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시나리오 기획서 - geim sinalio gihoegseo

아홉번째 깃털 : 은

게임제작, 기획서 양식, 캐릭터 양식, 시나리오 양식 (첨부)

게임 시나리오 기획서 양식

1)표지

2)게임 개요

①게임 이름 ②주제 ③소재 ④장르 ⑤주요 대상자 ⑥게임 특성 ⑦제작사

3)게임 시나리오 창작의도

4)게임의 세계관

①시간적 배경 ②공간적 배경

5)캐릭터 구성 및 상세 리스트

①PC ②NPC

6)게임요소 개요

7)사건 개요

8)스토리

9)플롯

10)오프닝, 엔딩 개요

①오프닝 ②엔딩

11)영상장면 구성

12)게임장면 구성

13)게임 시나리오

14)게임 시나리오 양식도

게임 캐릭터 양식

기본정보

이름

등장배역

별명

직업

나이/성별

인종(종족)

생년월일

국적(고향)

혈액형

사용언어

외모

몸무게

머리카락 색

눈동자의 색

의상

목소리의 톤

성격

대표적 성격

가치관

특이한 버릇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특기

취미

이력 및 환경

아동기

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가족관계

조부모

배우자(연인)

부모

자녀

형제

기타

배경

역할

목표

상호관계

동조 캐릭터

적대 캐릭터

보조 캐릭터

추가사항

게임 시나리오 양식

시퀀스 이름

시퀀스 번호

일련번호

S#

배경

인물

대사

지문

음악요소

 제가 Project_SOO(가제) 를 작업하면서 사용한 게임 시나리오 기획서 양식과 캐릭터 설정 양식, 시나리오 양식입니다. 원본은 만화의 집에서 공부하면서 읽은 책 중에 한 권인 '게임 시나리오 작법론'(이재홍 저, 정일 출판)에 있습니다. 이곳에 올린 기획서 양식, 캐릭터 양식, 시나리오 양식은 한글 2007파일로 첨부하였습니다. 필요하시면 덧글을 달은 뒤 받아가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양식의 저작권은 이재홍 님께 있습니다.

 덧)시나리오 양식은 그대로 복사를 해왔더니 블로그 포스트 넓이의 한계로 깨졌군요; 대사가 저렇게 적을리가 있나요.....(웃음) 원본을 제대로 보시려면 첨부파일로 보시기를 권합니다^^;

 덧덧)아, 그리고 이 양식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는 제작자 본인께서 이 양식이 앞으로의 게임계에 표본과 같이 쓰였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책에서 하셨으므로..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 오히려 적당한 표본이 없어 모두 다른 양식을 쓰기 때문에 혼란이 심하다더군요... 자, 그럼 게임 제작자 여러분, 화이팅!(응?)

 소개

게임기획을 위한 기초 입문서로, 게임이론과 문학이론이 적절하게 어우러진 시나리오창작론을 주제로 한다. 사례를 통한 시나리오 작법 실습에 충실한 시나리오 작법을 설명하며, 필자의 게임 시나리오 공개 및 기획서 작성법을 다룬다. 한국게임산업개발원, 게임아카데미의 사이버 강좌의 교재이기도 하다.

 목차

제 1 장. 게임시나리오의 기초
제 2 장. 게임 아이디어의 확산
제 3 장.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기본 트레이닝 방법론
제 4 장. 시나리오의 초기 설정 작업
제 5 장. 캐릭터 설정
제 6 장. 세계관 설정
제 7 장. 게임요소의 설정
제 8 장. 스토리 텔링 작업(스토리와 플롯)
제 9 장. 멀티 시나리오
제 10 장. 지문과 내레이션
제 11 장. 대사
제 12 장. 게임시나리오 마무리 작업
제 13 장. 시나리오 탈고작업
제 14 장. 게임시나리오기획서 작성
제 15 장. 게임시나리오 사례 <천년의 불>

