 위협등급 별로 정리한 표입니다. 간략하게 알아보면 먼저, 상주직원 출입초소에서 개봉검색 혹은 폭발물탐지 및 촉수검색은 평시와 관심단계는 10%, 주의 단계는 15%, 경계단계는 20%, 심각단계는 50% 비율로 강화하여 보안검색을 하며 신발 및 외투 보안검색은 주의 단계 이상에서 신발 굽이 3.5cm 이상인 경우와 외투는 X-ray 보안검색을 하며 경계와 심각단계는 100% X-ray 보안검색을 실시합니다. 전자제품류 폭발물탐지 검색 혹은 작동여부 확인은 주의 단계 50%, 경계단계 75%, 심각단계 100% 비율로 보안검색을 실시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원 출입통제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차량 출입통제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지금부터 차량출입증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량출입증의 종류는 정규출입증, 임시출입증, 단기출입증, 지하서비스도로에서 사용하는 출입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면에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각 출입증별 세부내용에 대해 알아보면, 먼저차량정규출입증은 상주기관 및 상주업체 공식업무 수행차량이 발급대상이며 발급 받은지 1년 이내의 출입증이어야 합니다. 차량임시출입증은 3개월 이내의 임시 공식업무 수행차량이 발급대상이며 인솔자는 없어도 됩니다. 차량단기출입증은 24시간 이내 단기 공식업무 수행차량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의 경우 인솔자가 필요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하서비스도로의 차량정규출입증은 상주기관 및 상주업체 공식업무 수행차량을 대상으로 하고 발급받은지 1년 이내의 출입증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지하서비스도로의 차량단기출입증은 24시간 이내의 단기 공식업무 수행차량으로 출입증을 발급 받은 지 1일 이내의 출입증이어야 합니다.

    차량 출입구역은 A 관제시설지역, D 부대건물지역, E 항공기 이동지역, F 화물터미널지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A 관제시설 지역은 세부시설로 AICC, 서울접근관제소, 인천항공교통관제소, 비상접근관제소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D 부대건물 지역은 주변전소B, 왕산레이더, 제1, 2신불레이더, 관제송신소, 관제수신소, TVOR/DME, VOR/DME, 정보통신동이 세부시설에 해당합니다. E 항공기 이동지역은 활주로, 유도로, 주기장, 계류장 등을 포함한 항공기 이동지역, 이동지역주변 GSE도로, 수하물처리지역, 지하공동구가 이에 해당하는 세부시설이며, F 화물터미널지역은 화물터미널, 화물창고 지역으로 일반인 출입이 금지되는 지역이 세부시설에 해당합니다. 인원 출입구역과 달리, 차량 출입구역에는 B, C 구역이 없기 때문에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지금부터 차량출입증 신청절차를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관련기관 및 업체 등의 출입증 관리책임자가 출입증관리시스템에 접속합니다. 정규 및 임시출입증의 경우 업체의 관리책임자는 고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하고 상단메뉴에서 차량출입증을 클릭한 후 신청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단기출입증의 경우 정규출입증 소지자 인증 후 접속하시면 됩니다.

    출입증을 신청한 후에는 정규, 임시, 단기출입증 별로 각각 필요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먼저, 정규출입증 발급 시 구비서류를 살펴보면, 자동차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 보험증서 사본 1부, 상주업체 소유차량이 아닐 경우 차량임대차 계약서 등 계약관련서류를 구비하여야 하고 그 밖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다면 구비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임시출입증 발급 시 구비서류를 살펴보면, 자동차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 상주업체 소유차량이 아닐 경우 차량임대차 계약서를 구비하여야 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다면 구비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단기출입증 발급 시 구비서류를 살펴보면, 자동차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 개인 소유의 승용 또는 승합차의 경우 계류장사용료면제요청서 또는 작업계획서를 첨부하여 업무목적의 차량임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심사 및 승인의 경우 A구역은 별도이오니 이 점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신청이 끝나면 출입증관리센터의 심사 후비용납부상태가 됩니다. 출입증관리시스템의 차량 발급현황에서 고지서를 출력하여 정규출입증은 출입증발급료, 임시 및 단기출입증은 계류장사용료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출입증의 신청을 기준으로 정규출입증의 경우 최대 7일전, 임시출입증의 경우 최대 5일전, 단기출입증은 당일에 발급되며, 출입할 수 있는 기간은 정규출입증은 1년 이내, 임시출입증은 90일 이내, 단기출입증은 24시간입니다. 차량출입증 신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출입증관리시스템의 출입증 신청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보호구역으로 차량이 출입하는 일반적인 절차를 동영상을 통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항공보안의 위협등급별 차량 출입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영상으로 살펴본 평시 및 관심 단계의 차량 출입통제 절차부터 살펴볼까요? 먼저, 자동 시스템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게 되고 차량 출입증을 확인한 뒤차량 검색을 실시합니다. 차량탑승자는 하차하여 보안검색을 받고 문제가 없다면 보호구역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주의 단계에서 차량 출입통제의 절차가 어떻게 강화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의 단계에서는 평시 및 관심 단계의 절차에서 추가적으로 강화가 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강화되는 사항으로는 차량을 검색할 때 스페어 타이어 저장 공간과 하부 검색을 추가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경계 단계에서 차량 출입통제의 절차가 어떻게 강화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경계 단계에서는 주의 단계의 절차에서 추가적으로 강화가 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강화되는 사항으로는 차량을 검색할 때 급유구 검색이 추가 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심각 단계에서 차량 출입통제의 절차가 어떻게 강화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심각 단계에서도 경계 단계의 절차에서 추가적으로 강화가 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강화되는 사항으로는 먼저, 차량을 검색할 때차량내외부 폭발물 흔적 탐지검사가 추가 되고, 엔진룸 내 워셔액이나 냉각수 등의 개봉 상태 등을 확인하는 것이 추가 됩니다.

    지금 보시는 것은 각각의 보안검색과 차량 출입절차를 항공보안의 위협등급별로 정리한 표입니다. 먼저, 평시 및 관심 단계에서의 차량출입증과 번호판 검색은 주의 단계에서 평시 및 관심 단계 보다 검색 시간이 길어지며, 경계 단계에서는 주의 단계와 동일하나 검색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그리고 심각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경계 단계와 동일하나 검색 시간이 길어집니다. 차량내부 검색은 심각 단계에서 차량의 내·외부 검색이 강화 됩니다. 트렁크 검색의 경우 주의 단계에서 스페어 타이어 하부 검색이 추가되며, 심각 단계에서 차량의 내·외부 폭발물 흔적 탐지가 추가 됩니다. 엔진룸 검색의 경우 심각 단계에서 엔진룸 내 워셔액이나 냉각수 등을 개봉하여 확인하는 검색이 추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차량의 외부 확인은 경계 단계에서 급유구를 열어 오일 냄새 등을 확인하는 검색이 추가 되고 심각 단계에서는 폭발물의 흔적을 탐지하는 검사가 추가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차량 출입통제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준수사항 및 제재조치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지금부터 보호구역 출입 시 준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출입증은 목에 걸거나 왼쪽 가슴 부분에 패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표준 착용 방법으로 상반신 잘 보이는 곳에 패용해야 합니다.

    보안 출입문 사용 후 잠김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안 출입문 출입 시 뒤따라 출입하는 사람이 없도록 해야 하고 비인가자가 뒤따라 출입할 경우 제재대상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호구역 진입/진출 시 모든 소지품은 보안검색을 받아야 합니다. 참고로 반입금지 위해물품에 해당하는 것이 여러 종류이기 때문에 숙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공구류, 카메라 등은 사전에 인가를 받아야 보호구역내 반입이 가능하므로 공구류는 입주자서비스포털, 카메라는 출입증관리시스템을 통해 사전 신청 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면세품을 반출할 경우 관세법에 의해 처벌됩니다. 여행객으로부터 받은 선물도 반출 금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차량출입초소 출입 시 협조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량출입증을 차량 전면에 부착해야 하고이동지역 운전시 이동지역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이동지역 면허를 소지한 인솔자가 직접 인솔해야 합니다. 비인가된 도검류, 공구류 등 테러사용 가능 위해물품은 반입이 불가합니다. 진출입 시 차량 내부, 트렁크 등 보안검색에 협조해야 하며

    탑승자는 소지품을 가지고 하차하여 보안검색에 협조해야 합니다. 휴대폰 및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로 촬영이 금지되며 어길 시 처벌이 가능합니다. 비정상적인 면세물품을 보호구역외로 반출이 불가합니다. 지하서비스도로 이용 시 지하서비스도로 차량출입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준수사항 및 제재조치와 관련된 내용을 동영상을 통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협박전화 접수 시 대응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통화시간 등 특이사항을 메모하고 협박자의 통화내용을 주의 깊게 청취하고 바로 끊지 말고 계속 통화하도록 합니다. 가능한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대화를 길게 유도하고폭발물 위치에 대한 질문과 폭발시 다수가 희생될 수 있다고 설득합니다. 그리고 통화종료 시 즉시 대테러상황실로 신고합니다.

