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각주 표기법 - hag-winonmun gagju pyogibeob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1. 외각주 표기 방법

a) 단행본

a-1. 국문 단행본

필자 성명, 『책 제목』,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간연도, 참조 페이지.

예) 유종호, 『문학이란 무엇인가』, 2판; 민음사, 2016, p.89.

a-2. 국문으로 번역된 단행본

필자 성명, 『책 제목』, 번역자 성명 역,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간연도, 참조 페이지.

예) 알베르토 망구엘, 『독서의 역사』, 정명진 역, 서울: 세종서적, 2020, pp.187~190.

a-3. 구미어 단행본

필자 성명, 이탤릭체로 책 제목,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간연도, 참조 페이지.

예) Monroe K. Spears, Dionysus and the City, 1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p.121.

-필자가 여러 명일 경우, 3명까지는 쉼표나 가운뎃점을 사용하여 이름을 나열한다. 그 이상인 경우, 대표 저자 이름만 표기한 후 '외'나 'et al.'을 붙인다.

-출판지 명은 도시 이름으로 표시한다. 단, 국내 도서 출판지가 서울인 경우 생략 가능.

-초판의 경우는 판수를 생략할 수 있다.

-참조페이지를 적을 때, 영문으로는 소문자 'p.'로 나타내며, 두 페이지 이상 인용할 시 'pp.'를 사용한다. 한글 '쪽'이나 '면'으로 표기해도 좋으나 영문, 한글 표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일시킨다.

b) 논문 및 기타 간행물

b-1. 대학 학위 논문

필자 성명, 「논문 제목」, 학위수여기관 및 학위명, 수여 연도, 참조 페이지.

예) 김선수, 「한일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근대 전쟁사 서술 비교」, 명지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8, p.23.

b-2. 일반 학술 논문(국문)

필자 성명, 「논문 제목」, 『학술지 명칭』, 권(호), 발행기관, 출간연도, 참조 페이지.

예) 정원식, 「사회비판의 두 유형과 공조 방안: 한국사회를 위한 종합적 사회비판 전략의 모색」, 『사회와 철학』, 21,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pp.305~306.

b-3. 일반 학술 논문(구미어)

필자 성명, 논문 제목, 이탤릭체로 학술지 명칭, 권(호), 발행기관, 출간연도, 페이지.

예) B. Boysen, The necropolis of love: James Joyce's Dubliners, Neohelicon, 35(1),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 p. 158.

b-4. 여러 저자가 함께 지은 에세이집, 논문 모음집 등의 기타 간행물에 실린 글

필자 성명, 「글의 제목」, 편자명 편, 『책 제목』, (번역자 성명 역), 출판사, 출간연도, 참조 페이지.

예) 크리스토퍼 미리, 「사이버 공간과 약자 공동체」, 마크 스미스, 피터 콜록 편, 『사이버 공간과 공동체』, 조동기 역, 나남, 2003, p.532.

c) 전자 자료

c-1. 인터넷으로 확인한 신문자료

필자 성명, 「글의 제목」, 『신문명 등 전체 제목』, 글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연.월.일. <URL> (기사 검색 연.월.일.)

예) 문주영, 「전 세계 극과 극 날씨로 몸살」, 『경향신문』, 2019.1.31. <http://news.khan어쩌구저쩌구> (2019.2.7.)

c-2. 기타 인터넷 자료

사이트 명칭, http 주소

예) 통계청, www.kostat.go,kr

1-1. 두번째 나오는 문헌의 경우

-'위의 책' 또는 'Ibid.'로 표기한다.

-인용 면수가 다른 경우, 해당 페이지를 표기한다.

예) 위의 책, p.130.   또는    Ibid., p.130.

-바로 위가 아닌 경우, 앞에 나온 자료 중 어느 저자의 문헌인지 명시하기 위해 필자의 이름을 써준다.

-'앞의 책' 또는 'Op.cit'로 표기한다.

예) 유종호, 앞의 책, p.130.   또는    유종호, Op.cit., p.130.

-인용한 쪽수까지 동일한 경우, '위와 같음' 또는 '앞과 같음', 'Loc.cit.'로 표기한다.

예) 위와 같음     또는      앞과 같음     또는      Loc.cit.

