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질문 내용
수학 - 확률과 통계 - 경우의 수
2021.09.15 22:09:18

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이 문제에서 8c4를 곱해서 틀렸는데 국번을 놓을 위치를 정하는 경우의 수가 필요하지 않나요?

답변 내용

ArchSook

튜터

고려대학교ㅣ건축학과

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쌤이 사진에 적어놓은것처럼, '국번' 이라는 단어 자체가 전화번호 앞자리에 적는 숫자에요:) (ex. 1234-1234 에서의 '-' 앞부분!) 따라서 앞에 적힐 네숫자(국번)를 정해서 나열하는 경우의 수 먼저 구하고, 나머지 뒤에 올 네자리 숫자의 나열 방법 개수를 구해서 곱하면 된답니다☺️ 그게 학생이 8C4를 제외하고 적어놓은 거에요😊 추가로 궁금한것 있으면 질문해주세용:) 화이팅!!🥳

질문과 관련있는 개념

# 중복순열

20세기환승연애얘기하면오마카세창섭시🍑해은규민
익명연예 (K)POP/예능 익명잡담 이성 사랑방

전체 인기글 l 안내

10/22 3:28 ~ 10/22 3:30 기준

1 ~ 10위

11 ~ 20위

1익명잡담  썸녀똥오줌 쓰니 개웃기네  9

2인티포털  프듀시절 폰이름으로 알려졌던 아이돌  16

3인티포털  동네 김밥집에서 시킨 돈까스 김밥  17

4인티포털  5분 간격 모닝콜이 안좋은 이유  39

5익명잡담  새벽에 쇼핑했어 ㅠㅠㅋㅋ 블랙업 질렀다..  5

6인티포털  2년동안 안 벗은 양말  13

7익명잡담  대학 학기초반에 확실히  7

8익명잡담  울언니 진짜 친구없거든..  38

9인티포털  현재 논란인 AI도 못그리는 그림 확실한거 2가지  44

10인티포털  남편 흙 퍼 먹이고 싶은 아내  2

1 ~ 10위

11 ~ 20위

익명잡담 잡담의 인기글 l 안내

10/22 3:28 ~ 10/22 3:30 기준

1 ~ 10위

11 ~ 20위

10

1 썸녀똥오줌 쓰니 개웃기네9

7

2 새벽에 쇼핑했어 ㅠㅠㅋㅋ 블랙업 질렀다..5

4

3 대학 학기초반에 확실히7

3

4 울언니 진짜 친구없거든..38

2

5 메가커피 알바해본 익들아 이 알바분 어떻게 신고해?27

6 대익들아 공부중이니...6

1

7 혹시 소음순 한쪽만 늘어난 사람 있어ㅠ?27

8 익들아 너네도 손님인데 아저씨가 반말로 키오스크 해달라하면 해줘??5

9 솔직히 외모는 눈이랑 얼굴형이 많이 좌우하는거 같아5

10 네이버 영수증 리뷰 은근 쏠쏠해9

1 ~ 10위

11 ~ 20위

이메일 문의 l 개인정보취급방침 l 사업자정보확인 l 권리 침해 l 광고/제휴 l 채용 l 모바일

(주)인스티즈 l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94길 25-8, 3층 l 사업자등록번호 : 655-86-00876 l 통신판매업신고 : 2017-서울강남-03991 l 대표 : 김준혁
TEL : 070-7720-0983 (FAX : 050-7530-7181)

이통3사에 할당된 7천392만개 중 81.3% 사용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우리나라 이동통신사들이 정부로부터 받은 010 이동전화번호가 대부분 사용돼 고갈 우려가 있다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경욱(자유한국당·인천 연수구) 의원이 21일 밝혔다.

민 의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이동통신 3사에 할당된 010번호 개통 현황' 자료에 따르면 6월말 기준으로 정부가 이동통신사업자에 부여한 010번호 7천392만개 중 6천11만개(81.3%)가 사용중이었다. 남은 번호는 1천381만개(18.7%)에 불과했다.

특히 이통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017670]은 부여받은 010번호 3천380만개 중 3천186만개(94.3%)를 사용중이어서 남은 번호의 수는 고작 194만개(5.7%)였다.

KT[030200]는 2천456만개 중 1천800만개(73.3%), LG유플러스[032640]는 1천556만개 중 1천25만개(65.8%)를 쓰고 있었다.

만약 SKT의 번호사용율이 더 높아질 경우 번호공동사용제에 따라 번호 사용률이 낮은 KT와 LG유플러스의 남는 번호를 SKT에 재부여 해야 한다고 민 의원은 지적했다.

번호공동사용제는 이통사별로 할당됐던 휴대전화 번호를 다른 이통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015년에 처음 시행됐다. 당시 KT 번호 56만개와 LG유플러스 번호 44만개 등 번호 100만개가 회수돼 SKT에 할당됐다.