게임 시나리오 작법

  게임 시나리오는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시나리오 작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 게임 개발에 필요한 게임 그래픽, 프로그래밍, 음악 등의 개발과 직접 연관이 있어야 하고, 바로 개발에 착수할 수 있을만큼 견고하고 세밀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냥 게임 시나리오가 아닌 체계적이고 구성이 조화로운 게임 시나리오 설계가 필요한 것이며 게임 개발진들이 보고 모두 공감할 수 있고 또 한눈에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게임 시나리오가 필요한 것이다. 게임 시나리오는 게임 개발 바로 직전까지 완성이 되어야 한다. 게임 프로그래머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게임 시나리오를 보고 전부 이해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커다란 착오이다. 그러므로 게임의 각 분야의 개발진들이 쉽게 개발할 수 있게 각 부분을 단계별로 작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1. 게임 시나리오의 기본 작성 체계

  ① 제목 정하기

  ② 장르 정하기

  ③ 시놉시스(줄거리) 작성

  ④ 기획의도 및 특징

  ⑤ 캐릭터 설정

  ⑥ 아이템 및 오브젝트 설정

  ⑦ 세부 시나리오 작성

  ⑧ 맵 구성

  ⑨ 콘티 및 스토리 보드 작성

  ⑩ 메뉴 설정 및 디자인

  게임 개발에 있어 게임 시나리오는 하나의 나무가 자라기 위한 기본뿌리와도 같으므로 정확한 작성 차례를 준수하여 작성하지 않으면 개발진들이 시나리오에 의한 게임을 이해하기가 매우 힘들 것이며 개발에 있어서도 진척도가 낮을 것이다.

2. 장르별 게임 시나리오 작성법

  게임은 크게 장르별로 구분되며 아케이드, 롤플레잉, 시뮬레이션, 어드벤쳐 등의 장르가 있으며, 또 각 장르마다 더 세분화되거나 몇몇 장르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아케이드 게임 시나리오 작성법

● 제목 정하기

  아케이드 장르에서 제목 정하기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다양한 유저층과 게임형태를 가지고 있는 장르이기 때문에 아케이드 장르에서 제목은 부르기 쉽고 또 기억에 남아야 한다. 일본 컴파일 사의뿌요뿌요라는 게임의 제목을 보면 제목이 주는 느낌이 귀엽기 때문에 게임의 내용과 특성을 제대로 전달해 주며 누구나 들어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고 기억에 쉽게 남도록 전달이 된다. 때문에 아케이드 장르에서 게임의 제목을 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① 게임의 내용과 특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② 부르기 쉽고 기억에 남아야 한다.

  ③ 게임의 특성에 따라 캐릭터 이름이나 원작의 제목을 사용하여 제목을 정하는 것이 좋다.

● 장르 정하기

  아케이드는 다시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아케이드 장르에서 장르를 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명심하여 정하도록 한다.

  ① 단순하게 아케이드 장르라고 서술하는 것을 피하고 보드 장르이면 어떠한 요소의 퍼즐이닞, 퀴즈 게임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정한다.

  ② 액션이면 3D인지 2D인지, 횡스크롤인지 다방향 스크롤인지를 또한 시점이 1인칭인지 3인칭인지를 반드시 기입하고

  ③ 슈팅이면 종스크롤인지, 횡스크롤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 줄거리(시놉시스)

  줄거리와 시놉시스의 뜻은 같으며 전체 시나리오의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 작가들의 개성에 따라 줄거리나 시놉시스라고 표현하는 방식이 다들 조금씩 다르다. 일반적으로 시놉시스는 게임의 동영상으로 주로 쓰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실제 게임에서는 세부 시나리오에서 각 스테이지에 대한 것을 작성해 주면 된다. 줄거리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게임 내용의 시간적, 공간적, 부가적인 설정 등을 간략히 서술할 것

  ② 게임 전체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을 것

  ③ 너무 장황하지도 않고 너무 간단하지도 않은 문장으로 구성

  ④ 각각의 구성에 맞는 간략한 줄거리가 필요

● 기획 의도와 특징

  기획 의도와 특징은 작성한 게임 시나리오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에 관해 시나리오를 작성한 기획 의도를 서술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줄거리처럼 장황하게 서술형으로 쓰지 않고 번호나 기호를 글 앞에 넣어 나열식으로 서술하는 것이 좋다. 이는 다른 장르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구상하고 있거나 구상한 게임이 다른 동종 장르의 게임들과 비교해서 어떤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것이 차별화가 되는지와 자신이 게임을 기획한 의도를 빠짐없이 구체적으로 간략하게 서술한다. 다음과 같은 항목을 유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① 채택 장르와 특성

  ② 그래픽 처리는 어떻게 할 것이다.

