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다다익선, 뜻 풀이와 유래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바이론입니다.

오늘 소개할 사자성어는 '다다익선'입니다.

다다익선 뜻 풀이

<strong>다다익선(多多益善)</strong>

많은 /많은 /더할 /좋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뜻

다다익선의 유래 알아보기
 

한나라 유방은 처하를 통일한 후

왕실의 안정을 위해 개국공신들을 차례로 숙청했죠.

초왕 한신은 천하동일의 일등 공신으로 항우군 토벌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통일을 한 유방은

한신을 위험한 존재로 여겼고 그래서 계략을 써서 그를

회음후로 좌천시키고 도읍 장안을 못 벗어나게 합니다.

어느 날 유방이 한신에게 묻기를,

한신이 보았을 떄 자신이 얼마나 많은 군대를 이끌 수

있을 것 같냐고 했습니다.

그러자 한신은 폐하께서는 한 10만쯤을 거느릴 수 있는

장수에 불과하다고 답했습니다.

유방은 다시 한신에게 그렇다면 한신은 어떤지 물었고

한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고 답했습니다.

이렇게 군산의 통솔 능력을 말하면서 만들어진 말이

다다익선이고 오늘 날에는 다방면에서 많은수록 좋다는

말로 두루 쓰이고 있습니다.

다다익선 유의어

다다익선과 뜻이 비슷한 말로는

다다익판이라는 유의어가 있습니다.

다다익선 뜻 유래 간단정리

다다익선 뜻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하시는 다다익선이란 무슨 뜻인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다다익선

다다익선

평소에 다다익선이라는 고사성어를 종종 듣게 될 때가 있는데요, 이때 다다익선이 무엇인지 몰라서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다다익선 뜻이 무엇일지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다다익선 한자풀이

우선 다다익선은 한자로 많을 다, 많을 다, 더할 익, 착할 선 이렇게 이루어져 있는데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고사 성어에 해당합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과일

다다익선 유래

중국 한나라에 있는 장수 한신이 고조와 장수의 역량에 대해서 얘기할 때 고조는 20만 명 정도의 병사들을 지휘가 가능하지만 막상 본인은 병사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한 고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주스

다다익선 예문

다다익선의 한 가지 예문을 들어볼 경우 '많은 사람들은 돈에 대해 다다익선이라고 생각하며, 더욱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 온갖 수단과 방법들을 가리지 않는 것 같다'라는 식으로 사용된다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물건

맨 처음 다다익선이라는 고사성어를 들었을 때는 어려워 보이기도 하고 생소해 보였지만 이렇게 정확한 뜻을 이해하고 나면 무척 쉬운 단어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딸기

오늘은 이렇게 다다익선 뜻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평소에 많은 분들 깨서 궁금해하실만한 내용이라 소개해드렸는데 큰 도움이 되셨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다익선/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뜻과 유래.

이번에 알아볼 고사성어는 다다익선(多多益善)입니다.

다다익선(多多益善)

다다익선의 뜻

다다익선의 한자어 뜻은

많으면(多) 많을수록(多) 더욱(益) 좋음(善)

입니다.

다다익선의 속뜻 역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보태지면 힘이 더 남. 혹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 잘 처리함.

입니다.

고 백남준님의 작품 '다다익선'

다다익선의 유래

중국 한 나라의 유방(劉邦)이 천하를 통일한 후에 공을 많이 세운 신하인 한신(韓信)에게 물었습니다.

"나는 얼마쯤의 군사를 거느릴 수 있겠느냐?”
“폐하께서는 10만의 군사를 거느리실 수 있습니다.”
"그대는 얼마쯤인가?”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유방이 웃으면서 물었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하는 사람이 어째서 10만의 장군에 불과한 나에게 잡히게 되었느냐?”
한신이 대답했습니다.
“폐하께서는 장군의 능력은 없지만, 장군을 통솔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는 하늘이 주신 것으로 도저히 사람의 능력으로는 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제가 신하가 된 이유입니다."

여기에서 다다익선이라는 고사성어가 나왔습니다.

고사성어와 사자성어의 정확한 차이에 대해서는
고사성어? 사자성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의 의미와 차이.
위의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다다익선 유래 요약 - dadaigseon yulae yoyag

▣ 뜻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더 좋다는 뜻.

▣ 유의어

다다익판(多多益辦) : 많으면 많을수록 처리하기 수월하다.

▣ 유래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한(漢)나라 고조 유방이 천하를 통일한 다음의 일이다.

유방(劉邦)은 당시 초(楚)왕이었던 한신에게 반란의 기미가 있다고 하여 붙잡아서 왕위를 박탈하고 회음후로 좌천시켰다.

과거 유방은 여러 장군의 능력에 대해 한신과 이야기를 한 일이 있었다.

"나는 어느 정도의 군대를 이끄는 장군이 될 수 있겠소?"

"폐하는 그저 10만 정도의 군대면 됩니다."

유방이 물었다.

"그럼 그대는 어떠한가?"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러자 유방이 웃으며 다시 물었다.

"다다익선이라면서 어쩌다 내게 포로가 되었단 말인가?"

한신이 대답했다.

"폐하는 군대의 장군 노릇은 별로 잘하시지 못하지만, 장수를 거느리는 데는 훌륭하십니다.

이것이 바로 신이 폐하에게 포로가 된 까닭입니다.

폐하의 능력은 소위 하늘이 주신 재능이므로, 도저히 사람의 힘으로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다다익선'이란 한신의 말에서 유래한 말로, 많을수록 더욱더 좋다는 뜻이다.