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װ����� ��� ������ ���� ī��翡�� Ȯ����ȭ�� �帱 ���� �ֽ��ϴ�.
Ȯ�ΰ������� ���� ī���� ����̳� Ÿ�� ������ �ֹ��� �������� �ֹ��� �ƴ϶� �� �Ǵܵ� ��� ���Ƿ� �ֹ��� ���� �Ǵ� ����� �� �ֽ��ϴ�. ������ �Ա��� ��ǰ ���� ����� PC��ŷ, ���ͳݹ�ŷ, �ڷ���ŷ Ȥ�� ����� ���࿡�� ���� �Ա��Ͻø� �˴ϴ�.
�ֹ��� �Է��� �Ա��ڸ��� �����Ա����� ������ �ݵ�� ��ġ�Ͽ��� �ϸ�, 7�� �̳��� �Ա��� �ϼž� �ϸ� �Աݵ��� ���� �ֹ��� �ڵ���� �˴ϴ�.

��ȯ �� ��ǰ�� ������ ���
- ��ǰ�� ���� ������ ���κ��� 7���̳� ��, ������ǰ��
��� ������ �����Ͽ��ų� ������ �ѼյǾ� ��ǰ��ġ�� ��ǵ� ��쿡�� ��ȯ/��ǰ�� �Ұ����մϴ�.
- ���޹����� ��ǰ �� �뿪�� ������ ǥ��.���� �����
�ٸ��ų� �ٸ��� ����� ��쿡�� ���޹��� ���κ��� 3���̳�, �׻���� �˰� �� ���κ��� 30���̳�

��ȯ �� ��ǰ�� �Ұ����� ���
- �������� å�� �ִ� ������ ��ǰ���� ��� �Ǵ� �Ѽյ� ���. ��, ��ǰ�� ������ Ȯ���ϱ� ���Ͽ�
���� ���� �Ѽ��� ���� ����
- ������ �����Ͽ��ų� ������ �ѼյǾ� ��ǰ��ġ�� ��ǵ� ��
�� (�� : ������ǰ, ��ǰ, ���� ��, �� ����ȭ���� ������ ��Ʈ��, LCD�����, ������ ī�޶� ���� �ҷ�ȭ�ҿ�
���� ��ǰ/��ȯ�� ������ ���ؿ� �����ϴ�.)
- �������� ��� �Ǵ� �Ϻ� �Һ� ���Ͽ� ��ǰ�� ��ġ�� ������ ������ ��� ��, ȭ��ǰ���� ��� �ÿ���ǰ��
������ ��쿡 �� �մϴ�.
- �ð��� ����� ���Ͽ� ���ǸŰ� ����� ������ ��ǰ���� ��ġ�� ������ ������ ���
- ������ ������ ��ǰ���� ������ �Ѽ��� ���
(�ڼ��� ������ ������������ 1:1 E-MAIL����� �̿��� �ֽñ� �ٶ��ϴ�.)
�� �������� ������ �ٲ�� ��ȯ, ��ǰ�� �Ͻ� ��� ��ǰ�ݼ� ����� �����Բ��� �δ��ϼž� �մϴ�.
(���� ��ȯ, ������ ��ȯ �� ����)

Full HD (1920*1080, 16:9) 화질의 22인치 액정 타블렛으로, 8192 level, 5080 LPI, 233 PPS. 상하좌우 178도 시야각에 충전식 펜으로 빠르고 정확한 인식 속도, 20개의 익스프레스키 설정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 스탠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사용(DVI, HDMI, VGA)가능하다.

3.1.2. Kamvas GT-220 v2[편집]

Full HD (1920*1080, 16:9) 화질의 22인치 액정 타블렛으로, 8192 level, 5080 LPI, 233 RPS. 250cd/㎡의 밝고 또렷한 화면, 상하좌우 178도 시야각에 충전식 펜으로 빠르고 정확한 인식 속도, 전면 버튼부로 하드웨어 레벨에서 타블렛 설정과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며, 각도 조절 스탠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사용(DVI, HDMI, VGA)가능하다. Bezel frame의 크기를 최소화한것이 특징.

3.1.3. Kamvas GT-156HD v2[편집]

1920*1080 (16:8) Full HD 해상도의 15.6인치 액정 타블렛으로,가벼운 무게와 펜 케이스로 휴대가 간편하다. 8192 level, 5080 LPI, 220 RPS. 220cd/㎡의 밝고 또렷한 화면, 상하좌우 170도 시야각에 충전식 펜으로 빠르고 정확한 인식 속도, 14개의 익스프레스 키, 탈/부착이 자유로운 알류미늄 소재의 각도 조절 스탠드, 3 in 1 케이블로 깔끔한 선 정리가 가능하다. 2017년4월에 한국에서 정식 발매되었다.

