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 대학원 리스트 - imsangsimli daehag-won liseuteu

​ ​ 심리 대학원 준비하기 - 1. 스터디 or 개인 공부 하기 심리 대학원을 준비하면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고, 가장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 ‘공부’이다!! (ง •̀_•́) ง 당연한 소리지만.... 대학원 가도..

seoulbliss.tistory.com

 

[심리대학원 준비] 2. 논문 읽기

​ ​심리학 대학원 준비하기 - 2. 논문읽기 오늘은 ​​논문을 찾고, 읽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୧( "̮ )୨ 논문을 통해서 최근 학회의 동향을 알아볼 수 있고, 학업계획서 및 연구계획서의 내용..

심리학은 참 매력적인 학문입니다. 하지만 교육학이나 경영학처럼 모든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전공이 아니라 일부 대학에만 개설되어 있습니다. 심리학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대학 또는 대학원 진학은 필수입니다.

심리학을 전공하려면 어느 대학에 가야 할까요?

임상심리 대학원 리스트 - imsangsimli daehag-won liseuteu
©pixabay

 

우리나라 심리학을 배울 수 있는 대학의 수는?

한국심리학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에 따르면, 국내에 심리학과를 개설한 4년제 대학교는 27개교이며, 학과명에 '심리'가 포함된 학과 또는 전공은 38개로 총 65개 대학에 해당합니다.. 2016년~2017년 기준으로, 사이버대학과 전문대학을 제외한 숫자입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커리어넷에서도 심리학과 개설대학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9년 10월 8일 기준으로, 총 101개의 학과(대학 중복) 정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 중 본교와 캠퍼스가 중복되는 학교(로 구분되는 대학과 사이버대학(12개)을 제외하니 66개의 대학교로 추려졌습니다.

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에서는 46개 대학의 리스트와 세부전공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공개된 리스트(46개 대학)와 위의 조사 시 사용한 리스트(65개 대학)의 수에 차이가 있어 1:1로 비교를 해보진 못했습니다만, 하단에 공개된 부문의 리스트를 공개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어디에서 심리학을 배울 수 있을까?

학과명에 '심리'가 포함된 대표적인 학과에는 심리학과, 상담심리학과, 상담학과, 산업심리학과, 사회심리학과, 교육심리학과, 심리상담학과 등이 있습니다.

대학원은 대개 일반대학원/특수대학원으로 구분되며 세부전공으로 전문영역을 심화하여 배웁니다. 예를 들면 임상심리, 상담심리, 산업및조직심리, 사회심리, 인지심리, 발달심리 전공 등으로 학교별로 배울 수 있는 세부전공은 다릅니다. 대학교에 심리학과가 개설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대학원도 운영하는 것이 아니며, 대학교 전공은 없지만 대학원에는 전공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심리학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리스트에는 46개 대학과 세부전공, 지역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문 정보에서 지역별 학교/학과명, 석박사 세부전공을 재구성한 정보로 원문을 보시려면 하단의 URL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koreanpsychology.or.kr/enterschool/university_data.asp

임상심리 대학원 리스트 - imsangsimli daehag-won liseuteu

 

커리어넷에서 제공하고 있는 리스트를 보면 대학별 학과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일 대학 내에서 학과명이 다르면 각 학과별로 별도 셀로 정보 제공)