    이번에는 방치가방/의심물품의 식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폭발물 의심물체의 경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폭발물 의심물체의 외형적 특징은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 되어 있고, 원래의 형태가 훼손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외부에 전선 또는 스위치가 달려있으며, 다소 어울리지 않는 장소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과도한 포장이 되어 있거나 젖어 있으며, 수취인이 불명확한 우편물일 확률이 높고, 시큼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폭발물 의심물체를 발견할 경우 하지말아야 할 행동으로는 건드리거나 만지지 말아야 하며, 발견장소에서 이동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군중을 절대 집합하게 하지말아야 합니다.

    폭발물 의심물체를 발견할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먼저, 대테러센터로 발견즉시 신고해야 하며, 신고 시 발견장소, 발견시간, 특이사항을 반드시 이야기해야 합니다. 그리고 의심물품으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생물 상황 의심물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생물 상황 의심물체의 외형적 특징은미상의 분말이 밀봉 포장되어 있거나, 어울리지 않는 장소에 뭉치로 놓여 있으며, 시설물이나 바닥에 뿌려져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 상황 의심물체를 발견할 경우 하지말아야 할 행동으로는 발견물체를 개봉하지 말고접촉한 손으로 신체를 만지지 말아야 하며, 가루가 몸에 묻었다면 털지 말아야 합니다.

    생물 상황 의심물체를 발견할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먼저, 발견즉시 신고하고신고 시 발견장소, 발견시간, 특이사항을 반드시 이야기 해야 합니다. 그리고 창문을 닫고 공조시설을 꺼야 하며 손은 비누로 씻고 옷은 벗어야 합니다. 현장 주변 인원은 무단이탈을 금지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대기후 결과에 따라 의료조치 받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안보위해물품을 발견 했을 경우 협조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안보위해물품을 발견 했을 경우 하지 말아야 할 행동으로는 탄약을 임의로 분해하거나 훼손하지 말고, 탄저 부위 특히, 하단부에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안보위해물품을 발견할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먼저, 발견즉시 신고하고취급자의 신원, 취득 경위, 특이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방치가방이나 의심물품의 신고가 접수된 테러대응팀의 업무 이행 절차를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테러 접수 전화가 오면 바로 위치 확인을 합니다. 장비를 갖춘 후 현장으로 출동합니다. 현장에 도착하면 지역을 확보하고 안전선을 설치합니다.

    이어서 방치가방 및 의심물품을 발견하고 신고 조치를 취한 후 반드시 지켜야 할 행동을 알아보겠습니다. 신고 장소에 출동한 통제요원의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하는데 이 때, 신고 장소를 여기저기 기웃거리지 말아야 하며,

    신고 장소에서 촬영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통제된 현장을 가로질러 물건을 이동하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 현장에서 의심 인물을 발견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의심 인물을 발견했다면 반드시 보안요원에게 바로 전달해야 합니다. 의심 인물로 특정 지을 수 있는 인원은현장주변을 계속적으로 배회하거나,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촬영하는 사람 그리고 주변사람들을 힐끗거리거나 과도한 복장 등을 갖춘 사람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사람을 발견 했다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출입증규정 위반 시 제재조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출입증 관리 부분의 위반 사항과 제재 수준입니다. 보호구역에서 출입증을 미패용하거나 미소지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출입정지, 3회 이상 위반 시 10일 출입정지가 됩니다. 그리고 출입증을 분실할 경우 1회 분실 시 5일, 2회 분실 시 10일, 3회 이상 분실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에 처해집니다. 또한 출입증을 훼손할 경우 5일의 출입정지의 제재가 부과됩니다.

    다음으로 테일게이팅에 관련된제재조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테일게이팅의 경우 사용자는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되며, 동반출입자는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보안 출입문 개방방치나 테일게이팅 의한 밀입국 그리고 밀수출입이나 보안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출입정지 3년의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또한, 보안 출입문이 개방된 것을 방치하는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테일게이팅을 목격했는데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경고 조치합니다.

    이번에는 출입증을 부정 사용할 경우 부과되는 제재 수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타인출입증을 사용하여 보호구역의 출입을 시도할 경우 출입증의 사용자는 경고 조치에 처해지는데 만약 고의적으로 시도하였을 경우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출입증의 소유자는 3일 동안 출입정지가 됩니다.그리고 타인출입증을 사용하여 보호구역에 출입을 할 경우 사용자는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소유자는 출입증 대여를 동의한 경우 3년, 동의하지 않은 경우 1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유효하지 않은 출입증의 사용을 시도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3일의 출입정지 그리고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출입증으로 보호구역 내에 잔류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또한 임시, 방문출입증 발급확인서를 분실하거나 미소지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출입증을 발급목적과 다르게 사용할 경우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출입증을 부정사용하여 공항운영 및 보안에 위해 행위를 한 경우 3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증 발급을 위해 허위로 서류를 작성할 경우, 출입증 회수 및 허위서류 작성자는 5년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 또한 출입증 발급확인서를 위조하거나 발급내용을 무단으로 변조하는 경우 위조자 또는 변조자는 1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 발급확인서를 무단으로 복사하여 사용할 경우 해당 인솔자는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다음으로 비인가지역의 출입 및 인솔과 관련된 제재 수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비인가 구역에 출입을 시도하거나 중복 인솔하여 보호구역에 진입을 시도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비인가 구역에 출입하거나 중복 인솔하여 보호구역에 진출입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고의적인 의사가 확인될 경우 9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만약 비인가 지역을 출입하는 자를 인지하고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경고 조치가 부과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하며,출입증 미소지자를 보호구역으로 무단 인솔할 경우 인솔자는 3년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그리고 보호구역내에서 임시출입증 소지자를 미인솔하거나 발급확인서상 허가받지 않은 인솔자가 인솔한 경우 해당 인솔자는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출입구역이 F를 포함한 2개 이상인 경우 최초 진입 및 최종 진출 시 공항운영자가 운영하는 출입초소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인솔자는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이번에는 출입증규정에 대한 관리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입증 발급확인서와 다르게 출입증을 배포하는 경우 인솔자 또는 관리책임자에게 1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증 반납사유가 발생한 후 7일 이내에 사전 통보 없이 반납을 지연할 경우 해당 관리책임자 또는 차량관리자는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하거나 20일 이상 반납을 지연할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방문증, 차량단기출입증을 지정기한 내 미반납한 경우 인솔자는 1회 위반 시 경고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하거나 7일 이상 반납을 지연할 경우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지정 기한내 협의 없이 반납하지 않아 출입증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무효 처리한 경우에는 해당 무효처리자는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분실신고 후 다시 찾은 출입증을 습득신고하지 않은 경우 관리책임자는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 분실자가 최초 분실일로부터 7일 이내에 분실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분실자 또는 차량관리자는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이어서업체제재 수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속직원의 밀수출입, 밀입국, 보안위협, 보안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소속인원의 10~25% 범위에서 5~10일간 정규출입증 신규 발급이 1개월간 중지되며, 방문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은 10일간 발급 중지됩니다. 그리고 소속직원이 보호구역 출입정지 30일 이내 제재조치가 1개월 동안 10회 이상 발생할 경우 방문출입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의 발급이 10일간 중지됩니다. 또한, 소속직원이 보호구역 출입정지 30일 이상 제재조치가 1개월 동안 3회 이상 발생된 경우에는 소속인원의 10%가 5일간 정규출입증 신규 발급이 1개월간 중지되며, 방문출입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의 발급이 10일간 중지됩니다.

    다음으로 행정처분 및 재산피해를 살펴보겠습니다. 밀수출입, 밀입국, 출입국심사 회피 등으로 행정처분 또는 판결을 받았을 경우 3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보호구역에서 내국물품을 무단으로 반출하여 행정처분을 받거나 판결을 받은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제재 기간 중에 보호구역 출입을 시도하거나 출입을 한 경우 마찬가지로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기타 출입증규정 위반 시제재조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출입증 발급직원 및 보안요원의 출입통제 및 보안검색 등 정당한 업무 수행에 대하여 출입증 및 신분증 확인 불응, 거부, 허위 진술, 반항, 위협, 폭언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보안요원의 출입통제 및 보안검색 등 정당한 업무 수행을 거부하고 도주한 경우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그리고 허가받지 않은 위해물품이 출입초소에서 적발된 경우 출입증소지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또한 보호구역 내에서 위해물품을 방치하거나 분실한 경우 출입증소지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마지막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중에 무단으로 탑승교의 층간을 이동한 경우에는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참고로 모든 위반사항에 대한 누적회수 산정기간은 최초 제재일로부터 3년간으로 지정되어 있으니 해당 사항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준수사항 및 제재조치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그 동안 배운 내용을 평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출입증 관리책임자란회사를 대표하여 출입증 관리, 발급신청, 반납 등 보호구역 출입증과 관련한 제반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그 역할로는 출입증 신청 시 해당 내용을 점검하고, 각종 규정위반으로 인한 제재관리를 해야 하며, 출입증 소지자가 퇴직, 전출, 교육, 출장, 파견 등으로 보호구역 출입사유가 종결되거나 변경될 경우 출입증을 회수,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관리책임자가 출장, 휴가 등으로 부재시 사전 협의 후 위임장을 소지한 대리인이 출입증 업무를 대행조치하고 3개월 이상 장기 부재시에는 관리책임자를 변경해야 합니다. 각 업체의 출입증 관리책임자는 해당 업체의 출입증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총괄하고 창구역할을 하는 직책임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또한, 출입증 발급 업무 중 허위서류를 작성하여 출입증을 발급받거나 발급받은 사실이 사후 적발된 경우, 출입증규정에 따라 출입증 회수 및 인천국제공항 보호구역 출입정지 5년의 제재가 가해지니 이점 유의해야 합니다.