3.1.4. Kamvas Pro 12/13[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프로 12 - 2018년 8월 출시. 11.6인치 sRGB 120%[8] 4 익스프레스 키.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프로 13 - 2018년 8월 출시. 13.3인치 sRGB 120%. 4 익스프레스 키. 12~13인치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화면크기가 너무 작아서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3.1.5. Kamvas Pro 20/22 (2018년형)[편집]

  • 캄바스 프로 20 - 2018 11월 출시. 19.53인치 sRGB100%. 8 익스프레스 키. 20인치 제품들 공통적으로 화면비율이 찌그러지는 문제가 있어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 제품. 찌그러짐 보정방법

  • 캄바스 프로 22 - 2018년 9월 출시. 21.5인치 sRGB100%. 10 익스프레스 키. GT-221pro의 개량형이다. 출시된지 좀 된데다, 2019년 말에 출시된 가오몬 PD2200제품이 워낙 가성비가 뛰어나서 현재로썬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3.1.5.1. Kamvas 20[편집]

  • 캄바스 20 - 캄바스 프로20의 보급형.

3.1.5.2. Kamvas Pro 20/22 (2019년형)[편집]

  • 캄바스 프로 20/22 (2019) - 2018년형 모델들과 생김새는 같으나, 반응속도가 14ms에서 8ms로 빨라졌고, 색표현도가 sRGB120%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라미네이팅 처리가 되어있어 유격이 줄어든 것도 차이점. 단, 20인치 제품 고질적인 화면비 찌그러짐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3.1.6. Kamvas 16[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16 (GS1561) - 2019년 6월 출시[9]. GT-156HD v2의 리뉴얼 제품이자 신티크 16을 저격하여 출시된 제품이다. 아래의 프로 16제품이 출시되면서 살 이유가 없어졌다. 가격차이도 얼마 안나는데 스펙은 프로16이 훨씬 좋기 때문.

3.1.6.1. Kamvas Pro 16[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프로 16 - 2019년 7월 출시. 위의 캄바스16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색표현도가 sRGB 120%에 풀 라미네이팅처리가 되어있어 펜과 커서간 유격이 거의 없다. 본격적으로 휴이온이 조명받게 만든 제품. 현재 한국내에서 휴이온 액정타블렛 모델 중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플래그쉽 모델이다.
    원래 이름은 Kamvas Pro 16 Premium이였으나, 해외 출시되면서 Premium은 빠졌다. 국내에서도 Pro 16 으로 출시되었다. 가격은 공식홈페이지 기준으로 599,000원이다.

2021년형 캄바스16이 압도적인 가성비로 새로 출시되면서 이 제품도 살 이유가 없어졌다.

3.1.7. Kamvas 13 (2020)[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13 (2020) - 2020년 2월 출시. 같은 시기에 출시된 Wacom One을 저격하면서, 동시에 신티크 Pro 13을 뛰어넘었다고 호언장담하면서 출시한 제품이다. Kamvas Pro 13과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기기이다.
    본격적으로 와콤을 추격하기 시작한 제품.

풀 라미네이팅 처리가 되어있으며, 모바일기기 연결이 가능하고[10][11] 별도의 전원연결 없이 USB와 HDMI만 꽂으면 되는 게 특징이다. 만약 기기가 썬더볼트를 지원한다면 C to C 케이블을 통해 HDMI 연결 없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C to C 케이블은 옵션으로 따로 사야한다.

휴이온 최초로 Pen tech 3.0 (PW517)이 적용된 제품이다. 휴이온의 고질적인 지적사항이었던 쑥쑥 들어가는 펜심이 새로운 구조로 바뀌어 거의 고정이라 봐도 될 정도로 단단해져 와콤 펜들과 상당히 비슷한 느낌을 준다.