'010-XXXX-XXXX' 방식으로 구성된 010번호는 논리적으로 1억개가 있지만, 이 중0000∼1999국번은 쓸 수 없게 돼 있어 실제로는 8천만개만 할당할 수 있다. 현재 이통사에 할당되지 않은 608만개 번호는 제4이동통신 도입 등에 대비한 유보분이다.

과기정통부는 남은 번호자원과 번호공동사용제 등을 활용하면 당분간 번호 고갈 사태는 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화번호 경우의 수 - jeonhwabeonho gyeong-uui su

010번호 (CG)

[연합뉴스TV 제공]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09/21 10:06 송고

   당신의 집 전화번호는 몇 자리인가?

당신의 핸드폰 번호는 몇 자리인가?

당신의 주민등록번호는 몇 자리인가?

당신의 차번호는 몇 자리인가?

당신의 학번은 몇 자리인가?

우리 집 전화번호는 (031) 000 - 0000

내 핸드폰 번호는 (011) 0000 - 0000

내 주민등록번호는 751009 - 1000000

우리 집 차번호는 00 0000

내 학번은 2004000000이다.

(설마 저 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사용하지는 않겠져? 흐흐...)

이 번호들의 개수(자리수)를 세어 보라. 여기서 전화번호의 경우 지역번호(031)나 가입자식별변호(011), 학번의 경우에는 입학년도(2004), 주민등록번호의 경우는 생년월일(751009)을 한 자리로 계산하여, 이 번호들이 몇 자리의 숫자단위로 이루어져 있는지 세어 보라.

우선 집 전화번호는 8자리이다. 요즈음에는 집 전화번호가 국번이 4자리여서 모두 9자리일 수도 있고, 아주 시골의 경우에는 국번이 2자리여서 7자리일 수도 있다.

핸드폰 번호는 9자리이다. 핸드폰을 일찍 가입하여, 앞 번호가 3자리인 사람은 8자리일 수도 있다.

주민등록번호는 모두 8자리이다.

자동차번호는 역시 7자리이다.

학번은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7자리 정도이다.

이 번호들은 6~9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외에도 나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번호들은 모두 이 정도의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하다. 아니 신기하기도 하다.

모두 약속이나 했을까?

아니면 혹시 법으로 “중요한 숫자는 모두 6~9개 정도의 숫자로 만들라”고 정한 것은 아닐까?

이에 대한 답을 심리학의 한 분야인 인지심리학에서 얻을 수 있다. 인지심리학이란 분야는 인간의 기억과 주의(attention), 문제해결 등의 정신과정에 대하여 연구하는 분야이다.

인지심리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기억 부분을 살펴보면, 어떻게 정보를 저장했다가 다시 기억해 내는지에 대한 여러 이론들이 있는데 이 이론들 중에서 제일 유력한 이론이 중다저장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형에서는 기억이 하나의 단일체계가 아니라 여러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여러 체계란 순서대로 감각저장 → 단기(작업)기억 → 장기기억을 말한다.

중다저장 모형에 입각하여 기억을 연구한 수많은 사람 중에서 Miller는 단기기억의 용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1956년에 발표한 자신의 논문에서 단기기억의 용량을 7±2이라고 하였다. 이 숫자를 magic number라고도 하는데, 다시 말해 대략 7개 정도의 항목들을 짧은 시간 동안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물론 개인차가 따르게 마련이어서 어떤 사람은 9개까지, 어떤 사람은 5개까지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그렇다면 그 이상의 정보는 기억할 수 없단 말인가?

이에 대해서 Miller chunk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chunk란 친숙한 자극들을 집단화(grouping)해서 하나의 단위로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단기기억에 대해서 Miller가 연구한 바, 7±2 chunk 가 단기기억의 용량이라는 것이다.

만약 chunk를 만드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전문가)은 엄청난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기억할 수 있지만, 이 능력이 뛰어나지 않는 사람(초보자)은 아주 적은 정보만을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에서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 학번에서 앞의 부분(국번, 가입자식별번호, 생년월일, 입학년도)을 하나의 단위로 계산하라고 했던 것이 바로 chunk로 묶는 작업을 한 것이다. 그래서 내 핸드폰 번호가 실제로 0.1.1.0.0.0.0.0.0.0.0 으로 11자리이지만, 011을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 9자리로 인식할 수 있고, 이 정도의 숫자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것이다.

어쨌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숫자들이 바로 우리의 기억용량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 한편으로는 놀랍다.

생각해 보라. 친구 전화번호가 15자리라면, 어떻게 외우겠는가? -_-

아마 절대로 전화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 때 15자리를 chunk로 묶을 수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그러고 보니, 로또 역시 6개를 고르는 방식이군. ...

휴대폰 번호 몇자리?

휴대전화번호의 경우 통신사 번호 3자리 + 지역별 할당번호 4자리[13] + 임의의 숫자 4자리로 구성된다.

미국 핸드폰 번호 몇자리?

왜 해외는 이런 형식을 가지는 걸까요? 이는 미국의 전화번호 방식 때문인데요. 모두 10자리로 구성되도록 설정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