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 세다 쎄다 - him-i seda sseda

 힘을 강하게, 힘차게 라는 표현을 적고싶은데 갑자기 세다,새다,쎄다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서 이것도 한번 조사해보자라고 마음먹고 살펴보았습니다.

Show

30년넘게 한국말을 사용하면서 살고 있는데 ㅡㅡ 아직까지도 헷갈리다니...이러니 다른나라말인 영어도 배우기 힘들지라는 생각이 드네요 ㅠㅠ. 아무튼 오늘에서야 한번 제대로 넣어보고자 각성하고 조사해보았습니다.

힘이 세다 쎄다 - him-i seda sseda
무엇이 맞을까요?

1. 세다

세다는 힘이 강하다, 기세 등등하다, 강력하다 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아마도 많은분들이 힘이세다라고 적으셔야 하는데 실수로 힘이쎄다라고 쇤소리나는 발음으로 그대로 적용하기 부지기수일테지요..저또한 포함이구요 ㅠㅠ. 이 포스팅을 검색하시는 분들 대부분이 웬만하면 1번으로 기억하시고 바로 뒤로가기를 누르셔도 될거라 생각합니다ㅎㅎ

2. 새다

새다는 돈이 빠져나가거나, 물따위의 액체 혹은 수증기 기체같은것이 틈으로 빠져나가거나, 빛이 틈으로 빠져나가거나 할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두들 돈 새지 않게 절약정신을 가집시다.

3. 쎄다

쎄다는 그냥 기억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식적으로 등재되어있지 않습니다. 즉 표준어가 아닙니다. 그저 세다의 소리나는 글자라고 할 수 있지요...그러니 오늘부로 쎄다를 어딘가에 적으시는것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1.세다

2.새다

3.쎄다

3단어를 살펴보았지만 사실상 저희는 2가지만 구분하시면 되겠습니다. (3번은 아예 없는단어니깐)

세다와 새다만 유의하셔서 확실히 머릿속에 집어넣으시고 메일이나 작문하실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힘이 강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싶은데 세다,새다,쎄다,쌔다 중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할지 최근까지도 헷갈렸습니다. 힘이 세다?새다?쎄다?쌔다?다 맞는 것 같은데 한국인의 감으로도 잘 와 닿지가 않더라구요. 그래서 오늘 말끔하게 정리하고 머리에 각인시키려고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다.

구분방법 확인하기

1. 세다

세다는 힘이 많다, 기세 따위가 강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힘이 세다고 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해야 하죠. 그 밖의 여러 관용적인 표현으로도 사용하긴 하지만 어쨌든 주된 뜻은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ex) 기운이 세다, 고집이 세다, 술이 세다, 팔자가 세다

힘이 세다 쎄다 - him-i seda sseda

2. 새다

새다는 기체, 액체 따위가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다.빛이 물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 들어오거나 나가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는leak와 비슷하겠네요.

ex) 비가 샌다. 방문에서 불빛이 새 나온다. 계속 돈이 어디로 샌다.

3. 쎄다

쎄다는 공식적으로 뜻이 없습니다.물론 사투리 표현으로 사용하기는 하지만 명확히 뜻이 있는 단어가 아닙니다. 전라남도 쪽에서는 쏘이다의 방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4. 쌔다

싸다의 피동사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어떤 물건을 포장할 때 주로 사용하죠.

ex) 그릇이 한지에 꽁꽁 쌔어 있었다. 수건으로 쌘 도시락통

물론 이렇게 정리는 했지만 며칠 지나면 또 헷갈릴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머리에 인식을 시켜야 하는데요.

3번의 쎄다는 없는 뜻이기 때문에 일단 제외를 시킵니다. 그렇게 되면 4번 혼자 쌍시옷이 남게 되는데요. 얘는 그냥 어떤 걸 싸는 용도로만 기억하세요. 보자기에 싸인 물건으로 생각하면서요.

세다

세 개, 3로 외웁니다. 힘이 3()나 있으면 엄청 세겠죠? (quantity)으로 외우시기 바랍니다.

새다

새장으로 외웁니다. 새장은 쇠창살 여러 개로 만들었는데요. 이 틈으로 물이 새거나 빛이 들어오는걸 연상하면 좋겠네요.

솔직히 위 4개의 단어인 세다,새다,쎄다,쌔다 중 하나만 확실히 알아두면 나머지는 거의 자연스럽게 외워질 텐데요. 가장 흔히 사용하는 힘이 세다를 표현할 때는 힘이 3()개가 있는 세다로 각인시켜 두세요.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