확실히 라이벌로 지목한 두 기기와 성능이 비슷하거나 뛰어넘었다 할 수 있는데, 일단 공통적으로 신티크 유저들의 소원이였던, 데이터 전송과 전원을 선 하나로 동시 공급[12][13]을 엉뚱하게 와콤이 아닌 휴이온이 이뤄냈다. 신티크 Pro 13은 연결이 까다로우며, Wacom One은 모바일 기기 연결을 지원하지만 라미네이팅 처리가 안 되어 있어 각도에 따라 커서와 펜 사이 간격이 커진다. 반면 캄바스 13은 설치가 비교적 간편하고, 드라이버 세팅 편의성도 비슷하며, 라미네이트된 스크린에 sRGB 영역도 120% 로 비전문가 단계에선 차고 넘치는 수준이고, IPS 패널을 사용해 디스플레이 발열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14] 장시간 사용에도 큰 지장이 없다.

화면을 끄고 사용하면 펜 테블릿 모드로 전환된다. 휴이온 앱에서 사용 화면을 보는 모니터로 전환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장시간 사용시 자세가 불편할수 있기때문에 테블릿 모드를 사용하고 싶을때 이용하면 된다.

모니터와 마찬가지로 화면조정을 해야 하는데 RGB별도 설정[15]과 Hue, Saturation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야 다른 모니터들과 근접한 색감으로 그릴 수 있다.


현재는 스탠드 미포함 25만원, 스탠드 포함 28만원으로 팔리고 있다.
스탠드 가격이 5만원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스탠드가 포함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더 좋다.

3.1.8. Kamvas 22 & 22 PLUS (2020)[편집]

  • 캄바스 22 (2020) - 일반 모델과 Plus모델이 있으며, 미세한 디스플레이 스펙을 제외하고 동일 제품이다. 해외 가격이 각각 499달러 / 549달러로 신티크 22의 절반도 안되는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 Plus 모델은 와콤의 프로 라인부터 적용되는 에칭 글라스가 적용되었다. 펜 역시 캄바스 13부터 적용된 PenTech 3.0[16] 신버전 펜이 포함된다. 스펙 또한 8191 레벨 필압과 5080 LPI로 프로페셔널 사용자를 겨냥하고 있으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지원도 안정적으로 이뤄지고있어 신뢰도가 좋아짐에 따라 현업 프로 아티스트들은 물론 게임업계 실무환경에서도 채택되고 있다. 아마존이나 알리 익스프레스 등 해외 쇼핑몰이나 유튜브 등지에 올라온 사용 후기들을 보면 흠잡을데가 없을 정도로 호평을 받고 있는 중.[17]

    모니터 색감 조정을 위한 OSD 진입법은 다음과 같다. https://youtu.be/Oww1Ij84VmE
    또한, RGB 색감 상세설정 방법은 위에 언급한 kamvas 13에서 각주 설명과 같다.

디자인을 보면 중앙 하단의 로고를 제외하고 정면의 단축 버튼을 모조리 빼버리면서 심플,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보여준다.

3.1.9. Kamvas 12 (2021)[편집]

  • 캄바스 12 - 2020년 11월에 런칭된 11.6인치 모델. 캄바스13(2020)모델의 크기를 줄여놓은 형태.

3.1.10. Kamvas 16 (2021)[편집]

  • 캄바스 16 - 2020년 11월에 런칭된 15.6인치 모델. 캄바스13(2020)모델의 크기만 키워놓은 형태로 런칭세일 + 할인가 288달러로 16인치 모델의 최저가를 갱신했다.

3.1.11. Kamvas Pro 16 시리즈(4K)[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프로 16/ 16 플러스(4K) - 드디어 휴이온 타블렛에서 4K를 지원한다!! 2021년 8월 런칭된 15.6인치 모델. 기존 Kamvas 16 모델의 해상도를 FHD에서 4K로, 색역은 sRGB 120~145%로 상향시켰다. 일반모델과 플러스 모델의 차이는 크게 없으며[18] 펜 또한 신형이다. 플러스 모델 한정 한국 출시 상태이며, 가격은 정가 기준 각 $829(96만원, 일반), $899(113만원, 플러스 현재 구매 가능)이다. 경쟁제품인 와콤의 신티크 프로 16이 색역도 제대로 못 채우는데 200만원에 육박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꽤나 괜찮은 가격에 좋은 스펙이다.

3.1.12. Kamvas Pro 24(4K)[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프로 24(4K) - 4K, 퀀덤닷, 140% sRGB값[19] 등을 충족시키고도 경쟁제품인 와콤 신티크 프로 24 논터치보다 120만원 가까이 저렴한(270만원vs153만원($1299)) 가성비의 끝판왕 타블렛 2021년 8월 런칭된 24인치 모델. 기존 Kamvas Pro 24의 해상도를 QHD에서 4K로, 색역은 sRGB 140%, 퀀텀닷을 추가 지원함과 동시에 새 3세대 펜을 지원한다. 10비트 컬러와 HDR을 지원하며, 가격은 169만원($1299)[20]. 한국에서도 정발되어 출시 초기에 폭발적인 호평을 받고 있다 한다. 이쯤되면 와콤도 가격 내리겠지?