2. 내각주 표기 방법

-인용한 내용의 출처에 해당하는 저서나 저자명을 본문에 표기한 후 발행연도를 괄호 속에 넣어 함께 표기한다.

예)

Smith, Ragan(1999)는 Gagne(1985)의 9가지 교수 사태에 기반하여 수업 단계를 학습준비, 학업수행, 정리, 평가의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인용한 내용의 저서나 저자명을 표기하는 것 대신 인용문 끝에 괄호를 두고 그 안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기한다.

예)

기존 제품에서 핵심적 요소를 제거하여 혁신을 이룩한 가장 대표적인 예는 송풍용 회전날개를 제거한 '날개 없는 선풍기'이다(박영택, 2016).

기본

  • 한국학대학원 홈페이지:[한국학대학원_학위논문_작성_안내]

1. 각주 및 참고문헌

  • 동양어 논저, 논문인 경우:

① 필자명, 논문제목, 게재지명, 권수, 호수, 발행처, 발행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
② 논문은 「 」, 게재지는 큰 꺽쇠 안에 표기
③ 게재지의 ‘권’, ‘호’, ‘집’ 등을 표기
④ 출판사항은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순.
⑤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
⑥ 두 개 이상의 다른 논문을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저자의 다른 논문이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
⑦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 저자의 이름을 모두 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 외> 로 표기
⑧ 미간행 논문 혹은 학술대회 발표 논문일 경우, 위의 논문 집필에 준하되 기관, 장소 및 날짜 기재

(예) 홍길동, 「한국학의 목록화와 전산정보화」, 󰡔정신문화연구󰡕, 제17권 제3호, 1994, 42~50쪽.
     홍길동, 「조선사의 이해」, 한국학중앙연구원(편), 󰡔근현대사의 이해󰡕, 신진, 1986, 52쪽.
     홍길동, 「한국근대사와 여성」, 제20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발표회,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12. 23, 34쪽.
     홍길동, 「한국자본주의와 상인」,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1, 34쪽.
     (*학위논문의 경우도 작은꺽쇠 사용/다른 곳에선 학위논문을 저서 기준으로 표기하기도 함)
  • 동양어 논저, 저서인 경우:

① 저자명(편찬주제), 서명, 발행지, 발행처, 발표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
② 서명은 큰 꺽쇠 안에 표기
③ 발행지는 국내일 경우 생략
④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
⑤ 두 개 이상의 다른 저서를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저자의 다른 저서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
⑥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 저자의 이름을 모두 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 외> 로 표기

     (예) 홍길동, 󰡔한국정치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2, 42쪽.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근대화󰡕, 신진, 1988, 10~15쪽.

⑦ 번역서일 경우,

      그레고리 홍(저)/홍길동․김철수(역), 󰡔1950년대 미국사 연구󰡕, 신진, 2001, 32쪽.
  • 서양어 논저인 경우:

① 논문은 “ ”, 게재지는 이탤릭체로 표기

(예) Hong, Gildong,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Unifica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20, No. 2, 1991, pp. 40~50.

② 저서는 서명을 이탤릭체로 표기

(예) Hong, Gildong, Korean History, New York: Hill, 1984, p. 32.
  • 웹자료 (현재 대학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권장 표기사항과 학과 내의 권장 표기사항 다름!!)

① 각주에선 저자, ‘문서제목', 사이트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파빌리온 제작 방법」, 인문정보학 위키, 2018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파빌리온_제작_방법)
“傳曰, 劉都督差官上來東關王廟及楊經畧碑閣急急摘奸, 修理以待. 而凡接待等事, 着令該曹, 預爲議處.”(『光海君日記』(正草本) 10년(1618) 11월 18일 癸卯;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id/kob_11011018_003)

② 참고문헌에선 저자(기관), ‘문서제목’(없으면 생략), 사이트(데이터베이스)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

③ 영문 웹문서 경우, 저자, ‘문서명’, 데이터베이스(사이트), url

2. 문서서식 참고

① 국문 문장 시작할 경우(ex 국문초록 및 본문), 스페이스바 2번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
② 영문 문장(ex 영문초록) 시작할 경우, 1 Tab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
③ 참고문헌 문서서식 설정을 왼쪽여백 7/내어쓰기 40으로 하면 임의조정 필요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