 대학명학과명서울특별시경희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고려대학교(본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고려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광운대학교(본교)산업심리학과서울특별시글로벌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글로벌사이버대학교뇌기반감정코칭학과서울특별시덕성여자대학교(본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상담코칭심리학과서울특별시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심리치료학과서울특별시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아동심리상담학과서울특별시삼육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강대학교(본교)심리학전공서울특별시서울기독대학교(본교)상담심리전공서울특별시서울기독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울대학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울디지털대학교상담심리학부(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울디지털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울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서울사이버대학교특수심리치료학과서울특별시서울한영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성균관대학교(본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성신여자대학교(본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세종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숙명여자대학교(본교)사회심리학과서울특별시숭실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심리학과서울특별시이화여자대학교(본교)심리학전공서울특별시이화여자대학교(본교)심리학과서울특별시이화여자대학교(본교)뇌·인지과학전공서울특별시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심리학과서울특별시총신대학교(본교)아동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케이씨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케이씨대학교(본교)아동복지상담심리학부(상담심리학전공)서울특별시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서울특별시한양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본교)심리학과부산광역시동명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부산광역시동의대학교철학상담·심리학과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심리학과부산광역시부산디지털대학교상담심리학과부산광역시화신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대전광역시건양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대전광역시배재대학교(본교)심리상담학과대전광역시충남대학교(본교)심리학과대전광역시침례신학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대전광역시한남대학교(본교)철학상담학과대전광역시한남대학교(본교)철학상담학전공대구광역시경북대학교(본교)심리학과대구광역시계명대학교심리학과광주광역시광주대학교(본교)심리학과광주광역시광주여자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광주광역시송원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광주광역시송원대학교(본교)심리치료학과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광주캠퍼스)심리학과광주광역시조선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광주광역시호남대학교상담심리학과경기도가톨릭대학교(본교)심리학전공경기도국제사이버대학교상담학부경기도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상담학과경기도루터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경기도루터대학교(본교)상담학과경기도아주대학교(본교)심리학과경기도중앙승가대학교(본교)포교사회학상담학전공경기도차의과학대학교상담심리학과경기도한신대학교(본교)임상심리전공강원도강원대학교(본교)심리학전공강원도강원대학교(본교)행정·심리학부강원도강원대학교(본교)심리학과강원도한림대학교(본교)심리학과충청북도순복음총회신학교상담심리학과충청북도순복음총회신학교사회학부 상담심리학전공충청북도충북대학교(본교)심리학과충청남도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심리학과충청남도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심리치료학과충청남도선문대학교(본교)상담·산업심리학과충청남도호서대학교산업심리학과전라북도우석대학교(본교)군상담심리학과전라북도우석대학교(본교)심리학과전라북도우석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전라북도원광디지털대학교상담심리학과전라북도전북대학교(본교)심리학과전라북도전주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전공전라북도전주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전라북도한일장신대학교(본교)미술심리상담학전라북도한일장신대학교(본교)심리상담학부전라북도한일장신대학교(본교)심리상담학전라북도한일장신대학교(본교)심리상담학과전라남도동신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경상북도경일대학교(본교)심리치료학과(인문계열)경상북도김천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경상북도대구가톨릭대학교(효성캠퍼스)심리학과경상북도대구대학교(경산캠퍼스)심리학과경상북도대구사이버대학교상담심리학과경상북도대구한의대학교(삼성캠퍼스)상담심리학과경상북도대신대학교(본교)상담문화영어학부경상북도영남대학교(본교)심리학과경상북도영남신학대학교(본교)상담심리학과경상남도경남대학교(본교)심리학과경상남도경상대학교심리학과제주특별자치도제주국제대학교(본교)아동심리언어치료학과제주특별자치도제주국제대학교(본교)심리상담학과

 

심리학과에서는 어떤 과목을 배울까?

사람들이 심리학과에 대해 떠올리는 이미지는 대부분 상담과 임상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심리학 전공자에 대한 이미지를 물었을 때 상담실에서 사람들의 고민을 듣고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상담심리사, 정신병원에서 진단을 시행하는 임상심리사의 이미지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리학과에서는 상담심리학, 임상심리학, 성격심리학, 심리학개론, 학습심리학, 심리통계, 사회(문화)심리학 수업을 개설합니다. 한국심리학회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상기 7개 과목은 심리학과라면 100% 개설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 외에 발달심리학, 실험심리학(심리측정), 인지심리학, 산업 및 조직심리학도 심리학과의 90% 이상에 개설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 동기(정서) 심리학, 건강심리학, 소비자(광고) 심리학, 법정(범죄)도 60%~70%의 심리학과에 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미루어볼 때 심리학과에서 배우는 주요 과목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국가공인 심리학 자격증은?

인터넷에 심리학 자격증을 검색하면 상당히 많은 자격증이 등장합니다. 그러나 그 중 국가공인 자격증은 4종에 불과하며 그 외에는 민간자격증으로 법적효력이 없습니다.

국가자격증이 생기기 이전부터 활동해온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사의 경우, 심리학회 차원에서 엄격하게 관리해왔습니다. 그러나 그 외에는 산업이나 현장의 수요에 맞춰 자격증이 생겼다기 보다는 학회의 사정에 따라 전문성을 인정하기 위한 자격증을 발급하고 현장에서 인정해주길 바란 측면이 있어 자격증이 필수요건이 아닙니다. 그 중 범죄심리사 자격소지자의 경우, 경찰청에서 <소년범 조사 전문가 참여제> 전문가로 위촉하고 평가와 면담을 제공토록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지역경찰서별로 예산과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심리학 분야의 국가공인 자격증 4종과 한국심리학회의 자격증을 소개합니다.
※ 각 자격증에 대해서는 추후에 별도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국가공인 자격증 4종