    정규출입증 신청 시 먼저, 상주업체 등록, 출입증 관리책임자 지정 신청, 총량요청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총량은 인원정규출입증 발급 시 업무목적으로 보호구역 출입이 필요한 인원에 대한 구역별 발급수량을 말합니다. 업체등록을 위한 서류는 공문 형식의 신청서, 공항 상주 증빙서류, 보호구역내 업무수행을 증명할 수 있는 상주기관 또는 상주업체와의 공사 또는 용역 계약서, 사업자등록증이 필요하며, 항공사의 경우 정기편 운송허가증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출입증관리책임자 신청을 위한 서류는 공문형식의 신청서와 재직증명서이며 물류 업체 및 관세사무소는 4대보험 납부증명서 중 1부를 추가 제출하여야 합니다. 업체등록 서류와 출입증관리책임자 신청서류는 출입증관리 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한꺼번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정규출입증 신청을 위해 필요한 총량 증원 신청서류는 출입증관리시스템의 총량증원 신청서와 추가되는 총량과 동일한 인원의 재직증명서이며, 물류 업체 및 관세사무소는 해당 인원에 대한 4대보험 납부증명서 중 1부를 추가 제출하셔야 합니다.

    정규출입증 발급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인원정규출입증 발급절차는 출입증신청, 신원조사의뢰, 구역심사 보안교육, 사진촬영, 출입증발급 및 수령 순으로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출입증관리시스템의 출입증 신청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리책임자는 출입증관리시스템에서 자사직원의 정규출입증을 신청한 후 신원조사 의뢰를 위한 서류를 인천국제공항공사 출입증관리센터로 제출해야 합니다. 신원조사기관인 인천광역시경찰청에 신원조사 의뢰를 위해서는 공통서류와 내국인, 외국인, 해외교포는 각각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특히 내국인이 제출해야 할 서류 중 기본증명서는 상세증명서를 제출해야 함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외국인의 경우 여권사본 1부, 외국인등록증 사본 1부, 외국인등록 사실증명서 또는 국내거소 사실증명서 1부를 제출해야 하며, 범죄경력증명서 및 한국어 번역 공증 1부 그리고 아포스티유 확인서 1부를 제출해야 합니다.

    더불어 영주권자의 경우 여권 사본, 영주권 사본, 기본증명서, 범죄경력증명서 및 한국어 번역 공증, 아포스티유 확인서 1부를 제출해야 합니다.

    관리책임자는 정규출입증 신청 시 출입증발급대상자 본인이 출입증관리시스템상에서 개인정보동의, 보안교육이수 및 시험 합격을 하고 신분증을 소지한 후 발급대상자 본인이 출입증관리센터를 방문하여 사진촬영을 하도록 안내하는 등 출입증발급에 관한 일련의 절차를 관리해야 하는 역할을 해야 함을 주지하여 주십시오.

    상주업체 상호 변경 및 고용승계에 따른 소속 변경으로 인원정규출입증을 재발급 받고자 하는 자는 법인등기부등본 또는 사업자등록증을 첨부하고개명에 따른 인원정규출입증을 재발급 받고자 하는 자는 법원 판결문 또는 개명 후 주민등록표 초본을 첨부합니다.

    신청업체의 정규출입증 총량증원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총량증원요청 공문과 함께 사업확장서류 또는 재직증명서를 제출하며, 관세 물류업체의 경우 추가로 4대 보험 서류 중 1부를 추가제출하면 됩니다. 총량증원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출입증관리시스템의 서식자료실을 참고하세요

    임시출입증은 신청 요건에 따라 상주임시출입증, 비상주 임시출입증으로 구분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관리책임자는 출입증규정 제30조에 따라 임시출입증 발급 요건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첨부서류는 소속직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 1부, 상주기관과 계약된 경우 해당 계약서류 1부, 외국인의 경우 여권 사본 1부, 상주임시출입증 신청자 중 신원조사가 필요한 경우 신원조사서류 1식을 제출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외국인정비사의 경우 외국인정비사 출입신원보증서 1부, 45일 이상 출입 필요 시 비자 또는 외국인등록증 사본 1부를 추가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입증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신청 시 개인정보 및 출입목적, 출입구역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출입기간 종료 후 7일 이내에 임시출입증을 반납합니다. 또한, 비상주 임시출입증의 경우 반드시 정규출입증 소지자의 인솔하에 출입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보호구역 출입 시 출입구역 및 출입기간을 사전 확인해야 합니다. 허위서류를 작성하여 출입증을 발급받거나 발급받은 사실이 사후에 적발된 경우 출입증 회수 및 “허위서류 작성자”는 5년간 출입정지가 됨을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방문출입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10월 5일부터 T1은 연중무휴 시행하는데 T1 출입증관리센터의 경우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이 되고 있으며, T2 출입증관리센터는 현행과 같이 평일 일과시간에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방문증 발급 제한 사유로는 출입증 신청자가 고의적으로 사용목적을 변경하거나 단순방문, 견학 등의 목적으로 신청하는 등 출입 사유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출입증 발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방문증의 경우 24시간 이내로 신청 가능하며, 당일 발급 및 출입종료 당일에 출입증관리센터에 반납하여야 합니다.

    방문시간은 원칙적으로 24시간 이내이나 작업시간 연장으로 담당자와 사전 협의가 된 경우에는 2회에 한하여 연장할 수 있으니 상세 사항은 출입증관리센터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관리책임자 또는 인솔자와 함께 방문자 전원은 본인의 신분증을 소지한 후 출입증관리센터로 방문하여 본인의 신분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차량출입증의 심사와 발급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상주업체의 공식 업무 수행차량과 상주기관 및 공사의 업무용 또는 개인차량은 차량정규출입증을 발급 받아야 하며, 상주기관 및 업체의 임시적인 업무로 출입이 필요한 차량이나 자재 또는 물품 납품을 위해 임시적으로 출입이 필요한 차량의 경우 차량임시출입증을 발급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자재 또는 물품 납품을위해 단기적으로 출입이 필요한 차량이나 기타 업무 목적으로 보호구역 출입이 단기간 필요한 차량의 경우 차량단기출입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차량출입증은 정규출입증과 임시출입증, 단기출입증으로 나뉩니다. 정규출입증의 경우 차량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 보험증서 사본 1부, 차량임대차계약서가 필요하며, 필요 시 추가 기타 서류가 필요합니다. 임시출입증은 차량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가 필요하고, 상주업체 소유 차량이 아닐 경우 차량 임대차 계약서 등 계약 관련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개인 승용/승합차 의 경우 출입목적이 업무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계류장사용료면제대상 차량의 경우 계류장사용료면제요청서 사본 1부를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필요 시 기타 서류가 필요합니다.

    단기출입증 신청시에는 차량등록증 또는 건설기계등록증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개인 소유의 승용 또는 승합 차량일 경우 출입목적이 업무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계류장사용료 납부방법은 업체 등록시 등록된 업체로 기본 청구 가능 하나, 추가로 청구할 회사를 등록 요청하여 청구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차량 정규출입증 및 차량 임시출입증은 출입일시 종료 후 7일 이내에 출입증관리센터에 반납하여야 하며, 차량 단기출입증은 출입일시 종료 후 즉시 차량출입초소에 반납하여야 합니다.

    지금부터 출입증규정 위반 시 제재조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출입증 관리 부분의 위반 사항과 제재 수준입니다. 보호구역에서 출입증을 미패용하거나 미소지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출입정지, 3회 이상 위반 시 10일 출입정지가 됩니다. 그리고 출입증을 분실할 경우 1회 분실 시 5일, 2회 분실 시 10일, 3회 이상 분실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에 처해집니다. 또한 출입증을 훼손할 경우 5일의 출입정지의 제재가 부과됩니다.

    다음으로 테일게이팅에 관련된제재조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테일게이팅의 경우 사용자는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되며, 동반출입자는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보안 출입문 개방방치나 테일게이팅 의한 밀입국 그리고 밀수출입이나 보안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출입정지 3년의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또한, 보안 출입문이 개방된 것을 방치하는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테일게이팅을 목격했는데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경고 조치합니다.

