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MR MRL 차이 - ellibeiteo MR MRL chai

최근 10년간 국내 승강기업계의 두드러진 변화 가운데 하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MRL; Machine Room Less)의 설치 증가다.

일반적으로 국내에 설치된 대부분의 승강기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한 로프식이다.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선 건물 최상층에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하다. 무거운 승강기의 카(car)를 들어올릴 수 있는 권상기(Traction Machine; 모터)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계실을 없앤 것이 MRL 엘리베이터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구동부에 해당하는 권상기가 카가 움직이는 승강로 안으로 들어가게 됐다.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이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으로 국내에 설치된 승강기는 모두 52만3686대다. 이 중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45만1350대다. 86% 이상이 승객용이고, 나머지 14%는 화물용, 에스컬레이터, 덤웨이터, 휠체어리프트 등이다.

승객용 엘리베이터 가운데 MRL 엘리베이터는 6만6631대로 14%를 차지했다. 큰 비중은 아니지만 1990년대 후반 국내 처음으로 MRL이 도입된 후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8년 이후에는 매년 설치된 승강기의 15~30%가량이 MLR 엘리베이터인 것으로 조사됐다.

1999년 3대에 불과했던 극내 MRL 엘리베이터는 2002년 457대로 무려 150배나 증가했다. 이어 2003년 1086대, 2004년 2046대를 기록한 후 2008년까지 매년 2000대 이상 설치됐다. 2009년부터는 5000대선을 돌파하더니 2013년에는 9997대로 정점을 찍었다.

지난해 국내에 설치된 승강기 3만299대 중 약 1만대가 MRL 엘리베이터다. 3대 중 1대 꼴로 MRL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셈이다. 2013년 기준으로 10년만에 무려 9배나 늘어났다.

이에 반해 화물용 MRL 엘리베이터는 3만2397대 중 177대만 설치돼 승객용과 대조를 이뤘다. 일반적으로 로프식이 MRL보다 화물용에 더 적합하다. 모터가 클수록 용량이 커지는데 MRL의 경우 모터를 포함한 구동부가 좁은 승강로 안으로 들어가면서 소형화됐기 때문에 무거운 카를 들어올리기엔 힘이 부치는 게 사실이다.

이러한 MRL 엘리베이터의 기술적 한계는 운행층수별 설치현황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

국내 설치된 MRL 엘리베이터는 30층 이하의 건물에 주로 설치됐다. 대부분 10층 이하의 저층 건물(5만1992대)에 설치됐고, 30층을 초과하는 고층건물은 18곳에 불과했다.

이는 화물용과 마찬가지로 승강기 운행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선 대용량급 모터를 확보할 수 있는 로프식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진 기술적 한계와 경제성으로 인해 초고층이나 화물용에는 MRL 엘리베이터가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MRL은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은 엘리베이터다. 건물 최상부에 위치한 기계실을 없애 내부공간의 효과적 이용이 가능해졌고 건물 하중부분에 대한 부담도 감소했다.

이에 따른 건축물 공기단축으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됐고, 건물 미관도 한층 더 좋아졌다. 또 전동기 용량이 작아지면서 전력소모가 줄어들어 에너지 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고, 건물의 고도 제한 등 법적인 측면에서도 자유로워 진 게 사실이다.

이 같은 이유로 MRL 승강기의 설치는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기계실을 따로 마련할 수 없는 건축물에선 MRL의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국내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승강기의 90% 이상은 MRL 엘리베이터일 정도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1995년 코네 사가 세계 최초로 MRL 엘리베이터를 선보인 이후 MRL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MRL 엘리베이터가 개발되고 있고, 관련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초고층 건물 등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다면 MRL 엘리베이터의 활용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41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 · y*****

MRL은 최상층승강로앞에 제어반 소음이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건축비까지 총 포함해서 MRL이 싸다는말인가요? 제가 알고있던거랑은 반대네요...
티센도 유지보수까지 감안해도 MRL이 나은가요?

현대엘리베이터 · F*****

건축비용포함하면 도긴개긴이긴 한데
요즘 추세가 MRL이고 건축 외관 익스테리어 감안한다면 MRL로가 2층에 주인집 거주 할거면 완충제나 흡음제 레일과 브라켓 사이에 꼭 해달라고 하구! 돈존 아낀다고 평생 괴로울수 있어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cop 판넬 안전장치가 뭘말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그런건 기본만하구(기본으로 해달라고도 안하면 아예안넣어줘?)
소음을 잡으란 말이야?