3.1.13. Kamvas 24 시리즈(2021)[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24&24 플러스(2021) - 와콤 신티크 22 본격 킬링 제품. 2021년 8월 런칭된 23.8인치 모델. QHD(2560x1440) 해상도에 8bit컬러, 85%/97% NTSC 색역 지원, 플러스 모델 한정 라미네이팅 처리가 된 제품이다. 대놓고 와콤 신티크 22를 저격했다고 봐도 무방한데, 이 정도 스펙이면 솔직히 와콤 신티크 프로 24랑 비교해야 제대로 될 정도이다(...) 자세한 비교는 아래쪽에서. 참고로 가격은 각각 $799(93만원, 일반), $899(104만원, 플러스).

모바일 기기와 C to C 케이블로 연결가능. 매우 편리하다.
갤럭시탭S7+에 연결해 클립스튜디오 사용시 0.5cm이하의 폭에서 선이 잘 그어지지않는다. 그 결과로 작화 중에 확대해서 그려야하는게 엄청 불편하다.(혹시 다른 작업환경,pc나 노트북에서 비교해본 내용이 있으면 편집바람)

3.1.13.1. Kamvas 24 Plus vs Cintiq 22[편집]

캄바스 24 플러스가 더 나은 점:

  • 해상도: QHD 2560x1440 vs FHD 1920x1080

  • 색역: sRGB 140% vs sRGB 99%

  • 퀀텀닷 지원
    이외는 추기바람.

3.2. 태블릿 컴퓨터[편집]

3.2.1. Kamvas Studio 22[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 캄바스 스튜디오 22 - 2020년 3월 출시. 와콤의 모바일스튜디오 프로와 같은 드로잉용 태블릿PC다. 8GB RAM+120GB SSD 모델과 16GB RAM +240GB SSD 모델 두종류가 있으며 가격은 각각 1195$, 1395$. CPU는 I5 8400, GPU는 인텔 HD그래픽 630.
    태블릿 컴퓨터는 보통 휴대용으로써 가지는 의의가 큰데, 4.75kg에 22인치짜리 대형기기를 휴대용으로 내놨다는 데서 의아함을 자아내고 있다. 2kg도 채 안되는 16인치 액정타블렛[21]도 휴대용으로는 버겁다는 말이 나오는 판국이라 수요조사를 하긴 했는지 의문. 게다가 그래픽 작업은 꽤 사양을 타기때문에 PC에 연결해서 쓰는게 기본인데, 이건 휴대용 이랍시고 내장그래픽을 달아놨다.

3.3. 펜 태블릿[편집]

3.3.1. WH1409 V2[편집]

13.8 x 8.6 인치 초대형 작업 영역, 8192 level, 5080 LPI, 266 RPS. 심플하며 고급스러운 디자인, 2.4G 무선 방식에, 60도 펜 기울기, 25시간 배터리 용량, 12개의 익스프레스 키로 편리하게 작업 가능하며, 무충전 펜을 탑재한 제품이다.

3.3.2. Q11K V2[편집]

Simple한 프레임으로 작업영역 최대화(279.4mm X 174.6mm), 8192 level, 5080LPI, 233 RPS.8개의 익스프레스 키 및 locking key, 2.4G 무선 방식, 무충전 펜을 탑재한 제품이다.

3.3.3. H1060P[편집]

기존 충전식 펜을 채택하던 NEW 1060 PLUS에서 무충전 방식의 펜으로 업그레이드한 제품.

8192 level, 5080LPI, 233 PPS.
12개의 익스프레스 키 및 16개의 핫 셀이 들어있고, 무선방식이 없는 대신에 마이크로 SD 카드를 넣을 수 있음.

3.3.4. G10T[편집]

현재 국내 홈페이지에선 단종된 제품이다.

손과 펜의 멀티 터치가 가능한 무선 타블렛. 8192 level, 5080 LPI, 233 RPS. 슬림하며 고급스러운 디자인, 2.4G 무선 방식, 손 터치 패드가 있어 멀티 터치 작업 가능, 6개의 익스프레스 키로 편리하게 작업 가능, 최신 표준인 C타입 USB로 위 아래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다.