    이번에는 출입증을 부정 사용할 경우 부과되는제재 수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타인출입증을 사용하여 보호구역의 출입을 시도할 경우 출입증의 사용자는 경고 조치에 처해지는데 만약 고의적으로 시도하였을 경우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출입증의 소유자는 3일 동안 출입정지가 됩니다.그리고 타인출입증을 사용하여 보호구역에 출입을 할 경우 사용자는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소유자는 출입증 대여를 동의한 경우 3년, 동의하지 않은 경우 1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유효하지 않은 출입증의 사용을 시도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3일의 출입정지 그리고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출입증으로 보호구역 내에 잔류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또한 임시, 방문출입증 발급확인서를 분실하거나 미소지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출입증을 발급목적과 다르게 사용할 경우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9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출입증을 부정사용하여 공항운영 및 보안에 위해 행위를 한 경우 3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증 발급을 위해 허위로 서류를 작성할 경우출입증 회수 및 허위서류 작성자는 5년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 또한 출입증 발급확인서를 위조하거나 발급내용을 무단으로 변조하는 경우 위조자 또는 변조자는 1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 발급확인서를 무단으로 복사하여 사용할 경우 해당 인솔자는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다음으로 비인가지역의 출입 및 인솔과 관련된제재 수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비인가 구역에 출입을 시도하거나 중복 인솔하여 보호구역에 진입을 시도할 경우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비인가 구역에 출입하거나 중복 인솔하여 보호구역에 진출입할 경우 사용자 또는 인솔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1회 위반 시 10일, 2회 위반 시 30일, 3회 이상 위반 시 고의적인 의사가 확인될 경우 9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만약 비인가 지역을 출입하는 자를 인지하고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경고 조치가 부과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하며,출입증 미소지자를 보호구역으로 무단 인솔할 경우 인솔자는 3년의 출입정지가 부과됩니다.그리고 보호구역내에서 임시출입증 소지자를 미인솔하거나 발급확인서상 허가받지 않은 인솔자가 인솔한 경우 해당 인솔자는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출입구역이 F를 포함한 2개 이상인 경우 최초 진입 및 최종 진출 시 공항운영자가 운영하는 출입초소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인솔자는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 시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이번에는 출입증규정에 대한 관리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입증 발급확인서와 다르게 출입증을 배포하는 경우 인솔자 또는 관리책임자에게 10일의 출입정지 제재조치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증 반납사유가 발생한 후 7일 이내에 사전 통보 없이 반납을 지연할 경우 해당 관리책임자 또는 차량관리자는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하거나 20일 이상 반납을 지연할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방문증, 차량단기출입증을 지정기한 내 미반납한 경우 인솔자는 1회 위반 시 경고조치, 2회 위반 시 3일, 3회 이상 위반하거나 7일 이상 반납을 지연할 경우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지정 기한내 협의 없이 반납하지 않아 출입증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무효 처리한 경우에는 해당 무효처리자는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분실신고 후 다시 찾은 출입증을 습득신고하지 않은 경우 관리책임자는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출입증 분실자가 최초 분실일로부터 7일 이내에 분실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분실자 또는 차량관리자는 5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이어서업체제재 수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속직원의 밀수출입, 밀입국, 보안위협, 보안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소속인원의 10~25% 범위에서 5~10일간 정규출입증 신규 발급이 1개월간 중지되며, 방문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은 10일간 발급 중지됩니다. 그리고 소속직원이 보호구역 출입정지 30일 이내 제재조치가 1개월 동안 10회 이상 발생할 경우 방문출입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의 발급이 10일간 중지됩니다. 또한, 소속직원이 보호구역 출입정지 30일 이상 제재조치가 1개월 동안 3회 이상 발생된 경우에는 소속인원의 10%가 5일간 정규출입증 신규 발급이 1개월간 중지되며, 방문출입증을 포함한 임시출입증의 발급이 10일간 중지됩니다.

    다음으로 행정처분 및 재산피해를 살펴보겠습니다. 밀수출입, 밀입국, 출입국심사 회피 등으로 행정처분 또는 판결을 받았을 경우 3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 보호구역에서 내국물품을 무단으로 반출하여 행정처분을 받거나 판결을 받은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출입제재 기간 중에 보호구역 출입을 시도하거나 출입을 한 경우 마찬가지로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마지막으로 기타 출입증규정 위반 시제재조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출입증 발급직원 및 보안요원의 출입통제 및 보안검색 등 정당한 업무 수행에 대하여 출입증 및 신분증 확인 불응, 거부, 허위 진술, 반항, 위협, 폭언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되며,보안요원의 출입통제 및 보안검색 등 정당한 업무 수행을 거부하고 도주한 경우 5년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그리고 허가받지 않은 위해물품이 출입초소에서 적발된 경우 출입증소지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경고,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또한 보호구역 내에서 위해물품을 방치하거나 분실한 경우 출입증소지자 또는 인솔자에게 1회 위반 시 5일, 2회 위반 시 10일, 3회 이상 위반 시 3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마지막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중에 무단으로 탑승교의 층간을 이동한 경우에는 1회 위반 시 경고 조치, 2회 위반 시 5일, 3회 이상 위반 시 10일의 출입정지 제재가 부과됩니다.

    참고로 모든 위반사항에 대한 누적회수 산정기간은 최초 제재일로부터 3년간으로 지정되어 있으니 해당 사항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관리책임자 보안교육 시험에 응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0점 이상 득하여야 합격입니다.

    Hello, Incheon Airport airport employee. This training is mandatory for those who wish to receive a permanent pass. First, please be familiar with the important points. Video security training consist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ir security, access control for personnel, access control for Vehicles, compliance and sanctions. Please take the evaluation after taking the training course.

    Pursuant to Article 25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regulation, those who wish to obtain a permanent pass must complete security training. Under these regulations, those who take this training must complete the security training and take the test themselves. If you get more than 80 points as a result of the test, your pass will be issued. If a person who has completed security training is found to have committed fraud such as proxy training or proxy test, he/she may take measures such as restricting the issuance of passes and retrieving passes, so please strictly prohibit proxy training and proxy testing by the person other than himself/herself, such as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of the company. In addition, this training and test questions reflect all the provisions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regulation, which were revised on january 1, 2022, so please focus on security education. Finally, security pass center staff and security officer are responsible for determining whether you can perform your duties within a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refore, the airport employee should actively cooperate with the work of the authorized personnel and security officer.

    Let's look at the basic concept of aviation security.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aviation security refers to measures that combine human and material factors to protect civil aviation from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including air terrorism.

    Let's move on to what is illegal aviation security. These include hijacking aircraft, taking aircraft or personnel hostage, destroying aircraft, airports and air navigation facilities, trespassing on aircraft, air navigation facilities and security restricted areas, bringing in restricted items such as daggers, explosives, and weapons, providing false information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aircraft, passengers, crew, and ground workers, terrorism by aircraft, and other acts of being punished under the Aviation Security Act.

    Because of its importance, aviation security forms an organic organizational system at home and abroa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s a specialized organization under the United Nations that oversees the policies and order of the global aviation industry, and Annex 17 to the ICAO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global aviation security. This i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oversees national aviation security polic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viation security. The local aviation authority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arries out supervision tasks such as on-site inspections and measures for aviation security. In addition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Seoul Regional Aviation Administrati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maintains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he Ministry of Justice, the Incheon Airport Police, the Incheon Main Customs, the Defense Security Command, and the 3rd Security Corps of the 17th Infantry Division.

    The major aviation security regulations are Annex 17 to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and the domestic regulations stipulate the designation of airport facilities security restricted areas, permission to access approval restricted areas, passenger safety and aircraft security, and penalties under the Aviation Security Act. Let's take a closer look at each of the regulations.

    First, let's look at Article 12 of the Aviation Security Act on the designation of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 airport operator shall designate area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airport facilities, such as areas where security checks have been completed, runways, and moorings, as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 the approval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airport operator may temporarily designate a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 the approval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f necessary, and matters necessary for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designation of security restricted areas under paragraphs 1 and 2 shall be prescrib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dinance.

    Let's continue to look at the authorization to access approval restricted areas under Article 13 of the Aviation Security Act. Any person who regularly works in airport facilities in a security restricted areas, or who needs to work in a security restricted areas for airport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airport facilities, or any other person who is deemed to need access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for the performance of his/her duties, may enter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 the permission of the airport operato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all prescribe matters necessary for the procedures for access approval, etc. under paragraph 1.

    Finally, Article 14 of the Aviation Security Act will discuss passenger safety and aircraft security. The airport operator and air transport service provider are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prevent prohibited substances from being brought into the aircraft and areas where security checks have been completed, as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ch as liquids and gels.