  ③ 프로그램 기술은 어떤 방식으로 한다.

  ④ 다른 동종의 게임과 비교하여 어떤 차별성이 있으며 무엇이 다르다.

  ⑤ 이 게임을 기획, 시나리오를 쓰게 된 의도는 무엇이다.

● 캐릭터 설정

  아케이드 장르는 캐릭터 중심의 게임이므로 캐릭터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물론 다른 장르의 게임도 캐릭터의 설정이 중요하지만 아케이드 장르 게임의 주인공 캐릭터들은 보드 게임과 대전 격투 게임을 제외하고 2명에서 4명 정도의 캐릭터로 구성되며 개성을 가진 보스급 캐릭터의 수는 많아봐야 10개에서 20개 미만으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캐릭터 설정은 아케이드 장르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아케이드 캐릭터의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캐릭터 명 : 설정된 캐릭터의 이름을 표기한다.

  ② 설정 : 캐릭터의 나이, 직업, 외모, 성격 그리고 간단한 줄거리를 표기한다.

  ③ 동작 패턴 : 캐릭터의 기본 동작 및 공격, 방어 그리고 기타 부가적인 동작 패턴을 표기한다.

  ④ 비고 : 캐릭터의 무기 아이템 및 그 아이템의 업그레이드 단계, 그 외의 필요한 것들을 표기한다.

● 아이템 및 오브젝트 설정

  ① 아이템 설정 방법

   •첫째, 아이템의 역할을 설정한다.

   •둘째, 아이템의 형태와 그 외 부가적인 설정을 한다.

  ② 오브젝트 설정 방법

   오브젝트는 게임상에 등장하는 배경상의 나무, 집 여러 가지 장애 설치물 등과 역할이 적은 캐릭터 등을 말한다.

● 세부 시나리오 작성

  세부 시나리오는 게임 시나리오 단계의 핵심 요소로 게임의 흥행성을 판가름하며 게임의 완성된 형태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① 전체의 기둥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② 기둥 시나리오에 따라 주인공이나 등장 캐릭터들의 시나리오를 접목한다. 캐릭터의 특성에 따라 기둥 시나리오대로 게임을 진행하나, 요즘은 게임의 엔딩에서 스토리가 달라지는 멀티 시나리오 구조의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③ 게임 시나리오의 특성에 따라 세이브 기능을 잘 배치한다.

  ④ 기둥 시나리오를 각 미션, 스테이지별로 구성한 후 중간에 동영상등을 잘 배치한다.

  1인칭과 3인칭 액션 게임인 경우는 어드벤처 장르의 하나인 시네마틱 액티브와 거의 흡사한 장르이므로 다른 액션 장르에 비해 복잡한 게임 구성을 필요로 한다.

● 맵(지도)구성

  맵이란 게임에서 지도 또는 배경을 의미한다. 아케이드 장르 게임에서 맵 구성은 나름대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게임 시나리오를 배우는 사람들 중의 대부분이 앞으로 배울 동영상 부분과 맵 구성을 매우 난감해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글쓰기의 능력 외에 애니메이션 연출력이나 디자인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 메뉴 및 매뉴얼 설정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화면에 나타나는 게임 시작, 게임 종료, 게임 세이브, 게임 로드, 게임 옵션 등을 나타내는 화면과 게임 진행중에 나타나는 점수, 체력수치, 아이템 박스등의 메뉴에 관한 설정을 설명한다. 그리고 게임의 구동 사양 및 설치 안내와 게임의 간단한 설명을 책자로 만든 매뉴얼을 어떠한 구성 요소와 편집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할 것인가를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