3.3.5. H610PRO[편집]

현재 국내 홈페이지에선 단종된 제품이다.

H610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무충전식 펜으로의 교체, 표면 질감의 변화, 해상도 상승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무게는 H610에 비해 조금 무거워졌다.
24개의 기능키를 가진 그래픽 타블렛으로, 8192 level, 5080 LPI, 233 RPS. HV600 코어 칩으로 높은 호환성과 성능 발휘, 8개의 익스프레스 키 + 16개의 핫셀(기능 키)로 편리하게 작업 가능, 밀림 방지 소프트 매트.

3.3.6. 680TF[편집]

현재 국내 홈페이지에선 단종된 제품이다.

작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8x6 인치 그래픽 타블렛으로, 2048 level, 5080 LPI, 233 RPS. 심플하며 고급스러운 디자인, 고성능의 HV800 칩 탑재로 높은 호환성과 성능 발휘, Micro SD 카드 리더 기능, 펜 수납이 가능한 밴드.

3.3.7. H950P[편집]

휴이온 사 최초의 무충전식 펜을 도입한 제품.

8192 Level, 5080 LPI, 233 PPS. 8개의 단축키와 유선 연결이 가능한 얇고 심플한 디자인의 타블렛이다.

3.3.8. H640P[편집]

휴이온 사 최초의 무충전식 펜을 도입한 제품.

8192 필압, 5080 LPI, 233 PPS. 6개의 단축키와 유선 연결이 가능한 타블렛이며, H950P의 소형화 버전이다. 제품 크기로 인해 H950P의 경우, 8개의 핫키가 있지만 해당 제품은 6개로 축소되었다.

와콤 제품의 특유의 종이질감 느낌이 훨씬 덜하다. 덕분에 펜촉 마모가 덜하면서도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한다.

다만, H430P 제품과 같이 인풋렉이 다소 있는 편이며, 커서 스무딩이 과한 편이다. 그나마 게임 모드를 사용할 땐 그 정도가 어느 정도는 줄어들기는 하지만 체감 가능한 수준의 인풋렉은 여전히 존재한다.

사이트에서 약 5만 9000원 정도에 팔리고 있으며 성능도 안정적이고 가성비가 좋아 와콤의 저가형 모델들과 함께 초보자들에게 추천되는 타블렛이다.

3.3.9. H430P[편집]

현재 국내 시장 한정으로 판매가 중단된 제품으로, 해외직구를 통해 구매가 가능하다.

무충전식 펜을 가진 osu!에 최적화된 타블렛.

4096 Level, 5080 LPI, 233 PPS. 4개의 단축키와 유선 연결이 가능하며, 아직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은 휴이온 사의 제품인 420와 H420 다음으로 가장 작은 크기를 자랑하는 타블렛이다.

osu!에 최적화된 타블렛이라고는 하지만 인식이 잘 끊긴다는 평가와 스무딩 처리가 너무 과하면서도 입력 지연시간이 높다는 단점이 주로 지적되고 있다[22].

하지만, 위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AliExpress 가격 기준으로 3만원 초반대에 판매되고 있는 덕분에 초보자, 혹은 게임용으로만 막 쓰는 사용자에게 꽤 추천되고 있는 제품이다. 매우 저렴한 가격에 Wacom의 동급 제품[23]과 비교해도 제품 성능상 큰 차이는 없기 때문.

3.3.10. H420[편집]

2048 level, 3개의 단축키, 4.17 in x 2.23 in. 한때 인터넷 상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의 펜 테블릿으로 이름을 날렸었다. 현재 $27.99 미국 아마존에서 판매.
한국시장에서는 정발되지 않음.

3.3.11. H1161[편집]

8192 level, 10개 단축키, 11 in x 6.88 in. 미국 아마존에서 $79.99.

3.3.12. Q620M[편집]

무선 펜 태블릿이다. 미국 아마존에서 $109.99에 판매되며 10.5 x 6.6 인치 모델이다. 8개의 단축키가 있으며 다이얼이 있는게 특징.

3.3.13. H320M[편집]

8192 level, 11개 단축키, 9 in x 5.6 in. 미국 아마존에서 $79.99. 한국의 경우 109,900원.
반대쪽에 LCD 메모패드가 붙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동전형 배터리(CR2025)가 들어간다.