    Next, let's look at the management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Airport facility security restricted areas means area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airport facilities, such as areas where security checks have been completed, runways, and moorings. The presid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an airport operator, designated and operated a security restricted areas for the protection of airport facilities, such as areas where security checks have been completed, runways and moorings, with the approval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s is the status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Area A belongs to the air traffic control areas, Area B to the boarding areas, Area C to the baggage claim areas, Area D to the auxiliary building areas, Area E to the aircraft movement areas, and Area F to the cargo terminal areas. Please refer to attached Table 1 of the pass regulations for detailed areas. Also, please be aware that the unique characters of the control facility area can be written differently for each area or operator, and that permission for entry to and from boarding bridges and freight elevators is required for separate approval.

    This time, I will explain about the threat level of aviation security. The green alert is a low level of illegal activity threat.

    Also, the blue alert is when the possibility of civil aviation illegal activities is higher than normal, uncertain threat information is received on civil aviation, and terrorist acts are expected due to war, regional conflicts,

    The yellow alert i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ivil unrest that could affect civil aviation or political tensions, such as the inducement of protests or attacks on national symbols, or the presence of information on air terrorists entering the country, or the dispatch of military units in a terrorist threat area.

    The orange alert rating is in the event of a need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acquisition of credible information on air terrorism, a serious impact on civil aviation due to international disputes, and other major incidents affecting civil aviation safety.

    Finally, the Red alert rating is when information on feasible air terrorism is obtained and countermeasures are needed in case illegal acts against civil aviation occur or are imminent, and when VIP terrorism such as state guests is highly likely.

    As a security restricted areas managem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t issues and operates a security restricted areas pass, issues and manages personnel/vehicle passes, and approves commercial filming. The procedures for issuing a certificate of entry and exit are in the order of applying for the pass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through the pass management system, requesting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the Incheon Metropolitan Police Agency, examining the area b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and taking security education and photography of the person subject to the certificate issuance, issuing the pass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and receiving the pass by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We operate an air security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Incheon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To take a quick look at its configuration, the Outdoor Penetration Detection System detects the attempted intrusion of the outer fence of the airport, and the Security Center System is a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ntrols the security system. And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is a real-time video control system for all areas of the airport, and the access control system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access to security zones in the airport. The vehicle bottom search system is a system that scans and searches the underside of vehicles entering and leav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and the personal search system performs a portable search between resident and employee posts.

    All persons who wish to enter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 a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curity restricted areas pass must use the entrance only for the airport employee. Please refer to the square figure for the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s resident employee entrance.

    The security gate outsid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 All persons and vehicles who wish to enter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 a vehicle entry and exit from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can enter only through the outer security gate.

    This time, let's take a look at the location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rough the video.

    In this class, we learned about Incheon Airport's aviation security. Next time, we will learn about access control for personnel. Thank you.

    From now on, we will learn about the details of each pass. First of all, the Permanent pass is for regular business performers with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 and the qualification limit is limited to within 5 years. And the Residence Temporary Access Certificate is issued to non-permission visitors to areas subject to regular access, diplomatic and protocol, institutional rental, events and training participants, and no leaders are required. The pass for emergency attendance is a pass that requires a leader to lend to a person or institu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Patrol Entry Certificate is issued to a person who performs official duties to secure aviation security and safety, such as audit and inspection, and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for a leader. And there is a pass, which is made of paper and ribbon. The target is recognized by the president, such as training, coverage, education, and national events, and a leader is required for paper passes and a leader is not required for ribbon passes. Finally, the visitor's pass is a pass issued to the person performing the work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 within 24 hours of the day and is a pass that requires a leader.

    We will look into the procedure for applying for and issuing a permanent pass for personnel in order. First, the pass management manager of related agencies and companies accesses the pass management system.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of the company enters a unique ID and password to access Proceed with the application from the permanent pass on the top menu. When applying, please attach a copy of proof that you are an employee.

    When applying for a pass, Airport Corporation requests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conduct a background check on the pass user. And the manager in charge must bring the required documents and submit them in person. Required documents include one identity statement, on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agreement, one brief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agreement, and one detailed basic certificate. The background check takes about 10 days, so please be aware of this and prepare.

    After submitting the background check documents, pass users must complete security training online and take pictures with their ID cards. The immigration and approval of the entrance area are reviewed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work, and in the case of zone, the control agency and department approve it, and zone C is approved by Incheon Airport Customs. And areas B, D, E, and F are approved by the immigration center. Please be aware that you must visit the pass management center within 10 days of receiving the background check document.

    If there is no more than according to the result of background check, a pass will be issued. However, in the event of a specific issue, the issue will be decided after examination.

    Finally, pay the pass issuance fee and get the pass. Pass issuance fee is 20,000 won per ticket, and pass management manager pays the issuance fee, receives the pass, and distributes it to individuals.

    Next, let's take a look at security screening for access to security restricted areas. First of all, Passenger physical search refers to direct hand-exact search of the body of a airport employee according to a set ratio by AVSEC levels.

    And unopened search refers to a search in which the belongings are directly opened and items are checked if they cannot be confirmed by X-ray reading.

    Shoe screening refers to a search for restricted items by using X-ray equipment for the shoes of airport employees according to a set ratio for each AVSEC levels.

    Electronic product search refers to a search for detecting explosive material or directl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electronic products possessed by airport employees according to the ratio set for each AVSEC levels with explosive trace detection equipment.

    Explosion trace detection refers to a search that detects traces of explosive material on large materials that cannot be read at the X-ray slot.

    The hand held metal detector is a hand held metal detector, which identifies the part of the body wher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and detects hidden restricted items.

    Lastly, X-ray scanning refers to the search for carrying items and checked hold baggage, etc., to read the presence of restricted items with X-ray scanning equipment.

    As an additional guide, we will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at Incheon Airport.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Area B is operated separately for each passenger terminal. Applicants for Area B must apply for a pass only in areas where access is required for their business, and when receiving a permanent pass, they must receive a security sticke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ermitted access and attach it to the pass. All terminal entrances and exits do not attach a separate sticker, a yellow sticker is required for passengers entering Terminal 1 and the boarding hall, and a blue sticker for passengers entering Terminal 2 is. When enter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B, please make sure that the area is permitted to enter.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general procedure for personnel entering and exit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rough a video.

    Next, we will learn more about the access procedures for each threat level of aviation security. Let's look at the access control procedure at the Green/Blue alert that we saw in the video above. First, take out all your belongings in the basket, put them in, and put them into the carry-on search. Say hello, and check for pass and permit areas. After completing the body search, search for carry-on items through X-rays. After all the procedures are done, you can go through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Next, let's take a look at the access control procedure in the yellow alert. At the state level, there are procedures that are additionally strengthened in the green alert and blue alert procedures. First, a Shoe screening has been added to the carry-on process, so shoes with a height of 3.5cm or more are removed and searched. In body search, passenger physical search, etc., are reinforced, and explosives detection for electronic products is added with a security check at a rate of 50%.

    Next, let's take a look at the access control procedure in the orange alert. In the boundary step, the procedure to be reinforced is. First, a Shoe screening is added to the carrying item input process, and all visitors take off the shoes they are wearing to search. In body search, like the orange alert, passenger physical search is reinforced, and in X-ray search, the process of security screening with 75% of explosive detection for electronic products is added.

    Finally, let's take a look at the access control procedure in the red alert. The Severe phase is the most controlled procedure. First, similar to the orange alert, a Shoe screening is added to the carry-on input process, and all visitors take off the shoes they are wearing to search. In body search, passenger physical search, etc., are greatly enhanced, and in X-ray search, explosives are detected for all electronic products.

    What you see now is a table that summarizes each security check and access procedure by threat level of aviation security. Briefly, First, the Physical bag search or explosive detection and Passenger physical search at the airport employee entrance is reinforced at a rate of 10% for green alert and blue alert, 15% for yellow alert, 20% for orange alert, and 50% for red alert. For security screening, shoes and coats security screening is performed at the yellow alert or higher, and if the heel of shoes is 3.5cm or more, and coats are subjected to X-ray security screening, and 100% X-ray security screening at the orange alert and red alert. To detect explosives of electronic products or check whether they are operating or not, security checks are conducted at the rate of 50% yellow alert, 75% orange alert, and 100% red alert.

    In this class, we learned about the access control for personnel. Next time, we will learn about the Access control for vehicles. Thank you.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types of vehicle passes. Types of vehicle passes can be classified into permanent vehicle pass, Temporary vehicle pass, short term vehicle pass, and pass used on the underground service road. As you can see.

    To learn about the details of each pass, First, permanent vehicle pass is the subject of issue and must be issued within 1 year of being issued by a resident agency and a resident company officially performing vehicle. Temporary vehicle pass is subject to issuance for vehicles that perform temporary official duties within 3 months, and no leader is required. Short term vehicle pass is for vehicles that perform short term official duties within 24 hours, and in this case, a leader is required. Lastly, permanent vehicle pass for the underground service road must be a pass within one year of being issued for vehicles that perform official duties of resident organizations and resident companies. In addition, short term vehicle pass for the underground service road must be a pass within one day after the pass is issued as a short term official business vehicle within 24 hours.