1. 정신보건임상심리사(보건복지부)
2. 임상심리사(산업인력공단)
3. 청소년상담사(여성가족부)
4. 직업상담사(산업인력공단)

 

한국심리학회의 민간 자격증 - 세부 학회별 취급(발급)

1. 임상심리전문가
2. 상담심리사 (1, 2급)
3. 발달심리사 (1, 2급)
4. 인사조직심리 (전문가, 심리사)
5. 범죄심리사 (전문가, 1급, 2급)
6. 건강심리전문가
7. 인지학습심리사 (1, 2급)
8. 학교심리사 (1급, 2급)
9. 중독심리 (전문가, 심리사)
10. 코칭심리사 (1급, 2급)

 

심리학을 전공하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심리학은 사람의 내면을 다루는 학문이다 보니 모든 분야에 접목될 수 있습니다. 심리학에서 다룰 수 있는 학문적 스펙트럼이 굉장히 광범위합니다. 성격, 학습, 문화, 실험, 발달, 인지 등 내면을 들여다보는 각도에 따라서 심화전공이 세분화됩니다. 어떤 현장에 심리학을 접목하려고 하느냐에 따라서도 갈래가 나뉩니다. 산업 및 조직현장에서는 산업(조직)심리학, 범죄 현장에서는 범죄(법정)심리학, 광고 홍보 현장에서는 소비자(광고)심리학 등 분야별로 세분화됩니다.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바로 사회로 진출하는 경우, 여타 학문 전공자와 마찬가지로 일반 기업체에서 활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고회사, 여론조사 기관 및 컨설팅 회사에 진출하여 전공분야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대학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심리학을 좀더 깊이 공부한 전공자들은 주로 대학교나 연구소에 진출하고 있다. 기초심리학 전공자 대부분은 대학교에서 강의 및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지과학을 중심으로 기초심리학의 직접적 응용(예를 들면, 인간공학이나 인공지능분야 등)에 대한 관심과 활동도 증가하고 있다. 응용심리학 분야의 전공자는 대학 뿐 아니라 사회 요소 요소에 다양하게 진출을 하고 있으며, 임상심리학자, 상담심리학자, 조직심리학자 및 산업심리학자에 대한 사회의 수요는 크게 증대되는 추세이다. 현재 임상심리학의 경우 학회에서 인정하는 임상심리전문가 제도 외에 국가가 공인하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자격제도가 정착되었다. 또한 상담심리학자도 자격증 제도가 일반화되어 있으며, 일반 대학의 학생생활연구소 및 전문상담소에서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의 인력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인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산업 및 조직 심리학자들에 대한 수요도 크다. 이들은 기업체의 기획실이나 인력관리부, 교육훈련부서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가기관에서 심리학자를 고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법무부 교정국, 노동청 산하 연구소, 철도청 연구소 및 육군사관학교 등에서 근무하고 있다. 광고회사, 여론조사 기관, 일반기업체에서는 이미 많은 심리학자들이 진출해 있으며, 범죄심리, 건강심리, 군사심리, 인공지능개발, 정부정책수립, 통일문제, 교육 문제, 청소년 문제, 도시 교통 문제, 환경 문제 등 거의 모든 사회 분야에 심리학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소개 中

 

심리학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은 분야를 넘나드는 장점이기도 하지만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전공자만 취업할 수 있는 분야가 없기 때문입니다. 상담심리사와 임상심리사는 오랜 수련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인정받기는 하지만 실제 취업 시에 필수요건이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초중고등학교 상담실만 해도 심리학 전공자가 채용/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시니어 교사 중 희망자를 선발하여 상담실을 운영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오랜기간 교단에 선 교사들의 상담능력에 대해 폄훼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교육학적 접근과 심리학적 접근이 다르기 때문에 상담실에는 상담심리학 또는 청소년상담 등 전공자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현실은 심리학 전공자의 취업 또는 개업에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다가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학은 매우 매력적인 학문입니다. 심리학의 본질적인 매력은 사람의 내면을 다룬다는 점, 그리고 심리학은 우리의 삶과 밀접히 관련이 있어 그 누구도 심리학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매력이 더 강력하다고 생각합니다.

심리학, 함께 공부해요!

 

* * *

Ref.

국내외 심리학과 교과과정 현황. 한국심리학회. Retrieved from http://www.koreanpsychology.or.kr/enterschool/domestic.asp

대학교/대학원 정보. 한국심리학회. Retrieved from http://www.koreanpsychology.or.kr/enterschool/university_data.asp

심리학과 개설대학 (2019.10.08 기준). 커리어넷. Retrieved from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do?SEQ=330#ta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