3.3.14. HS610[편집]

신형 HS 제품군의 플래그쉽 모델이다. 다른 기능은 여타 태블릿과 동일 하나 12개의 단축기와 하나의 터치 링, 16개의 터치식 매크로가 있다. 키보드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능이 장점이다. 미국 아마존에서 $69.99.

3.3.15. HS64[편집]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휴이온 캄바스 프로 16 4k - hyuion kambaseu peulo 16 4k

신형 HS 제품군의 저가형 모델. HS610과 필압과 여타 기능은 같으며 6.3 x 4 인치의 작업공간을 갖고 있다. 단축키가 4개 밖에 되지 않는다. 미국 아마존에서 $39.99.
2021년 4월에 국내에서 정식발매하였다. HS64와 Chip 사와의 협업으로 HS64 Special Edition 두가지 버젼으로 출시가 되었고 이중 HS64 Special Edition 은 바나나 모양의 Chips 오리 캐릭터와 노란색 바탕색으로하여 독특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7인치 타블렛이지만 크기가 소형이고 휴대하기가 편하여 휴이온의 특징중 하나인 안드로이드 폰에 연결하면 야외에서의 사용도 편리하다.

3.3.16. HS611[편집]

HS610 모델의 스펙과 대동소이 하며 소프트 키가 빠지고 8개의 멀티미디어 버튼이 추가 되었다. 미국 아마존에서 $79.99.

3.3.17. KD200[편집]

왼손키보드가 달려있다. 탈부착은 불가능하다. 한국 홈페이지에서 219000원에 판매중.

4. 관련 문서[편집]

  • 그래픽 태블릿

[1] 출하량 기준[2] SDF 인터내셔널의 국내 총판 계약이 2022년부로 종료되었다. 휴이온코리아 공지사항[3] 예를 들어 절대좌표 모드에서의 커서 스무딩 정도의 조절과 작동 범위 설정의 높은 난이도, 상대좌표 모드에서의 펜 인식 높이와 커서 가속도 조절 등.[4] 중국 공산당과 사이가 안 좋다.[5] 다만 중국 기업 인지라 진심으로 휴이온을 좋아하다기 보단, 와콤에게 반격을 가해 타블렛 시장에 새 활기를 주었다는 점에서 지지하고 있다.[6] 와콤의 동일크기 액정타블렛이 200만원이 넘어가는걸 생각하면.[7] 이 점 때문에 와콤펜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이 적응을 못하고 갈아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8] 사실 작업용으로는 업계표준치인 sRGB100%, NTSC72%를 초과하면 과장된 색감으로 그림을 그리는 셈이라 의미가없다. 일종의 기술력 과시용 스펙.[9] 국내에선 하술할 프로16보다 늦게 출시되었다.[10] USB 타입 C 단자가 DP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연결이 된다.[11] 단 지원하는 기기 범위가 상당히 한정적이다. 사실상 화웨이와 삼성 두 제조사의 중-고급 기기들만 가능한 수준.[12] 단 영상송출이 가능한 USB 3.1 gen 2 이상의 USB-C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영상송출 가능한 USB 3.1 gen 1 이상의 USB-C 포트가 있는 기기만 가능하다.[13] 이론상으론 USB 3.1 gen 1 USB-C 케이블도 가능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 불가하다는 보고가 많다.[14] 단 전원부의 발열은 구조상 어찌할 수가 없다. 전원부는 오른쪽 위 구석이 가장 뜨겁고, 왼쪽 위 구석에 있는 전원 버튼까지 상단에도 미약하게 발열부가 있다.[15] OSD로 진입하여 color - tempearture - user를 선택한 뒤에 user를 한 번 더 선택하면 RGB 상세 설정 창이 뜬다. 은근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색감 조정을 못하고 쓰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아무래도 숨겨져 있다보니 찾기가 어렵다. 심지어 이 나무위키 설명에서도 상세 설정이 안된다고 적혀있었다... [16] 이전 세대 모델에서는 펜을 사용할때 펜촉이 미세하게 들어가는 부분에 대해서 소비자들의 개선 요구가 있었고, 그에 맞게 견고한 펜촉으로 바뀌었다. 하드웨어적으로도 발빠르게 개선판을 내놓는것을 보며 소비자들의 의견을 귀담아듣고 있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고있다.[17] 보통 가격, 성능, 디자인 삼박자를 전부 만족시키는 경우가 거의 없고 어느 하나가 괜찮으면 다른 무언가가 아쉽고 부실한것이 눈에 띄는데... 이 제품은 그 삼박자를 만족시켰다. 실제로 해외 구매후기와 평가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