    The vehicle entry and exit areas can be divided into, A air traffic control areas, D auxiliary building area, E Aircraft movement areas, and F cargo terminal areas. First of all, A Air traffic control areas is a detailed facility, including AICC, Seoul Access Control Center, Incheon Air Traffic Control Center, and Emergency Access Control Center. And the auxiliary building area of D includes the surrounding electrical substation B, Wangsan radar, first and second signal radar, control transmission station, control reception station, TVOR/DME, VOR/DM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ilding. E aircraft moving areas include airstrip, taxiway, parking lot, mooring, etc., GSE roads, baggage handling areas, and underground communities around the area, and the F cargo terminal areas is a cargo terminal and cargo warehouse area, which is restricted to the public. Unlike the personnel area, there are no B and C areas in the vehicle entrance area, so please make sure that there is no mistake.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vehicle pass application procedure in order.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pass from 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ccesses the pass management system. In the case of permanent and temporary vehicle pass, the management manager of the company enters a unique ID and password to access it, then clicks the vehicle access card in the top menu and proceeds with the application. And in the case of short term vehicle pass, you can log in after verifying the permanent vehicle pass holder.

    After applying for a pass, you must prepare the required documents for each permanent, temporary, and short term pass. First, if you look at the documents required when issuing a permanent pass, you must have contract-related documents such as a copy of your vehicle registration or construction machine registration certificate, a copy of your insurance certificate, and a vehicle rental contract if the vehicle is not owned by a resident company. If there are additional required documents, you must prepare them.

    And if you look at the documents required when issuing a temporary vehicle pass, you must have a copy of vehicle registration certificate or construction machine registration certificate. Lastly, looking at the documents required for issuance of the short term pass, you must confirm that the vehicle is for business purposes by attaching a copy of vehicle registration certificate or construction machine registration certificate, and in the case of a privately owned passenger or van, a request for exemption from apron usage fees or a work plan. For screening and approval, area A is separate, so please be aware of this.

    When all applications are completed, the status of payment will be made after screening by the Pass Management Center. You must print a bill from the vehicle issuance status of the pass management system and pay the pass issuance fee for regular passes and the apron usage fee for temporary and short-term passes. Based on the application for pass, Permanent passes are issued up to 7 days in advance, temporary passes up to 5 days in advance, and short term passes are issued on the same day. Within 90 days, short term pass is 24 hours. For details on applying for a vehicle pass, please refer to the pass application guide of the pass management system.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general procedure for vehicles entering and leav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rough a video.

    Next, let's take a closer look at vehicle access procedures by AVSEC levels. Let's look at the vehicle access control procedure at the green and blue alert that we saw in the video above First,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by the automatic system, the vehicle pass is checked, and the vehicle search is performed. vehicle occupants can get off and go through security screening and pass through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if there is no problem.

    Next, let's look at how the vehicle access control procedure is strengthened at the yellow alert. At the yellow alert, there are procedures that are additionally strengthened in the green and blue alert procedures. An additional enhancement is the addition of spare tire storage and sub-search when searching for vehicles.

    Next, let's look at how the vehicle access control procedure is strengthened at the orange alert. At the orange alert, there is a process that is further strengthened from the yellow alert process. An additional enhancement is the addition of refueling hole search when searching for vehicles.

    Finally, let's take a look at how the vehicle access control process is strengthened in the red alert. Likewise, in the red alert, there are procedures that are additionally strengthened in the orange alert procedure. As an additional reinforcement, first, when searching for a vehicle, detects traces of explosive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d checks the opening status of washer fluid or coolant in the engine room.

    What you are looking at now is a table that summarizes each security screening and vehicle access procedure by threat level of aviation security. First, in the green and blue alert, the search time for the vehicle access pass and license plate is longer than that in the green and blue alert in the yellow alert, the same as the yellow alert in the orange alert, but the search time is longer. And the red alert is the same as the orange alert, but the search time is longer. In-vehicle search is intensified during the red alert. In the case of trunk search, a search under the spare tire is added in the yellow alert, and detection of the vehicle's internal and external explosives traces is added in the red alert. In the case of engine room search, a search that checks by opening the washer fluid or coolant in the engine room at the red alert is added. Lastly, for external check of vehicle, a search is added to check the smell of oil by opening the oil supply port at the orange alert, and a test to detect traces of explosives is added at the red alert

    In this class, we learned about the access control for vehicles. Next time, we will learn about compliance and sanctions. Thank you.

    From now on, let's look at what to do when enter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First, the pass should be worn around the neck or on the left chest, which is the standard method of wearing, and should be worn where the upper body is clearly visible.

    After using the security door, you should check the locked status.

    In addition,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security door, you must ensure that no one follows you, and if an unauthorized person follows you, you will be subject to sanctions.

    And when entering/exit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all belongings must undergo security screening. For reference, there are many types of items that are prohibited from being brought in, so it is recommended to be familiar with them.

    Tools, cameras, etc., must be approved in advance to be brought in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refore, tools must be applied through the resident service portal and camera must be approved through the pass management system.

    Duty-free goods will be punished by the Customs Law. Gifts received from travelers are prohibited, so be careful.

    Next, let's talk about cooperation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The vehicle pass must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ust be guided by a leader who has obtained a movement areas driver's license or holds a movement areas license when driving in a movement areas. Unauthorized swords, tools, and other dangerous goods that can be used by terrorism cannot be brought in.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you must cooperate in security checks such as inside the vehicle, trunk, etc.

    Passengers must get off with their belongings and cooperate with security checks. Filming is prohibited with a mobile phone and a black box mounted on the vehicle, and you can be punished if you violate it. Abnormal duty-free goods cannot be taken out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hen using an underground service roads, you need to obtain a vehicle pass certificate for the underground service roads.

    This time, let's look at the video again for compliance and sanctions.

    Let's find out how to respond to threatening calls. First of all, do not panic, calmly take note of the call duration, etc., listen carefully to the call of the intimidator, and do not hang up immediately. Induce long conversations to ge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nd ask questions about the location of explosives and convince them that the explosion could cost the majority. And when the call ends, it is immediately reported to the Security center.

    This time, we will look at how to identify unattended baggage/suspicious items. First, let's look at the case of suspected explosives. The external features of suspected explosives are, which are used for everyday use, and is often damaged in its original form. And has a wire or switch on the outside, and is often placed in a somewhat unsuitable place. It is also likely that is overwrapped or wet, is likely to be mailed to an unclear recipient, and often has a sour or inappropriate odor.

    If you find these suspected explosives, you should not touch or move them from the spot. And never let the crowd gather.

    If you find suspected explosives, you must take immediate action. First, you must report them to the security center, and when you report, you must tell them where they were found, when they were discovered, and what was unusual. And you need to evacuate the suspect to a safe place.

    Next, let's look at the suspicious object in the biological situation. Biological Situation The external features of suspicious objects are that unknown powders are enclosed in sealed packaging, are placed in bundles in unsuitable places, and are sometimes scattered on facilities or floors.

    If you find such a suspected biological situation, you should not open the discovery object and do not touch the body with the touched hand, or shake it if the powder is on your body.

    If a suspected biological situation is detected, action must be taken immediately. First, report the discovery immediately and when you report, make sure to mention the location of the discovery, time of discovery, and specific details. And close the window and turn off the air conditioning, wash your hands with soap and take off your clothes. People around the site should be prohibited from leaving the site without leave and taken care of in the designated pl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aiting.

    Finally, let's look at cooperation matters if we find a security risk items. Do not disassemble or damage the ammunition arbitrarily if you find a security risk items, and do not impact the anthrax area, especially the lower part.

    If you find anything harmful to your security, you must take immediate action. First, you must report it immediately and identify the handler's identity, circumstances of acquisition, and particulars.

    Let's check the security team's performance procedures for receiving reports of unattended baggage or suspicious items through the video. When the terrorist call is received, the location is checked immediately. After equipping the equipment, we go to the site. When you arrive at the site, secure an area and install a safety line.

    Next, we will find out what we should do after we report and find out what we should do. You must follow the instructions of the security officer who have been dispatched to the reporting location, and you must not snoop around the reporting location.

    Do not shoot at the reporting location.

    And do not move objects across controlled sites.

    What if you find a suspicious person in the field? If you find someone who is suspicious, you must tell them right away. Personnel who can be identified as suspicious persons are likely to be those who continuously roam the area around the site, who continuously shoot using shooting equipment, and those who glance at people around or wear excessive clothing. Therefore, if you find such a person, you should observe it carefully.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sanctions in case of violation of pass regulations. First, the level of violations and sanctions in the pass management section. If the pass is not worn or missed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a warning will be taken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off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off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you lose your pass, you will be subject to 5 days for 1 loss, 10 days for 2 loss, and 90 days for loss of 3 or more times. In addition, if the pass is damaged, a five-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Next, we will look at the sanctions related to tailgating. In case of simple tailgating, users are imposed for 5 days for 1 violation, 10 days for 2 violations, 30 days for 3 or more violations, and 10 days for 1 violation, 2 violations In case of violation of 30 days or more, 90 days of suspension will be imposed. In the event of security accidents such as security accidents or smuggling or leaving the security door open or tailgating, sanctions of 3 year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the security door is left open, a warning action will be imposed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Finally, if you do not report even though you witness tailgating, we will take a warning.