현대엘리베이터 · 진*****

흡음제 완충제 불연 아니면 설치 못해~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 · R*****

비용 크게 신경 안쓰면 MR이 맞지
소음,유지보수 측면에선 MRL은 답이없어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미쓰비시 유지보수 갠찮아?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이유도 같이 알려줄수있을까??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이유도 같이 알려줄수있을까?

현대엘리베이터 · 1*********

건축비 감안해서 MRL 완전 기본형 깡통 설치하고
미쯔비시꺼 설치하면됨
티센 현대 오티스는 다 비슷하고 고장 줜나 많아
3사 인버터 피로설계 좃망임

한국하니웰 · I********* 작성자

그정도구나 ㅋㅋ 가격은 비슷해?

현대엘리베이터 · 1*********

가격은 미쯔비시가 제일 비싸고 나머지는 비슷해 네고하기 나름이야ㅋ

현대엘리베이터 · 쓰***

대신에 고장없고 다른회사들은 설치비가 싼대신 나중에 부품교체 비용으로 나감

현대엘리베이터 · 진*****

MR로 해요
건축비나 승강기비나 또이또이임
MRL은 보통 카운터케이스가 우측이나 좌측에 들어가는데 그게 보통 집이랑 맞닿는 벽면이라 소음이랑 진동에 시달려요
흡음제나 완충제 불연재료 아니면 기계실이나 승강로 내부에 설치시에 검사 지적나와요~

엘리베이터의 종류 구분 정리

용  도 - 속  도 - 출입문 형식
P : 일반용
R : 주택용
B : 침대용
E : 비상용
- 저  속
중  속
고  속
초고속
- CO : 양개형 
S  : 편개형
U : 상하개폐

<속도에 의한 분류>

구    분 속    도 비    고
저 속 0.75 m/sec 이하 45 m/min 이하   
중 속 1~4 m/sec 60~240 m/min   
고 속 4~6 m/sec 240~360 m/min  
초 고 속 6m/sec 이상 360 m/min 이상   

※ 출처 한국 승강기 안전공단 홈페이지 www.koelsa.or.kr

<제어방식에 의한 분류>

로프식 유압식
1. 교류엘리베이터
  • 교류일단 속도제어 방식
  • 교류이단 속도제어 방식
  • 교류귀환 전압제어 방식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 방식(일반적)
2. 직류엘리베이터
  • 워드레오나드 방식
  • 정지레오나드 방식
1. 유압유량 제어방식

※ 운행방식에 따라 전기식 / 유압식 등으로 구분(法)

<출입문 방향에 따른 분류>

분     류 내      용 비     고
일반형(1면 출입형) 전면부에 출입구 설치 되는 일반적 형태  
관통형(2면 출입형) 층에 따라 필요한 출입문 개방 가능 공간활용에 유리 / 승객 혼돈 우려

<출입문 형식에 따른 분류>

구   분 기   호 내       용 비     고
양개형 CO 일반적인 형태  
편개형 S 한쪽으로 열림 2S : 문짝 2짝이 옆으로 개폐
수직형 U 2~3짝 미서기문이 상하로 개폐 2U : 문짝 2짝이 상하로 개폐

<법규에 따른 분류>

엘리베이터 MR MRL 차이 - ellibeiteo MR MRL chai

※용도를 가르키는 기호     P : 일반용     /     R : 주택용   /   B : 침대용     /     E : 비상용

<기계실 설치 여부에 따른 분류>

구     분 기      호 내       용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 MR Machine Room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MRL Machine Room Less

--------------------------------------------------------------------------------------------------------------------------------

엘리베이터 MR MRL 차이 - ellibeiteo MR MRL chai

위의 내용을 정리해서,

엘리베이터 기호를 요약해 보면 이렇게 된다.

[용도를 가르키는 기호] - [정원 또는 적재 하중을 표시 하는 숫자] - [문짝의 개폐방식 기호]

P-15-CO : 일반용(승객용) 15인승 양개(Double Opening) 엘리베이터

PA15-CO120-24F : 일반용(승객용) 15인승 - 양개(Double Opening) 속도120 - 최고높이 24층

B-1,000-2S : 침대용 적재하중 1,000kg 2매 외짝문 엘리베이터

뭐 이런식임....

그리고, 작은 기종의 엘리베이터를, MRL 기종이라는 말을 잘 쓰는데, 이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