    This time, we will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imposed on illegal use of pass. If attempting to enter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using another pass-through pass first, the user of the pass is subject to warning measures, but if it is intentionally attempted, a five-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and the pass holder is suspended for three days. And when enter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using another person's pass, the user is subject to a five-year restriction on access, and if the owner agrees to rent a pass, three years are imposed, and if not, a ten-day restriction is imposed. It's possible. When attempting to use an invalid pass, a warning for one violation, a three-day suspension for two violations, and a 10-day suspension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will be imposed to the user or leader. In addition, if an invalid pass remains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 user or the lead will be imposed 5 days for one violation, 1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3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the temporary, visitor pass issuance confirmation is lost or is missing, a warning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ten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are imposed.

    , If a pass is used differently from the purpose of issuance, a suspension of 10 days for one violation, 3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9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will be imposed, and for airport operation and security by using the pass illegally. If an act is committed, a three-year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And if false documents are prepared for the issuance of a pass, the pass recovery and the person who prepares false documents will be subject to a five-year suspension of access. In addition, if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letter is forged or the contents of issuance are altered without permission, the forger or forger is subject to a one-year suspension of access. Lastly, if you copy and use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without permission, the lead person is subject to a 5-day suspension of access.

    Next, let's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related to entry and lead in unauthorized areas. When attempting to enter an unauthorized area or entering a security restricted areas by overlapping lead, a warning action will be taken for one violation, 5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of access suspension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 4 When entering or entering a security restricted areas by entering or entering an unauthorized area, a person who is a user or a leader has 10 days for one violation, 3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if intentional intention is confirmed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Sanctions are imposed on the suspension of work. If a person entering an unauthorized area is recognized and not reported, a warning action is imposed, so be careful. If a person without a pass is brought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out permission, the leader will be suspended for 3 years. In addition, if the temporary access holder is not guided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or is led by an unauthorized leader in the issuance confirmation, the lead is subject to a 10-day suspension of access. When there are two or more permitted security areas including F, when the airport operator does not use the entry point for the first entry and final exit

    This time, let's look at about th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pass regulations. Unlike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if the pass is distributed, a 10-day suspension of access will be imposed on the leader or manager. If the return of the pass is delayed without prior notice within 7 days of the reason for returning the pass,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r vehicle manager will be subject to a suspension of 30 days if the return is delayed for 5 days for 1 violation, 10 days for 2 violation, 3 times or more, or 20 days or more. If a visitor pass or short term vehicle pass receipt is not returned within the specified time limit, the leader will be subject to warning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three days for more than three violations, or 10 days of suspension for more than seven days.

    , And if it is judged that it is impossible to collect the pass because it is not returned without consultation within the specified period, and the pass is invalidated, the person who handled the invalidation will be subject to a five-year suspension of access. The person in charge is imposed a warning for one violation, 5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Finally, if the lost person does not report the loss within 7 days from the date of the first loss, the lost person or vehicle manager will be subject to a 5-day suspension of access.

    Let's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In the event of smuggling, security threats, security incidents, etc. of its employees, the scope of 10-25% of its employees is between 5 and 10 days. The issuance of a new permanent pass will be suspended for one month, and the temporary entry including the visitor pass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In addition, the issuance of temporary entry and exit certificates, including a visit certificate,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if the sanctions occur more than 10 times within 30 days of suspension of entry in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In addition, if sanctions are imposed more than three times in one month for 30 days or more, 10% of the employees will be suspended for one month for five days from issuing a new permanent pass, and the issuance of a temporary certificate including a visiting certificate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Next, let's look at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d property damage. If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judgment is received for smuggling, smuggling, avoidance of immigration, etc., a three-year suspension of entry will be imposed. If domestic goods are taken out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out permission and are subject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a judgment, a 30-day suspension of acces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you attempt to enter or enter a security restricted areas during the access restrictions period, you will be subject to a 30-day suspension restriction.

    Finally, let's look at the sanctions for violations of other pass regulations. In case of refusal, misrepresentation, rebellion, threats, violent language, etc. to perform legitimate tasks such a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screening by pass issuing staff and security officer, a 30-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If the security officer refuses to perform legitimate tasks such a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screening, and escapes, a five-year ban on acces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unauthorized restricted items are detected at the entrance, a warning is imposed on the pass holder or leader for one violation, fiv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a restricted items is neglected or lost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 pass holder or leader is subject to a suspension of access of 5 days for one violation, 1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3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Lastly, if a passenger moves between the levels of the boarding bridge without permission while boarding, a warning will be imposed for one violation, fiv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if three or more violations.

    For reference, the period for calcula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violations is set for three years from the date of the initial sanction, so please be aware of the relevant matters.

    In this class, we learned about compliance and sanctions. Next time, we will evaluate what we have learned. Thank you.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pass is the person who performs all the tasks related to the pass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such as managing, applying for issuance, and returning the pass on behalf of the company.

    Its role is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pass application, and to manage sanctions due to violations of various regulations, and if the reason for access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is terminated or changed due to retirement, moving out, education, business trip, dispatch, etc. It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storing passes.

    When the manager is absent due to business trips, vacations, etc., after prior consultation, the agent holding the power of attorney acts as an agent for the pass, and in the case of a long absence for more than 3 months, the manager must change. The person in charge of pass management of each company should keep in mind the responsibility of overseeing all tasks related to the company's pass and creating a station. In addition, if you are found to have been issued or issued a pass by filling out false documents while issuing a pass, you should note that the pass will be collected and suspended for five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pass regulations.

    When applying for a regular pass, you must first register as a resident company, apply for the designation of a pass manager, and request the total amount. The total amount refers to the number of people issued per zone for the number of people who need access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for business purposes when issuing the regular personnel pass. Documents for company registration area official application form, proof of resident status at the airport, a contract for construction or service with a resident institution or resident company that can prove work in the protected area, and a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In the case of airlines, regular flight transportation An additional permit is required. Documents for applying for the pass manager are an official application form and a certificate of employment. Logistics companies and customs offices must additionally submit one of the four major insurance payment certificates. The company registration documents and the application documents f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ass management must be submitted at once by visiting the pass management center in person.

    Next, the application documents for the total amount increase required for the regular pass application are the employment certificate of the same number of people as the total amount added to the application for the total amount of the pass management system, and the logistics company and customs office must Additional submissions are required.

    Let's take a look at the procedure for issuing permanent pass. The procedure for issuing a regular pass will be in the order of pass application, request for background check, area review, security training, photography, pass issuance and receipt, and please refer to the pass application guide of the pass management system for more information.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shall apply for the regular entry and exit of his/her employees from the pass management system and submit the documents to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security pass center for background checks. To request the Incheon Metropolitan Police Agency, which is an identity investigation agency, the following documents are required, including common documents, Koreans, foreigners, and overseas Koreans. Please note that the basic certificate among the documents to be submitted by Koreans must be submitted with a detailed certificate.

    In addition, foreigners must submit 1 copy of passport, 1 copy of alien registration card, 1 copy of Certificate of alien registration or Certificate of domestic residence report, 1 copy of Certificate of criminal history and notarized Korean translation, and 1 copy of Apostille confirmation.

    In addition, permanent residents must submit a copy of their passport, a copy of their permanent resident card, a basic certificate, a criminal record certificate and a notarized Korean translation, and a copy of Apostille confirmation.

    When applying for a permanent pass,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is responsible for guiding the person receiving the pass to visit the pass management center and take a photo after he/she agrees to personal information, completes security training and passes the test on the pass management system, and possesses an ID. Please note that you have to play a role in managing a series of procedures related to issuance of passes, etc.

    A person who wishes to receive a reissue of employee permanent pass due to a change in the name of a resident company and a change of affiliation due to employment succession shall attach a certified copy of corporate registration or business registration card, and a person who wishes to receive a reissue of the employee permanent pa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is court judgment or renamed Then attach the copy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pplicant's tot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rmanent pass, submit business extension documents or proof of employment along with the total increase request official letter, and customs logistics companies can submit an additional one of the 4 major insurance documents. For more information on the increase in total volume, refer to the form data room of the pass management system.

    Temporary pass can be applied by categorizing them into resident temporary pass and Non-residence temporary pas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requirements.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must check the requirements for issuing temporary pass in accordance with Article 30 of the Pass Regulations.

    Attached documents are 1 copy of supporting documents to verify that the employee belongs, 1 copy of the relevant contract document when contracted with a resident institution, 1 copy of the passport for foreigners, and 1 set of background check documents if a background check is required among applicants for temporary access You should. In addition, for foreign mechanics, an additional copy of the foreigner maintenance worker's letter of guarantee must be submitted. If a background check is required among resident temporary access applicants, background check documents must be submitted.

    Notes on application and use are as follows. When applying using the pass management system, personal information, access purpose, and access area must be clearly stated. The temporary pass will be returned within 7 days after the end of the access period.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resident temporary access, you must be led by a permanent pass holder to perform work. When entering a security restricted areas, you must check the permitted security areas and access period in advance. Please note that if a pass is issued by filling out false documents, or if the fact of the issuance is discovered afterward, the pass collection and “false document creator” will be suspended for 5 years.

    This time, we will look at the visitor pass. From October 5, 2020, T1 is in effect 24/7, and the T1 security pass center is operated 24 hours a day, 7 days a week, and the T2 security pass center is operated during normal working hours on weekdays.

    The issuance of a visitor pass may be restri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son for access is inappropriate, such as deliberately changing the purpose of use or applying for a simple visit or tour.

    In the case of a visitor pass, you can apply for it within 24 hours, and it must be returned to the pass management center on the same day it is issued and the day the access ends.

    In principle, the visit time is within 24 hours, but if prior consult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has been made due to the extension of the working hours, it can be extended only twice. For details, please contact the Security Pass Center.

    In addition, all visitors together with the manager or their guide must bring their ID and then visit the Security Pass Center to verify their identity.

    This time, we will look at the criteria for screening and issuing vehicle pass. First, the official vehicle of the resident company and the business or individual vehicle of the resident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must be issued a regular vehicle pass, and temporarily for the delivery of vehicles, materials or goods that require access due to temporary work of the resident organization and company. Vehicles that require access must be issued a temporary vehicle pass. In addition, for vehicles that require short-term access to supply materials or goods, or vehicles that require short-term access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for other business purposes, a vehicle temporary must be issued.

    Vehicle passes are divided into permanent pass, temporary pass, and short term pass. In the case of a permanent pass, one copy of the vehicle registration or construction machine registration certificate, one copy of the insurance certificate, and the vehicle rental contract are required, and additional documents are required if necessary. A copy of the vehicle registration certificate or construction equipment registration certificate is required for the temporary pass. If the vehicle is not owned by a resident company, documents related to the contract, such as a vehicle rental contract, must be submitted. In the case of personal vehicles/vans, documents proving that the purpose of entry is to work must be submitted, and for vehicles subject to apron fee exemption, a copy of the apron fee exemption request must be submitted. In addition, other documents are required if necessary.

    When applying for vehicle temporary pass, a copy of the vehicle registration card or construction equipment registration certificate must be submitted. In the case of privately owned passenger cars or shared vehicles, additional documents proving that the purpose of entry is to work must be submitted. The apron usage fee payment method can be charged to the registered company at the time of company registration, but can be requested by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company to be charged additionally. Lastly, the vehicle permanent pass and the vehicle temporary pass must be returned to the security pass center within 7 days after the end of the access date and time, and the short-term vehicle pass must be returned to the vehicle entrance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access date and time.

    From now on, we will look at the sanctions in case of violation of pass regulations. First, the level of violations and sanctions in the pass management section. If the pass is not worn or missed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a warning will be taken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off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off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you lose your pass, you will be subject to 5 days for 1 loss, 10 days for 2 loss, and 90 days for loss of 3 or more times. In addition, if the pass is damaged, a five-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Next, we will look at the sanctions related to tailgating. In case of simple tailgating, users are imposed for 5 days for 1 violation, 10 days for 2 violations, 30 days for 3 or more violations, and 10 days for 1 violation, 2 violations in case of violation of 30 days or more, 90 days of suspension will be imposed. In the event of security accidents such as security accidents or smuggling or leaving the security door open or tailgating, sanctions of 3 year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the security door is left open, a warning action will be imposed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Finally, if you do not report even though you witness tailgating, we will take a warning.

    This time, we will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imposed on illegal use of pass. If attempting to enter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using another pass-through pass first, the user of the pass is subject to warning measures, but if it is intentionally attempted, a five-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and the pass holder is suspended for three days. Becomes. And when entering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using another person's pass, the user is subject to a five-year restriction on access, and if the owner agrees to rent a pass, three years are imposed, and if not, a ten-day restriction is imposed. It's possible. When attempting to use an invalid pass, a warning for one violation, a three-day suspension for two violations, and a 10-day suspension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will be imposed to the user or leader. In addition, if an invalid pass remains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 user or the lead will be imposed 5 days for one violation, 1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3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the temporary, visitor pass issuance confirmation is lost or is missing, a warning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ten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are imposed.

    , If a pass is used differently from the purpose of issuance, a suspension of 10 days for one violation, 3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9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will be imposed, and for airport operation and security by using the pass illegally. If an act is committed, a three-year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And if false documents are prepared for the issuance of a pass, the pass recovery and the person who prepares false documents will be subject to a five-year suspension of access. In addition, if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letter is forged or the contents of issuance are altered without permission, the forger or forger is subject to a one-year suspension of access. Lastly, if you copy and use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without permission, the lead person is subject to a 5-day suspension of access.

    Next, let's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related to entry and lead in unauthorized areas. When attempting to enter an unauthorized area or entering a security restricted areas by overlapping lead, a warning action will be taken for one violation, 5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of access suspension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 4 When entering or entering a security restricted areas by entering or entering an unauthorized area, a person who is a user or a leader has 10 days for one violation, 3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if intentional intention is confirmed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Sanctions are imposed on the suspension of work. If a person entering an unauthorized area is recognized and not reported, a warning action is imposed, so be careful. If a person without a pass is brought 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out permission, the leader will be suspended for 3 years. In addition, if the temporary access holder is not guided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or is led by an unauthorized leader in the issuance confirmation, the lead is subject to a 10-day suspension of access. When there are two or more permitted security areas including F, when the airport operator does not use the entry point for the first entry and final exit

    This time, let's look at about th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pass regulations. Unlike the pass issuance confirmation, if the pass is distributed, a 10-day suspension of access will be imposed on the leader or manager. If the return of the pass is delayed without prior notice within 7 days of the reason for returning the pass,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r vehicle manager will be subject to a suspension of 30 days if the return is delayed for 5 days for 1 violation, 10 days for 2 violation, 3 times or more, or 20 days or more. If a visitor pass or short term vehicle pass receipt is not returned within the specified time limit, the leader will be subject to warning for one violation, three days for two violations, three days for more than three violations, or 10 days of suspension for more than seven days.

    , And if it is judged that it is impossible to collect the pass because it is not returned without consultation within the specified period, and the pass is invalidated, the person who handled the invalidation will be subject to a five-year suspension of access. The person in charge is imposed a warning for one violation, 5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Finally, if the lost person does not report the loss within 7 days from the date of the first loss, the lost person or vehicle manager will be subject to a 5-day suspension of access.

    Let's look at the level of sanctions. In the event of smuggling, security threats, security incidents, etc. of its employees, the scope of 10-25% of its employees is between 5 and 10 days. The issuance of a new permanent pass will be suspended for one month, and the temporary entry including the visitor pass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In addition, the issuance of temporary entry and exit certificates, including a visit certificate,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if the sanctions occur more than 10 times within 30 days of suspension of entry into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In addition, if sanctions are imposed more than three times in one month for 30 days or more, 10% of the employees will be suspended for one month for five days from issuing a new permanent pass, and the issuance of a temporary certificate including a visiting certificate will be suspended for 10 days.

    Next, let's look at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d property damage. If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judgment is received for smuggling, smuggling, avoidance of immigration, etc., a three-year suspension of entry will be imposed. If domestic goods are taken out of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without permission and are subject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a judgment, a 30-day suspension of acces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you attempt to enter or enter a security restricted areas during the access restrictions period, you will be subject to a 30-day suspension restriction.

    Finally, let's look at the sanctions for violations of other pass regulations. In case of refusal, misrepresentation, rebellion, threats, violent language, etc. to perform legitimate tasks such a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screening by pass issuing staff and security officer, a 30-day suspension of access is imposed. If the security officer refuses to perform legitimate tasks such a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screening, and escapes, a five-year ban on access will be imposed. In addition, if unauthorized restricted items are detected at the entrance, a warning is imposed on the pass holder or leader for one violation, fiv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In addition, if a restricted items is neglected or lost in the security restricted areas, the pass holder or leader is subject to a suspension of access of 5 days for one violation, 10 days for two violations, and 30 days for three or more violations. Lastly, if a passenger moves between the levels of the boarding bridge without permission while boarding, a warning will be imposed for one violation, five days for two violations, and 10 days for suspension of access if three or more violations.

    For reference, the period for calcula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violations is set for three years from the date of the initial sanction, so please be aware of the relevant matters.

    Please take the security training test for the manager. You must pass 80 points 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